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악도(三惡道) 삼악도(三惡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三惡趣. 지옥·아귀·축생의 三道處를 말함. 죄악을 범한 결과로 태어나서 고통을 받는 악한 곳. 梵網經에「3악도에 떨어지면 二劫·三劫동안 부모와 삼보의 이름과 글자를 듣지 못한다」고 하였음. 참고 범소유상(凡所.. ᄉ~ㅇ(시옷~이응) 2018.02.20
사바세계(娑婆世界) 사바세계(娑婆世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abha. 忍土 · 堪忍土 · 忍界라 번역함. 사바(娑婆)는 범어 saha의 음역으로 沙訶 · 娑呵 · 索訶 · 沙桴라고도 쓰며, 忍 · 堪忍(감인) · 能忍이라 번역한다. 자세히는 沙訶樓陀 곧 娑婆世界를 말하고 또 忍土 ·.. ᄉ~ㅇ(시옷~이응) 2018.02.20
용화수(龍華樹) 용화수(龍華樹)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那伽樹 · 龍華菩提樹라고도 한다. 龍華는 범어 naga-puspa의 번역. 彌勒佛이 成道할 때의 菩提樹. 미륵보살은 지금 兜率天에 계신데, 56억 7천만년(57억 6천만년이라고도 한다)뒤에 이 閻浮提에 下生, 龍華樹 아래에서 成道하여, .. ᄉ~ㅇ(시옷~이응) 2018.02.20
삼종발심(三種發心) 삼종발심(三種發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기신론에서 설한 것. (1) 信成就發心. 初住에서 제10住의 자리에 이르면 信心의 성취하는 사람이 보리심을 발하는 것. (2) 解行發心. 十行 내지 十廻向의 자리에서 이치를 이해하고 道를 행하는 사람이 보리심을 내는 것. (3) .. ᄉ~ㅇ(시옷~이응) 2018.02.20
상속(相續) 상속(相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因은 果를 내고, 果는 또한 因이 되어 또 다른 果를 내므로 이렇게 因果가 차례로 연속하여 끊어지지 않는 것. 참고 인(因) : 狹義로는 결과(果)를 가져오는 직접 내적 원인을 因(內因)이라 하고, 이것을 외부에서 도우는 간접적 원인.. ᄉ~ㅇ(시옷~이응) 2018.02.20
십종선지식(十種善知識) 십종선지식(十種善知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보리심에 머물게 하는 선지식. (2) 선근을 낳게 하는 선지식. (3) 모든 바라밀을 행하게 하는 선지식. (4) 일체의 법을 해설하게 하는 선지식. (5) 일체 중생을 성숙케 하는 선지식. (6) 결정의 변재를 지니게 하는 선지.. ᄉ~ㅇ(시옷~이응) 2018.02.19
십종계(十種戒) 십종계(十種戒)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0종의 계율. (1) 보리심을 버리지 않는 계. (2) 二乘地를 멀리 여의는 계. (3) 일체 중생을 관찰하여 이익하게 하는 계. (4)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불법에 머물게 하는 계. (5) 일체 보살이 배우는 것을 닦는 계. (6) 일체의 법에 얻을 .. ᄉ~ㅇ(시옷~이응) 2018.02.19
유식소변(唯識所變) 유식소변(唯識所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一切事象은 아뢰야식에서 變現한 것이라는 뜻. 所變의 原語는 범어 parinama로 번역하면「前後가 틀린다는 것」. 이것은 시간적 개념이지만 成唯識論에선 諸法이 전개된다는 뜻으로 사용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 ᄉ~ㅇ(시옷~이응) 2018.02.19
육대연기(六大緣起) 육대연기(六大緣起)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密敎에서 주장하는 학설이다. 법계연기설에서 현상계의 事事物物이 相即相入의 원리에 의하여 무애자재하게 無盡緣起한다는 학설은 이론으로서는 실로 깊이 있는 이론이다. 그러나 이 事事無礙 법계연기론은 너.. ᄉ~ㅇ(시옷~이응) 2018.02.19
색즉시공(色卽是空) 색즉시공(色卽是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空卽是色] 현실의 물질적 존재(色)의 眞相은 인간의 이성을 초월하여 거기에 하등 집착할 것이 없는 空의 존재임을「色卽是空」이라 한다. 空의 원리 위에 그대로 현실의 존재가 진실로 긍정되는 가치를 인정하는 것을「.. ᄉ~ㅇ(시옷~이응) 2018.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