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득(證得) 증득(證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바른 지혜로써 진리를 깨달아 얻는 것을 말함. 참고 정지(正智) : 범어 samyak-jnana의 번역으로 진리를 바로 보는 바른 지혜의 뜻. 正理에 맞는 지혜. 정리(正理) : ① 올바른 이치. 바른 道理. ② 바른 論理. 정도(正道) : ① 正眞의 師道,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7
죄(罪) 죄(罪)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道理를 거슬려서 禁斷의 윤리적 실천규범을 어김으로 말미암아 苦의 報를 부르는 나쁜 행위로서 허물 · 죄악을 일컫는다. 번뇌도 죄라고 일컫는 경우도 있지만 그러나 그 중심은 신체 · 언어 · 의지(身 · 口 · 意)의 세가지 행위(業..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6
칠난(七難) 칠난(七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仁王般若經卷下受持品에 설한 7종의 재난(이 經을 受持하면 免할 수 있다고 한다). (1) 日月失度의 難. 곧 日月의 運行이 때를 잃고 黑日·赤日이 되는 日蝕과 月蝕. (2) 星宿失度의 難. 星宿이 그 度程을 잃어 金星·慧星 등이 變..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5
허망(虛妄) 허망(虛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實이 아닌 것을 虛, 眞이 아닌 것을 妄이라 함. 실제가 아니고 진실이 아닌 것을 말한다. 참고 실(實) : 권(權)→權은 權謀 · 權宜의 뜻이니 일시적 임시변통의 수단으로서 만든 것을 말하며, 실제로는 眞實不磨의 뜻이며, 영구히 변..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5
전근(轉根) 전근(轉根)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聲聞·緣覺의 根性이 바뀌어서 菩薩의 根性이 되는 것. ② 男根이 바뀌어서 女根이 되거나 女根이 변하여 男根이 되는 것. 곧 남자가 여자가 되고, 여자가 남자가 됨을 말한다. 참고 전(轉) : 사물이 인연에 의하여 생기는 것을 轉..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5
적멸인(寂滅忍) 적멸인(寂滅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惑을 끊어서 寂靜에 安住한 第十地 및 佛果. 참고 적멸(寂滅) : 약하여 滅이라고도 한다. 迷의 세계를 영원히 解脫한 경계로서 涅槃 즉 범어 nirvana의 譯語라고도 하는데 특히 小乘의 涅槃을 가리키기도 한다. 열반의 경계가..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4
행원(行願) 행원(行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구제라는 利他의 願과 그 실천수행. 身行과 心願. ② 일을 하고자 하는 願과 行(실천)에의 誓願. ③ 큰 자비로 다른 사람을 해탈시키고자 하는 마음. 깨달음을 얻고자 먼저 각각 입장과 주장을 검토한 다음 다른 사람을 위해 봉사..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3
해섭문(該攝門) 해섭문(該攝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分相門의 對. 여러 가지를 차별적으로 보지 않고 절대 유일한 것으로 統攝하는 것. 華嚴의 一乘道 속에 三乘을 포함시킨다고 논하는 것. (華嚴五敎章) 참고 분상문(分相門) : 절대인 하나에 뭉치지 않고, 각각 다른 것에 제각기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2
팔식(八識) 팔식(八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唯識說에서 주장하는 여덟 가지 識. 眼識 · 耳識 · 鼻識 · 舌識 · 身識의 5識과 제6의 意識과 제7의 末那識과 제8의 阿賴耶識. 참고 유식(唯識) : 識 곧 心의 本體의 轉變을 떠나서, 어떠한 實在도 없다고 하는 說. 곧 우리들이 자..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2
퇴전(退轉) 퇴전(退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되돌아가다(범어 punaravartate). ② 禪定에서 물러나다. ③ 범어 parihani. 혹은 退墮·退落이라 함. 수행에 의하여 도달한 자리를 잃고 원래의 下位로 轉落하는 것. 참고 선정(禪定) : 禪은 범어 禪那의 약칭으로, 思惟修라 번역하며,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