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괴(無愧) 무괴(無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napatrapya의 번역. 心所의 이름이다. 俱舍宗에서는 大不善法의 하나이며, 唯識宗에서는 20隨煩惱 가운데 中隨惑의 하나. 他人을 생각하지 않고 마음대로 惡한 짓을 하면서도 부끄러워 하거나 뉘우치는 마음이 없는 것. 참고 괴(.. ㄹ~ㅁ(리을~미음) 2018.03.18
무참(無慚) 무참(無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hrikata의 번역. 惡을 犯하고도 부끄러운 마음을 내지 않는 것. 心所의 이름. 참고 참(慚) : 心所(마음의 작용)의 이름. 범어 hri의 번역으로 여러 功德 및 有德者를 공경, 숭배하는 心, 또는 자기 스스로가 지은 罪를 부끄러워하는.. ㄹ~ㅁ(리을~미음) 2018.03.18
무간도(無間道) 무간도(無間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번뇌를 끊고 진리를 體得하는 단계에 加行道 · 無間道 · 解脫道 · 勝進道의 4道를 세운다. 無間道는 無礙道라고도 한다. 곧 「번뇌를 나의 몸에 끌어당겨서 관계를 갖게 하는 힘, 곧 번뇌의 得을 끊는데 간격이나 방해하는 .. ㄹ~ㅁ(리을~미음) 2018.03.17
목탁(木鐸) 목탁(木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둥굴게 만든 木魚를 우리 나라에서는 木鐸이라 한다. 본래 중국의 禪院에서 아침 먹을 때와 낮의 밭 일 때에 쓰던 것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불전에서 염불·讀經·예배할 때에 쓰고, 공양할 때나 대중을 모을 때에 쓰고 있음. ② .. ㄹ~ㅁ(리을~미음) 2018.03.15
무여열반(無餘涅槃) 무여열반(無餘涅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육체 등 생존의 제약에서 완전히 이탈한 상태. 無漏涅槃이라고도 한다. 완전한 절대무의 경지로서 고뇌가 없이 영원한 평안만이 있는 열반. 일체의 번뇌를 단절하여 미래 생사의 원인을 소멸시킨 자가 오직 신체만을 남긴.. ㄹ~ㅁ(리을~미음) 2018.03.14
문자반야(文字般若) 문자반야(文字般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5종반야 가운데 하나. 문자는 능히 반야의 法을 나타내며, 문자의 性은 空寂하여 본래 해탈하는 반야가 된다. 참고 5종반야(五種般若) : 깨달음에 이르는 智慧를 다섯으로 분류한 것. (1) 實相반야. (2) 觀照반야. (3) 文字반야.. ㄹ~ㅁ(리을~미음) 2018.03.13
무루도(無漏道) 무루도(無漏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出世間道라고 한다. 모든 번뇌의 허물을 여읜 無漏智로써 닦는 觀行. 小乘에서는 見道位 이후의 聖者가 四諦의 이치를 16行相으로써 觀하는 지혜를 말하고, 大乘에서는 眞如의 이치를 본 根本智와 根本智에서 나와서 萬有諸法.. ㄹ~ㅁ(리을~미음) 2018.03.13
무시(無始) 무시(無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 世間의 중생과 법이 모두 처음이 없는 것과 같이 금생은 전생의 인연을 따라 존재하고, 전생은 또한 전생을 따라 존재하는 것처럼 이같이 추구해 들어가면 중생과 법은 원래 얻을 수 없으므로 無始라고 한다. 참고 일체(一切) .. ㄹ~ㅁ(리을~미음) 2018.03.10
모지(冒地) 모지(冒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bodhi의 음역. 보리(菩提). 깨달음의 지혜. 참고 보리(菩提) : 범어 bodhi의 음역. 覺 · 智 · 知 · 道라고 번역한다. 佛 · 연각 · 성문이 각각 그 果에 따라 얻는 깨달음의 지혜를 말한다. 이 세 가지 보리 가운데 佛陀의 보리가 더할.. ㄹ~ㅁ(리을~미음) 2018.03.10
무진장(無盡藏) 무진장(無盡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無盡한 德이 많아서 한이 없는 것을 無盡이라 한다. 그리고 無盡의 德을 갖고 있으므로 無盡藏이라 함. 참고 무진(無盡) : 끝이 없는 것. 잘 융합하여 서로 방해하는 일이 없는 것(圓融無礙). 화엄종에서는 온갖 것(一切)이 그 자.. ㄹ~ㅁ(리을~미음) 2018.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