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퇴법아라한(退法阿羅漢)

근와(槿瓦) 2018. 6. 11. 01:10

퇴법아라한(退法阿羅漢)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종아라한의 하나. 근기가 가장 둔한 아라한. 질병 등의 나쁜 인연을 만나면, 한 번 얻었던 아라한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는 이.

 

참고

육종아라한(六種阿羅漢) : 阿羅漢能力에 따라 여섯가지로 분류한 것.

(1) 退法阿羅漢. 을 만나면 얻었던 것을 잃는 鈍根의 이.

(2) 思法阿羅漢. 證得한 것을 혹시 잃을까 두려워 항상 自害하여 無餘涅槃에 들려고 생각하는 鈍根의 이.

(3) 護法阿羅漢. 證得한 것을 스스로 防護하여 잃지 않게 하는 鈍根의 이.

(4) 安住法阿羅漢. 아주 많은 退緣이 없으면 證得한 것을 잃지 않고, 勝緣이 없으면 나아가지 못하는 鈍根의 이.

(5) 堪達法阿羅漢. 능히 을 닦아 다음의 不退法阿羅漢의 성품에 도달하는 鈍根의 이.

(6) 不動法阿羅漢. 根性이 가장 뛰어나서 어떠한 逆緣을 만나도 얻은 을 변동하지 않는 利根의 이.

 

근기(根機) : 또는 機根. 은 물건의 근본이 되는 힘. 는 발동한다는 뜻. 교법을 듣고 닦아 얻는 능력과, 교법을 받는 중생의 性能을 말한다.

 

() : 을 만나서 발동하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佛陀敎法을 받아 그 敎化를 입을 수 있는 소질 · 능력. 또는 의 대상이 되는 것. 또는 連稱해서 機法 · 機敎라 한다. 法華玄義 卷六上에는 語義에 대해 (1) (불타의 교화를 받고서 발동하는 미세한 을 속에 가지고 있는 것), (2) (불타가 중생의 소질 능력에 응해서 하시는 敎化, 즉 불타의 과 상관 관계가 있는 것), (3) (불타의 교화에 잘 들어 맞는 것)三義를 들었다. 는 반드시 무엇인가의 根性(근본이 되는 性質 · 資質)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機根 혹은 根機라 하여 그 종류는 천차만별이다. 機類(機品이라고도 한다)는 여러 입장에서 분류하는데,

예컨대 (1) 善法을 닦을려고 하는 善機惡法을 닦을려고 하는 惡機, (2) 소질 · 능력의 高下, 利鈍에 의한 上機 · 中機 · 下機(三機를 다시 · · 로 나누어 九品三機라고도 한다.), (3) 大乘을 믿는 大機小乘을 믿는 小機, (4) 그 자리에서 대번에 깨닫는 頓機, 단계적 과정을 거쳐서 점차로 깨닫는 漸機, (5) 곧 바로 眞實敎를 받는 直入(直行 또는 直進라고도 한다.)와 우선 方便敎와 가르침을 거친 뒤에 비로소 眞實에 드는 迂回, (6) 현재의 善業 때문이 아니고 過去世에 닦은 善根의 힘으로 해서 가지고 있는 冥機現在世의 몸과 입으로 힘써 을 실천하는 顯機, (7) 에 의해서 깨닫게 되는 바른 대상으로서의 正機(正所被)와 겸해서 이익을 받는 傍機, (8) 불타가 를 설하심에 있어 그 를 받아야 할 상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聖者가 일부러 그 를 받기 위해 나타나 짐짓 상대가 되는 權機와 그 를 받아야 할 실재의 상대인 實機 등이 있다.

