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여(無餘) 무여(無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有餘의 相對語. 완전히 궁극에 이르러 남겨둔 잔여가 없는 것. 특히 無餘依의 약. 이 경우 依는 의지한다는 뜻으로 依身이라고 하여 肉身을 뜻한다. 번뇌도 육신도 완전히 끊어버린 상태를 無餘依涅槃이라고 한다. 참고 유여(有餘) .. ㄹ~ㅁ(리을~미음) 2018.04.15
명행족(明行足) 명행족(明行足)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의 十號중의 하나이다. 열반경에 의하면 明은 無上正遍智이며, 行足은 脚足이란 뜻으로 戒·定· 慧 三學을 가리킨다. 부처님은 三學의 脚足에 의하여 無上正遍智를 얻었으므로 明行足이라 한다. 또한 智度論에 의하면.. ㄹ~ㅁ(리을~미음) 2018.04.10
무진(無盡) 무진(無盡)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끝이 없는 것. 잘 융합하여 서로 방해하는 일이 없는 것(圓融無礙). 화엄종에서는 온갖 것(一切)이 그 자신이 主體로도 되고 客體로도 될 수 있는데, 주체로 될 때도 객체로 될 때도 서로 모순됨이 없이 融通無礙하다고 한다. 그래서.. ㄹ~ㅁ(리을~미음) 2018.04.10
밀교(密敎) 밀교(密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秘密佛敎의 약칭. 일반적인 불교를 顯敎라 하는 것에 대한 말. 석가모니 부처님 혹은 報身의 아미타불 등을 교주로 하는 모든 대승 顯敎에 대하여 法身의 大日如來를 교주로 하며 우주를 이 법신 自在證의 경계로 보고 한 字 한 字.. ㄹ~ㅁ(리을~미음) 2018.04.09
마하지관(摩訶止觀) 마하지관(摩訶止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천태종 智顗가 지은 것으로 隋나라 開皇 14(594)년 荊州 玉泉寺에서 講說한 것을 제자 灌頂이 필기한 것으로 20권으로 되어있다. 天台 3大部의 하나. 法華玄義·法華文句의 2부는 모두 천태종의 敎相을 밝힌 것이나 이 책은 .. ㄹ~ㅁ(리을~미음) 2018.04.09
무외(無畏) 무외(無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vaisaradya의 번역으로 無所畏라고도 번역한다. 불·보살의 德의 하나로서 어떤 일이든 怖畏함이 없는 十全의 자신을 가지고 안심하고 용감하게 법을 說하는 것. 여기에 흔히 四種의 無畏가 있다 하여 四無畏·四無所畏라고 한.. ㄹ~ㅁ(리을~미음) 2018.04.09
무진의보살(無盡意菩薩) 무진의보살(無盡意菩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0항하사 미진세계를 지나면 동방에 不眴世界가 있는데, 순일하게 보살만이 살고, 2乘이란 이름은 없다고 하며, 무진의는 그 곳에 있는 보살을 말한다. 그 국토에 있는 부처님은 普賢如來라고 함. 참고 항하사(恒河沙) .. ㄹ~ㅁ(리을~미음) 2018.04.08
묵연무어(黙然無語) 묵연무어(黙然無語)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묵연하여 말이 없다는 뜻. 문수보살과 관자재보살이 不二門에 대해 논할 때 유마거사는 말이 없었다. 문수보살은 칭찬하여 이는 진실한 不二門이다하여 이를 黙不二 또는 維摩黙言이라 함. 참고 묵연(黙然) : 유마회상에.. ㄹ~ㅁ(리을~미음) 2018.04.07
무학대사(無學大師) 무학대사(無學大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름은 自超. 성은 朴씨. 호는 無學. 고려 忠肅王 13(1327)년 丁卯에 출생하다. 三岐郡 사람. 18세에 출가, 小止선사에게서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다. 龍門山 慧明국사에게 불법을 배운 후, 묘향산 金剛窟 등을 찾아서 수도 .. ㄹ~ㅁ(리을~미음) 2018.04.06
무아설(無我說) 무아설(無我說)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無我는 불교의 근본적 입장이지만 시대와 계통에 따라 그 해석이 다르다. 法의 철학적 고찰을 주로 하는 部派佛敎에서는 有部 계통으로 個我는 부정하면서도 법(存在)은 實有라 하며(我空法有), 또는 표면적으로는 무아를 주.. ㄹ~ㅁ(리을~미음) 2018.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