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법(善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戒 · 十善 · 三學 · 六度의 善한 敎法을 가리키는 말.
참고
오계(五戒) : 범어 panca-sila의 번역으로 在家佛子가 지켜야 할 다섯가지 戒. (1) 중생을 죽이지 말라. (2) 훔치지 말라. (3) 음행하지 말라. (4) 거짓말 하지 말라. (5) 술마시지 말라. 이 다섯가지는 재가신자가 지녀 남자는 우바새가 되고 여자는 우바니가 된다고 함. 大毘婆娑論에는 5學處라 하고, 大莊嚴經에는 五大施라 하며, 俱舍論에는 近事律儀라 한다.
우바새(優婆塞) : 近事 · 近事男 · 近善男 · 信士 · 信男 · 淸信士라고 번역한다. 재가 남자로서 三寶에 歸依하고 五戒를 받아, 三寶를 친히 섬기는 것을 말한다.
우바이(優婆夷) : 近事女 · 近善女 · 淸信女라 번역한다. 世俗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여자. 善行을 하고 比丘尼에 親近承事하며, 三歸戒와 五戒를 갖는 여성을 말함.
십선(十善) : 身 · 口 · 意의 三業중에서 현저히 뛰어난 10種의 善惡의 행위를 말한다. 곧 十惡이라 함은 殺生(斷生命) · 偸盜(不與取· 劫盜) · 邪婬(欲邪行 · 婬妷 · 邪欲) · 妄語(虛誑語 · 虛妄 · 속임) · 兩舌(離間語 · 破語) · 惡口(麤惡語 · 惡語 · 惡罵) · 綺語(雜穢語 · 非應語 · 散語 · 無義語) · 貪欲(貪 · 貪愛 · 貪取 · 慳貪) · 瞋恚(瞋 · 恚 · 害) · 邪見(愚癡)의 10으로 이들을 여의는 것이 10善이다. 이들은 순차로 身業에 속하는 것이 3, 口業에 속하는 것이 4, 意業에 속하는 것이 3이기 때문에, 이들을 身三 · 口四 · 意三으로 따지고, 意三을 덜어서 7支 · 7支業이라고 한다(口四는 語四라고도 한다). 10善 · 10惡은 十善業道(十善道 · 十善根本業道 · 十白業道) · 十不善業道(十惡業道 · 十不善根本業道 · 十黑業道)라고도 하는데, 이들 十業道는, 業이 遂行되는 經過에 加行과 根本과 後起의 三단계가 있는 중의 根本 곧 根本業道에 대해서 세운다. 10善 · 10惡의 說은 大乘 · 小乘의 많은 경전에 說해지고, 阿含에서는 十善은 人 · 天의 세계에 태어나고, 10惡은 지옥 · 아귀 · 축생의 三惡道에 떨어진다고 하고, 有部 등의 部派에서는 10善 · 10惡에 의한 果를 異熟果 · 等流果 · 增上果로 나누는데, 예컨대 10惡에 의해서 三惡道에 태어나는 것이 異熟果, 殺生業에 의해서 多病斷命인 것이 等流果, 殺生業에 의해서 霜雹, 塵穢 등의 害를 만나는 것이 增上果라고 한다. 또 10惡은 어떤 것이나 貪 · 瞋 · 癡의 三不善根중 어느 하나가 加行(준비적 작용)이 되어 일어나고, 그것이 業道가 되어 나타날 때에는 각기 셋중의 특정의 하나 또는 셋중에 어느 하나에 의한다고 한다. 10惡중에서는 殺生 및 邪見이 가장 重하다고 說하고, 新譯 화엄경 권35에는 10善· 10惡을 하는 자는, 善의 强弱의 정도에 따라서 人· 天의 果, 三乘의 果, 佛果를 얻고, 惡의 정도에 따라서 三惡道(强은 지옥, 中은 축생, 弱은 아귀)에 태어나고, 또는 人間에 태어난다 하더라도 斷命 · 多病 그 밖에 不幸을 당한다고 說함. 10善은 惡을 그치고 善을 행하게 하는 戒이기 때문에 十善戒(十善法戒, 十善性戒, 十根本戒)라고도 한다.
삼학(三學) : ① 불교를 배워 도를 깨달으려는 이가 반드시 닦아야 할 세 가지 戒(增上戒) · 定(增上心) · 慧(增上慧)를 말함. 또는 三勝學 · 三增上學이라고도 한다. 戒는 身 · 口의 악을 그치고 非를 막는 계율. 定은 산란심을 막고 안정을 얻는 법. 즉 모든 禪定 · 三昧, 慧는 惑을 깨뜨리고 진리를 깨닫기 위한 四諦 · 十二因緣 또는 眞如 · 實相을 觀하는 것이다. 따라서 三學은 실천 방면에서도 불교의 모든 것을 포함하게 된다. 또는 불교경전을 삼학에 배당하여 經藏을 定學, 律藏을 戒學, 論藏을 慧學으로 분류하는 說도 있는데 이에는 다른 설이 있다. 혹은 五分法身 · 六度 · 七淨 · 八正道 등의 내용 설명에 三學이 사용된다. 불교의 삼학을 內의 삼학, 불교 외의 다른 학파의 설을 外의 삼학이라고 부를 때가 있다. ② 學 · 無學 · 非學非無學의 三. 이것은 불교를 공부하는 자의 수행단계의 세 구분이며 성문에 관하여 말하자면 學은 初果이상, 無學은 아라한과, 非學非無學은 見道 직전의 加行位의 사람에게 배당된다.
육도(六度) : 度는 바라밀의 번역으로, 六波羅蜜의 다른 이름. 곧 布施 · 持戒 · 忍辱 · 精進 · 禪定 · 智慧가 그것.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각(始覺) (0) | 2018.02.23 |
---|---|
십선(十善) (0) | 2018.02.23 |
수혹(修惑) (0) | 2018.02.23 |
심무가애(心無罣礙) (1) | 2018.02.22 |
삼세제불(三世諸佛) (0) | 2018.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