에서, 敎義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로 小乘根機鹿野苑阿含說法하시던 처음부터 참석하여 그 뒤의 고차원의 를 받아서 나가는 竪入에 대해서, 고차원의 설법을 하시는 法會上에 임시로 중도에 참석한 이를 橫來()라고 하며, 橫來新受小機까지도 빠짐없이 敎化하기 위해, 예컨대 方等時의 설법 등을 하심으로 높은 대승의 가운데 소승의 混說한다고 한다. 眞言宗에서는 顯敎를 받는 密敎를 받는 二大別하여, 密敎중에는 結緣灌頂을 받을 뿐 아직 如法하게 修行하지 않는 사람이 곧 結緣傍機密敎를 바르게 받고 如法을 수행하는 正所被로 나눈다. 다시 正所被중에서도 또 小機(有相劣慧)大機(無相勝慧)가 있어서 小乘 중에는 顯敎로부터 密敎로 들어가는 迂回와 곧 바로 密敎에 들어가는 直往가 있으며 大機중에도 發心수행으로부터 證得에 이르기까지 단계를 거치느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修行分證地前地上 共分證卽到와의 셋이 있다고 한다. 이상의 密敎細別하면 종인데, 여기에 總稱(正所被 · 小機 · 大機)을 더하여 이것을 비밀의 九機라고 한다. 淨土敎에서는, 觀無量壽經에 의해서 定機(定善)散機(散善)를 나누어 散機에 대해서 廢立 · 助正 · 傍正종을 세워 諸行하고 오로지 念佛一行을 닦는 廢立正機로 한다. 부처님이 機類해서 하는 것을 對機說法, 에 들어맞는 것을 逗機라고 하며, 하기 위한 이 되는 것을 機緣이라 한다. 感受하는 機感佛陀하는 佛應과를 感應이라고 하며, 과를 倂稱해서 機應이라고 한다. 佛陀가 때에 하고 에 당하여 適切하게 중생을 敎化해서 이익케 하는 것을 當機益物이라고 하며, 天台宗에서는 이 말을 五時法華이전의 四時에 중생의 機根을 다듬어 익힘으로 圓敎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뜻으로 썼다. 그리고 禪宗에서는 란 말의 뜻을 지도자인 師家의 마음의 쓰임새란 뜻으로 쓴다. 言語思慮가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그것이 밖에서 움직여서 지도를 받는 學人에게 베풀어지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師家學人의 마음이 꼭 들어맞는 것을 投機라고 한다.

 

교법(敎法) : 부처님이 一生一代敎說. 三藏十二部. 大小乘大藏經 일체를 일컫는 말.

 

삼장(三藏) : 은 범어 pitika의 번역으로, 容器 · 穀倉 · · 諳記된 것 등의 뜻. 三藏이라 함은 經藏 · 律藏 · 論藏의 셋으로 佛敎聖典을 이 3로 나누어 모았다는 뜻으로부터 불교성전을 총칭하여 3또는 3法藏이라 한다. 大衆部 등에서는 여기에 雜藏(本生因緣)을 더하고, 犢子部에서는 呪藏(眞言 · 陀羅尼)을 더해서 4을 세우며, 法藏部에서는 呪藏菩薩藏, 大衆部1에서는 雜集藏禁呪藏, 成實論에서는 雜藏菩薩藏, 六波羅蜜經에서는 般若波羅蜜多藏陀羅尼藏을 더하여 5을 세웠다. 經藏 · 律藏2, 聲聞藏 · 菩薩藏22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중 經藏은 범어 sutranta-p의 번역으로, 素怛纜藏 · 修多羅藏이라 音譯하고, 契經藏이라고도 번역하며, 불타의 敎說要義部類에 속하는 것을 말한다. 律藏은 범어 vinaya-p의 번역으로 毘奈耶藏 · 毘尼藏이라 音譯하고, 調伏藏이라고도 번역하며, 부처가 제정하신 교단의 생활규칙, 部類를 가리킨다. 論藏은 범어 abhidha=rma-p의 번역으로, 阿毘達磨藏 · 阿毘曇藏이라 音譯하며, 對法藏이라고도 번역하고, 불타의 敎說을 다시 발전시켜 논리적으로 조직하고 체계화하여 論議해석한 阿毘達磨 에 속하는 것을 말한다. 論藏論部라고도 하고, 摩咀理迦(摩得勒伽, 범어 matrka 本母라 번역함), 優波提舍(범어 upadesa 論議라 번역함)라고도 하며 밀접한 관계가 있다. 33에 배대해서, , , 을 특히 나타내기도 하고, 三藏이 각각 3을 나타낸다고도, 혹은 · · , · , 를 나타낸다고도 한다. 그밖의 여러 가지 점에서 3의 구별을 세운다. 원래 이 3은 원시불교, 部派佛敎(후에 소승이라 불리우는 것)聖典을 가리키는 말이었기 때문에, 小乘三藏敎(藏敎)라고도 하는데, 뒤에는 大乘에서도 이 말씀으로부터 3下乘(聲聞)上乘(보살)의 구별이 있게 되었기 때문에 합하여 六藏이 된다고도 하기에 이르렀다.

