종숙탈(種熟脫) 종숙탈(種熟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下種(佛이 될 種子를 중생의 마음 속에 심는 것)과 調熟(가르치고 길들이는 것)과 解脫(苦로부터 벗어나는 것)의 셋을 함께하여 부르는 말. 천태종에서 佛이 중생의 마음 가운데 佛이 될 種子를 심은 때로부터 최후의 깨달음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2
크게 치면 크게 울린다(불교성전) 크게 치면 크게 울린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구름을 잡고 안개를 움켜 쥐는 살아 있는 용이 어찌 썩은 물에 잠겨 있겠으며, 해를 쫓고 바람을 따르는 용맹스런 말이 어찌 마른 동백나무 밑에 엎드려 있겠는가. 슬프다. 한갓 침묵만 지키는 어리석은 선정은 기왓장..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7.01
진사혹(塵沙惑) 진사혹(塵沙惑)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사(塵沙)와 같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현실의 事象에 대해 그때마다 정확히 판단하고 대처하는 능력이 없는 것을 智顗(지의)는 특히 진사혹이라 하였음. 이것은 현실교화의 장애가 되는 것인 까닭에도 化道障의 惑이라고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30
장시수(長時修) 장시수(長時修)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修의 하나. ① 三大阿僧祇劫을 지내도록 게으름이 없이 수행하는 것. ② 아미타불과 일체성중을 공경예배하고 마음에 끊임없이 염불하여 목숨을 마칠 때까지 中止함이 없는 것을 말함. 참고 사수(四修) : 修行하는 방법을 네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30
지리산(智異山)의 불연(佛緣)-(관음신앙) 지리산(智異山)의 불연(佛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백두산(白頭山)의 큰 줄기가 다한 곳이 지리산(智異山)이다. 일명 두류산(頭流山)이라고도 하는데, 그래서 금강산을 봉래(蓬萊)라 하며 지리산을 방장(方丈)이라 하며 한라산(漢拏山)을 영주(瀛州)라고 하니 이른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28
자량위(資糧位) 자량위(資糧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唯識宗에서 세운 敎義로 보살수행의 階位. 五位 가운데 제1위를 말한다. 곧 보살이 佛位에 이르기까지에는 資糧位·加行位·通達位·修習位·究竟位의 五位가 있는 가운데 제1위이다. 10住·10行·10廻向의 30位에서 初住부터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28
정혜(定慧)-불교성전 정혜(定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내 이 법문은 정혜(定慧)로써 근본을 삼는다. 그러므로 정(定)과 혜(慧)가 다르다 하지 말아라. 정과 혜는 하나요 둘이 아니다. 정은 혜의 본체요, 혜는 정의 작용이다. 곧 혜 안에 정이 있고 정 안에 혜가 있는 것이니, 만약 이 뜻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26
조사견고(造寺堅固) 조사견고(造寺堅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塔寺堅固라고도 한다. 佛滅 후 2천 5백년간 5개 5백년으로 나누어 제4의 5백년 곧 불멸후 2천년부터 2천 5백년까지에는 修行과 證果는 없지만 穩德을 심어 좋은 果報를 받기 위한 祈福心으로 寺院·堂塔을 많이 짓는 때라고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26
주리반득(周利槃得)-僧 주리반득(周利槃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uddhhipanthaka. 또는 Cudapanthaka. 부처님의 제자. 周利槃特迦·周利槃陀伽·朱茶半託迦·周那槃特이라고도 음역함. 髻道·不樂·小路·繼道라 번역. 두 형제로 부모가 여행하다가 길가에서 맏아들을 낳고 槃特이라 이름..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26
진실(眞實) 진실(眞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權假] [權] [方便] 일시적인 방편으로 베푼 權假의 敎義에 대해, 眞實不變의 영원한 究極的인 진리를 말한 것. ② 修行人으로서 하는 언어와 실천, 생각과 실제가 맞지 않는 것을 虛假 또는 不實이라 하는 대해, 생각 · 말 · 행..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