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연무어(黙然無語)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묵연하여 말이 없다는 뜻. 문수보살과 관자재보살이 不二門에 대해 논할 때 유마거사는 말이 없었다. 문수보살은 칭찬하여 이는 진실한 不二門이다하여 이를 黙不二 또는 維摩黙言이라 함.
참고
묵연(黙然) : 유마회상에서 不二法門을 나타내니, 31聖人이 각기 不二의 法相을 설하고 문수가 無言無說을 설하였으니 이것이 不二法門이며 유마가 최후에 묵연히 말이 없었다.
문수(文殊) : 범어 Manjusri. 文殊師利 · 滿殊尸利 · 曼殊室利라고도 음역한다. 대승보살 가운데 한 사람.
문수와 만수는 妙의 뜻이고, 사리 · 실리는 頭 · 德 · 吉祥의 뜻이므로 지혜가 뛰어난 공덕이라는 뜻이 된다. 이 보살은 모두 신 · 구 6譯이 있는데, 妙德 · 妙首 · 普首 · 濡首 · 敬首 · 妙吉祥이다.
석가모니불의 보처로서 왼쪽에 있으며 지혜를 맡음. 머리에 5髻를 맺은 것은 大日의 5智를 나타내는 것이고, 바른손에는 지혜의 칼을 들고, 왼손에는 꽃 위에 지혜의 그림이 그려 있는 청련화를 쥐고 있다.
위엄과 용맹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자를 타고 있음. 모양은 각각 다르나, 1字문수 · 5字문수 · 8字문수 · 1髻문수 · 5髻문수 · 兒문수 등이 있는데, 석존의 교화를 돕기 위하여 일시적인 權現으로 보살의 자리에 있다고 한다. 이 부처님의 이름을 들으면 4重罪가 없어진다고 한다. 현재 북방의 常喜世界에 있는 환희장마니보적여래라고 이름하기도 하고, 일찍이 성불했다 하여 龍尊上佛 · 大身佛 · 神仙佛이라고도 하며, 미래에 성불할 것이라 하여 普見如來라고도 한다. 반야경을 결집 편찬한 보살로도 알려져 있다. 때에 따라서는 經卷을 손에 쥔 모습으로 조각되고 묘사되는 일이 많았다. 화엄경에서는 비로자나불의 挾侍菩薩로서 보현보살과 더불어 三尊佛의 일원이 되어 있다. 그리하여 보현이 세상 속에 뛰어들어 실천적 구도자의 모습을 띠고 활동할 때에 문수는 사람들의 지혜의 좌표가 되기도 하였다. 즉 이 보살은 석가모니불의 교화를 돕기 위하여 일시적인 권현으로 보살의 자리에 있는 것이다. 전설적으로 이 보살은 중국의 山西省 五臺山에서 1만 보살과 함께 있다고도 하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강원도 오대산에 있다고 하여 지금도 그곳의 上院寺는 문수를 主尊으로 모시고 예배하며 수행하는 도량으로 알려졌다.
관세음(觀自在) : 觀自在, 光世音, 觀世自在, 觀世音自在, 觀音이라 번역함. 大慈大悲를 근본 誓願으로 하는 보살의 各號. 無量壽經에 의하면 이 보살은 彌陀三尊의 하나로 아미타불의 왼쪽 補處로서 부처의 교화를 돕고 있다. 觀世音이란 "세간의 음성을 觀하는 이"란 뜻으로 사바세계의 중생이 괴로울 때 그 이름을 일심으로 부르면 그 음성을 듣고 곧 구제한다고 한다. 觀自在(관세음의 異稱)라 함은 지혜로 觀照하므로 自在한 妙果를 증득한 이란 뜻이다. 또 중생에게 일체의 두려움이 없는 無畏心을 베푼다는 뜻으로 施無畏者라 하고, 慈悲를 위주하는 뜻으로 大悲聖者라 하여, 세상을 구제하므로 救世大士라고도 한다. 이 보살이 세상을 교화함에는 중생의 根機에 맞추어 여러가지 형체로 나타나므로, 이를 普門示現이라 하며, 三十三身이 있다고 한다. 왼손에 든 연꽃은 중생이 본래 갖춘 佛性을 표시하고, 그 꽃이 핀 것은 佛性이 드러나서 성불한 뜻을 나타내며, 그 봉오리는 불성이 번뇌에 물들지 않고 장차 필 것을 나타낸다. 그 종류로는 六觀音(聖, 千手, 馬頭, 十一面, 準提, 如意輪)이 보통이다. 그 중 聖觀音이 本身이고, 기타의 것은 普門示現의 變化身이다.
불이문(不二門) : 불이(不二)→ 一實의 이치가 평등하여 피차의 분별이 없는 것. 보살은 一實平等의 이치에 깨달아 들어갔으므로 入不二法門이라 함. 維摩經에 33인이 不二法을 얻었다고 說한다(維摩經 入不二法門品). 大乘義章一에 不二는 無異를 말한다고 하였다.
유마(維摩) : 부처님의 속세 제자이다. 維摩詰 · 毘摩羅詰 등이라고 음역. 번역하여 淨名· 無垢稱이라 한다. 부처님이 계실 때 비야리성의 居士였다. 妙喜國에서부터 이곳에 化生하여 속가에 몸을 맡기고 석가의 교화를 도왔다는 法身의 大士라고도 전한다.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행업을 닦은 거사로 그 수행이 대단하여 어떤 불제자라도 그에 미칠 수 없었다고 한다.
묵불이(黙不二) : 절대무차별한 이치. 곧 묵묵히 둘 아닌 법문. <維摩經> 中卷의 入不二法門品에서, 여러 보살들이 諸法이 둘 아닌 뜻을 보일 적에 처음 여러 보살들은 각기 힘을 다하여 諸法이 不二한 이치를 말하고, 다음에 文殊菩薩은 無言 · 無說 · 無示 · 無識이라고 말하여 諸法의 實相은 言說問答을 여의었다는 뜻을 보이다. 맨 끝에 維摩居士는 다만 잠잠하고 말하지 않았다. 둘 아닌 法門은 이 잠잠한 가운데 유감없이 발휘되었다고 한다.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ㄹ~ㅁ(리을~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외(無畏) (0) | 2018.04.09 |
---|---|
무진의보살(無盡意菩薩) (0) | 2018.04.08 |
무학대사(無學大師) (0) | 2018.04.06 |
무아설(無我說) (0) | 2018.04.05 |
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 (0) | 2018.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