에 의해서 宗旨를 세운 眞言宗이나 화엄종이나 정토종을 經宗, 에 의해서 宗旨를 세운 律宗律宗, 에 의해서 宗旨를 세운 俱舍宗이나 成實宗이나 三論宗 등을 論宗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서 經宗 · 論宗 · 釋宗並列해야 된다고도 한다. 3에 정통한 사람을 經師 · 律師 · 論師라고 한다. 을 지어서 불교를 넓힌 사람을 論主, 論師라고 한다. 3에 정통한 法師3藏法師, 3藏比丘, 3藏聖師 또는 다만 3이라 하고, 변하여 중국에서는 3을 번역한 사람을 3이라 했다. 에컨대 玄奘三藏 · 眞諦三藏.

聲聞 · 緣覺 · 보살의 3을 위한 敎法을 각기 聲聞藏 · 緣覺藏 · 菩薩藏이라 하고, 합하여 3이라고 한다.

일본의 淨土宗의 일파인 眞宗에서는, 淨土3部經해져 있는 (法門)<敎行信證>에 의거하여 각기 福智藏 · 福德藏 · 功德藏이라 이름한다. 福智藏이라 함은 福智(福德과 지혜)2莊嚴을 원만히 성취하고 있다는 뜻이며, 곧 나무아미타불의 名號稱念함을 가리키고, 따라서 大無量壽經弘願眞實의 제18開顯를 말한다. 福德藏이라 함은 觀無量壽經定散諸行으로, 19開顯要門方便敎를 말하며, 功德藏이란 아미타경에 自力廻向名號이고, 20開顯眞門方便敎를 말한다.

 

둔근(鈍根) : 우둔한 근기를 말하며, 佛道修行할 수 없는 근기로도 쓰일 때가 있다. 法華經藥草喩品.

 

악연(惡緣) : 나쁜 일을 하도록 유혹하는 주위환경.

 

아라한과(阿羅漢果) : 깨달은 자리를 라고 한다. 수행의 원인에 대한 결과를 말함. 아라한은 소승의 최고의 깨달음.

 

소승(小乘) : 범어 hinayana. 은 싣고 운반하는 뜻. 일체 중생이 모두 부처가 되기에는 너무나 작고 보잘 것 없는 수레라는 뜻. 대승의 . 이 교법 중에서 ···가 모두 深遠 광대하고, 따라서 수행하는 사람도 大器利根機類를 요하는 것을 대승이라 하고, 이와는 달리 아라한과와 벽지불과를 구하는 것을 소승이라 한다. 소승에는 성문승과 연각승이 있다.

(1) 聲聞乘. 四諦의 이치를 관하여 성문의 四果를 증득하여 열반에 이르는 것을 교리로 한다.

(2) 緣覺乘. 12인연을 하여 辟支佛果에 이르는 것을 敎體로 한다. 이것은 모두 몸을 태우고 를 멸하여 空寂 열반의 깨달음으로 돌아가는 것을 최후 목적으로 생각한다. 부처님이 열반하신 후 100년에 上座部大衆部로 분열하였고, 이 대중부는 또 다시 9부로, 上座11부로 나뉘어져 결국 도합 20부가 되었다. 스승이나 지역 관계가 분열의 원인이 되었는데, 이와 같은 분열은 한편으로 교세의 확장을 의미하기도 한다. 각 부의 敎義는 서로 영향을 받았으며, 거기다가 이상적 질서를 부여한 것은 중국의 敎判으로, 窺基八宗判, 法藏十宗判 등이다. 이 이름은 대승이 有部煩瑣 연구를 소승이라고 낮추어 부른 데서 비롯한다. 대표적인 부파는 有部·經量部·正量部·大衆部 등이다. 인도의 상좌부·대중부 등의 20분파와 東土의 구사종·성실종·율종 등이다.

 

아라한(阿羅漢) : 범어 arhan音譯. 이것은 男性, 主格, 單數이니, 原形arhat. 阿羅訶· 阿囉呵·阿盧漢·遏囉曷帝라고도 쓰고, 하여 羅漢·囉呵라고도 한다. 應供··殺賊·不生·無生·應眞·眞人이라고 번역한다. 보통 狹義로 풀이하여, 小乘불교에 있어서 최고의 깨달음을 얻은 이를 가리킨다고 하는데, 廣義로는 大乘·小乘을 통하여 최고의 깨달음을 얻은 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應供이라 함은 供養을 받는데 응하는 이, 相應한 이, 공양을 받을 가치가 있는 이라는 의미인데,供養云云補足한 말로,은 확실히 이 말의 번역이다. 應供중에서 가장 훌륭한 것을 大應供이라 하고, 보통 佛陀異名이다. 殺賊이라 함은, 번뇌의 을 죽였다는 의미이며, 不生 또는 無生이라 함은, 영구히 열반의 깨달음에 들어가서 다시 미혹의 세계에 태어남을 받지 않는다는 의미인데, 이들 두 번역은 原語語義에 그대로 따른 것은 아니다. 이를 應供·殺賊·不生三義阿羅漢三義라고 한다.

