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연진여(隨緣眞如) 수연진여(隨緣眞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여 곧 우주의 본체는 불변 부동하는 것이나, 마치 물이 外緣인 바람에 의하여 물결이 일어남과 같이, 외부의 無明인 緣에 응하여 삼라만상을 내고, 또 물결이 물의 성질을 잃지 아니함과 같이, 삼라만상의 事相은 마침내.. ᄉ~ㅇ(시옷~이응) 2018.01.28
십호(十號)-佛 십호(十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께 있는 功德相을 일컫는 열 가지 명호. (1)如來. 범어 tathagata. 多陀阿伽陀 ∙ 多陀阿伽度라 음역. 이 말 뜻에는 이 말을 조성한 두 단어를 나누는 것이 좋다. 첫 말을 tatha 또는 tatha, 둘째 말을 gata 또는 agata라고 하는 차이.. ᄉ~ㅇ(시옷~이응) 2018.01.28
여래장(如來藏) 여래장(如來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모든 중생의 번뇌가운데 덮여 있는 본래 맑은(곧 自性淸淨한) 如來法身을 말함. 如來藏은 번뇌중에 있어도 번뇌에 더러워짐이 없고, 본래부터 절대청정하여 영원히 변함이 없는 깨달음의 本性이다. 染淨(더러운 것과 맑은 .. ᄉ~ㅇ(시옷~이응) 2018.01.28
양설(兩舌) 양설(兩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惡의 하나. 이간질하는 악어. 양쪽 사람에 대하여 번갈아 서로 틀리는 말을 하여 서로 사이가 나쁘게 함. 참고 십악(十惡) : 열 가지 죄악. 身3(殺生 · 偸盜 · 邪婬) · 口4(妄語 · 兩舌 · 惡口 · 綺語) · 意3(貪欲 · 瞋ঢ.. ᄉ~ㅇ(시옷~이응) 2018.01.28
악구(惡口) 악구(惡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惡의 하나. 新譯에서는 麤惡語라 함. 남에게 욕을 하고 험담하여 성내게 하고 번뇌롭게 하는 것. 妄語·兩舌·綺語와 더불어 입으로 짓는 4惡에 포함됨. 참고 십악(十惡) : 열 가지 죄악. 身3·口4·意3. .....십선(十善)→身 · .. ᄉ~ㅇ(시옷~이응) 2018.01.28
연(緣) 연(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pratyaya. ① 협의로는 결과(果)를 끌어 일으키기 위한 직접적 내적원인을 因(內因)이라 하는데 대해서, 이것을 밖에서 돕는 간접적 원인을 緣(外緣)이라고 하는데, 廣義로는 둘을 합해서 因이라고도 緣이라고도 한다. 廣義의 緣은 四.. ᄉ~ㅇ(시옷~이응) 2018.01.28
생자필멸(生者必滅) 생자필멸(生者必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生의 비롯함이 있는 것은 반드시 그 마침인 死滅이 있으며 相會가 있으면 반드시 離散이 있음은 필연의 이치라는 뜻. 이는 大涅槃經의 名句로 전해 온다. 참고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 涅槃經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경.. ᄉ~ㅇ(시옷~이응) 2018.01.28
연등불(燃燈佛) 연등불(燃燈佛)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Dipamkara. 然燈佛이라고도 쓴다. 提洹竭 · 提和竭羅라 음역. 瑞應經에 錠光이라 번역. 智度論에 燃燈이라 번역. 석가여래의 전생의 因行 가운데 제2아승지겁이 됐을 때에 이 부처님을 만나 五華의 연꽃으로 부처님께 공양.. ᄉ~ㅇ(시옷~이응) 2018.01.28
수기(授記) 수기(授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vyakarana의 역어로서, 和伽羅那 또는 和羅那라 음역하며, 記別 · 記莂 · 受記 · 記說 · 受決 · 授決 · 記라 번역한다. 十二部經(즉 原始불교경전의 기본적인 型)의 하나. 본래는 부처님의 설법 중에서 문답의 형식이나 .. ᄉ~ㅇ(시옷~이응) 2018.01.28
선재동자(善財童子) 선재동자(善財童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udhana. 화엄경의 入法界品에 나오는 求道 보살의 이름. 福城長者의 아들로 발심하여 53인의 善知識을 차례로 만나고 최후에 普賢菩薩을 만나 十大願을 듣고 서방 淨土에 往生하여 法界에 들어갈 수 있도록 원한다. 이.. ᄉ~ㅇ(시옷~이응) 2018.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