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심관(五停心觀) 오정심관(五停心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度觀門 · 五門禪 · 五觀 · 五念이라고도 한다. 佛道修行의 최초의 位에서 5종의 허물을 그치게 하기 위해 닦는 5종의 觀法. 곧, 不淨觀(自他의 육체의 부정한 모습을 觀하여 貪欲을 그친다) · 慈悲觀(일체 중생에 대.. ᄉ~ㅇ(시옷~이응) 2018.02.25
삼장(三藏) 삼장(三藏)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藏은 범어 pitika의 번역으로, 容器 · 穀倉 · 籠 · 諳記된 것 등의 뜻. 三藏이라 함은 經藏 · 律藏 · 論藏의 셋으로 佛敎聖典을 이 3類로 나누어 모았다는 뜻으로부터 불교성전을 총칭하여 3藏 또는 3法藏이라 한다. 大衆部.. ᄉ~ㅇ(시옷~이응) 2018.02.24
아함경(阿含經) 아함경(阿含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阿含部에 속하는 4阿含 또는 5阿含의 총칭. 곧 원시불교의 경전을 말하며 석존이 실제로 說한 것으로 생각되는 교법이 가장 많다. 여기에 南·北의 兩傳이 있으니 남방불교에서는 長部·中部·相應部·增支部·小部의 五部로.. ᄉ~ㅇ(시옷~이응) 2018.02.24
사의(四依) 사의(四依)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의지하지 않으면 안될 4가지를 四依라 하고, 해서는 안될 4가지를 四不依라 한다. ① 法의 四依·四不依. 佛道를 닦는 사람은 그 가르침을 따를 것이며 그 가르침을 說하는 사람을 따라서는 안 된다(依法不依人). 가르침의 뜻(義)에 .. ᄉ~ㅇ(시옷~이응) 2018.02.24
오하분결(五下分結) 오하분결(五下分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下分은 欲界, 結은 번뇌, 三界중 가장 밑에 있는 欲界에서 중생을 얽어매고 있는 5가지 번뇌(欲貪·瞋恚·有身見·戒禁取見·疑結)를 일컫는다. 이 五下分結이 있는 한 중생은 欲界에 살고 이것을 끊으면 不還果를 얻.. ᄉ~ㅇ(시옷~이응) 2018.02.24
오진(五塵) 오진(五塵)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① 色 · 聲 · 香 · 味 · 觸인 다섯 가지 대상. 인간의 本性을 더럽히므로 塵이라 한다. ② 數論學派에서 주장하는 五唯와 같다. ③ 수론학파에서 주장하는 五種의 대상. 發聲기관을 제외한 다른 네가지 기관(手 · 足 · 排泄기.. ᄉ~ㅇ(시옷~이응) 2018.02.23
서방정토(西方淨土) 서방정토(西方淨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의 극락세계. 서방에는 수많은 다른 나라가 있지만 아미타경에 의하면, “여기서 서쪽으로 10만억 국토를 지나서 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을 극락이라 한다”한데서 말미암아 특히 아미타불의 국토를 서방정토라 .. ᄉ~ㅇ(시옷~이응) 2018.02.23
시각(始覺) 시각(始覺)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일체 有情과 非情에 통하여 그 自性 본체로서 갖추어 있는 如來藏眞如에 대하여, 다시 그 本覺이 修行의 功에 의하여 覺證한 覺을 始覺이라 한다. 그러므로 始覺과 本覺이 覺體는 다르지 아니하나, 다만 그 地位가 같지 않으므로 .. ᄉ~ㅇ(시옷~이응) 2018.02.23
십선(十善) 십선(十善)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十惡] 身 · 口 · 意의 三業중에서 현저히 뛰어난 10種의 善惡의 행위를 말한다. 곧 十惡이라 함은 殺生(斷生命) · 偸盜(不與取 · 劫盜) · 邪婬(欲邪行 · 婬妷 · 邪欲) · 妄語(虛誑語 · 虛妄 · 속임) · 兩舌(.. ᄉ~ㅇ(시옷~이응) 2018.02.23
선법(善法) 선법(善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戒 · 十善 · 三學 · 六度의 善한 敎法을 가리키는 말. 참고 오계(五戒) : 범어 panca-sila의 번역으로 在家佛子가 지켜야 할 다섯가지 戒. (1) 중생을 죽이지 말라. (2) 훔치지 말라. (3) 음행하지 말라. (4) 거짓말 하지 말라. (5) 술마.. ᄉ~ㅇ(시옷~이응) 2018.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