如來十號의 하나. 이 경우는 佛陀異名.

四沙門果. 聲聞四果중에서는 최후의 자리. 여기에 다시 를 나눈다. 해서 수행하고 있는 사이가 阿羅漢向이고, 확실히 그 에 도달한 때가 阿羅漢果이다. 阿羅漢果聖者已達大德이라 한다. 이것은 최후의 理想세계로, 여기에 도달하면 모든 것을 다 배워서 다시 더 배워야 할 一法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無學 또는 無學果라 하고, 無學正見 내지 無學正定八聖道無學解脫·無學正智10종의 無漏法을 완성한다고 한다. 이것을 十無學支라고 한다.

俱舍論25에 의하면 아라한을 6종으로 분류해서, 6종 아라한을 세운다. ,

(1) 退法(또는 退相) 아라한(이미 얻은 아라한의 깨달음으로부터 退失하기 쉬운 사람).

(2) 思法(또는 死相) 아라한(退失이 두려워서 自害하려고 생각하는 사람).

(3) 護法(또는 守相) 아라한(退失하지 않으려고 防護하는 자).

(4) 安住法(또는 住相) 아라한(防護하지 않더라도 대개는 退失하지 않지만 또한 增進하기도 어려운 자).

(5) 堪達法(또는 可進相) 아라한(增進해서 빨리 다음의 不動法을 통달하는 자).

(6) 不動法(또는 不壞相) 아라한(전혀 退失하지 않는 자). 이들 중에서 앞의 5는 성품이 遲鈍한 자(鈍根)時解脫이라고도, 時愛心解脫이라고도 하고, 뒤의 1은 성품의 예리한 자(利根)不時解脫이라고도, 不動心解脫이라고도 한다. 또 아울러서 2羅漢이라고 한다. 時解脫은 좋은 이 있는 때를 기다려서 에 들어가 번뇌를 해탈하는 자, 不時解脫은 때를 기다리지 않고 入定하여 해탈하는 자, 時愛心解脫은 이미 얻은 아라한의 깨달음을 항상 애호해서 번뇌를 해탈하는 자, 不動心解脫은 번뇌 때문에 아라한의 깨달음에서 退失하지 않고 해탈하는 자를 의미한다. 不動法아라한 중에서, 본래 利根(예리한 성격자)不退()(또는 不退相) 아라한이라 하고, 수행의 힘에 의해서 不動法아라한에 나아간 자를 不動法아라한이라고 하여 둘로 나누고, 이것을 앞의 5에 더해서 7종 아라한이라고 하며, 不動法아라한을 不動아라한이라고도 한다. 여기에 다시 緣覺을 더하여 9종 아라한 또는 九無學이라고 한다.

成實論 , 中阿含經 十三에는, 緣覺·대신 慧解脫·俱解脫을 더한 또 다른 형의 9종 아라한(九無學)하고 있다. 그 중 慧解脫은 지혜의 힘에 의해 번뇌를 해탈한 아라한을 말하고, 俱解脫慧解脫人이 다시 滅盡定을 얻은 경우를 말한다. 이것을 俱解脫이라고 일컫는 것은, 滅盡定을 얻은 것이 心解脫을 의미하고 있고 따라서 마음과 ()해탈을 얻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慧解脫俱解脫2羅漢이라 하고, 여기에 無疑解脫을 더하여 3羅漢이라고 한다. 無疑解脫이라 함은, 俱解脫 중에서 일체의 文義에 통달하여, 四無礙解를 얻은 자를 말함.

天台宗에서는 아라한이 不淨觀을 닦는 경우 그 對境의 차이를 따라 壞法·不壞法2羅漢으로 나눈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식(八識)  (0) 2018.06.12
퇴전(退轉)  (0) 2018.06.11
자이나교(Jaina敎)  (0) 2018.06.11
한 물건(불교성전)  (0) 2018.06.10
처영(處英)-僧  (0) 2018.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