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혹(修惑) 수혹(修惑)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事物의 진상을 알지 못하는 데서 일어나는 번뇌. 惑은 번뇌를 말함. 참고 진상(眞相) : ① 범어 jati-laksana. 本來面目과 같음. ② 사물의 참된 내용이나 모습. 참모습. ③ 실제의 모양이나 형편. 혹(惑) : 깨달음을 장애하는 迷妄의 마음.. ᄉ~ㅇ(시옷~이응) 2018.02.23
심무가애(心無罣礙) 심무가애(心無罣礙)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마음을 가리우는 것이 없다는 뜻. 즉 생사·선악에 속박되지 않는 것. 참고 괘애(罣礙) : ① 덮고 막는 것. 덮어 방해하는 것. 마음을 덮는 것. 罣는 四面의 장애, 礙는 앞길이 막힌 것. ② 전후 상하 좌.. ᄉ~ㅇ(시옷~이응) 2018.02.22
삼세제불(三世諸佛) 삼세제불(三世諸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과거·현재·미래의 三世에 출현하는 부처님들을 말함. 참고 삼세(三世) : 三際라고도 한다. 過去世(過去·前世·前生·前際)와 現在世(現在·現世·現生·中際)와 未來世(未來·來世·來生·當來·後際)의 總稱. 去來.. ᄉ~ㅇ(시옷~이응) 2018.02.21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연꽃에서 출생한 세계. 또는 연꽃중에 含藏된 세계란 뜻. 화엄경과 梵網經에서는 說을 달리한다. ① 화엄경의 설. 蓮華藏莊嚴世界海·華藏世界海·華藏世界·華藏界 등이라 하고, 혹은 十蓮華藏莊嚴世界海·十蓮華.. ᄉ~ㅇ(시옷~이응) 2018.02.21
일생보처(一生補處) 일생보처(一生補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一生所繫이라고도 한다. 一生만 미혹의 세계에 繫縛되어 있는 자. 혹은 최후의 有, 곧 생존해 있는 자의 뜻. 곧 미혹의 경계에 묶여 있는 것은 이것이 최후로, 이 일생을 지나면 다음은 불타의 位處를 도와야 할 자. 줄여서 .. ᄉ~ㅇ(시옷~이응) 2018.02.21
일상(一相) 일상(一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絶對平等. 차별도 對立도 없는 平等. 하나의 모습. 공통한 모습. 無差別. 眞如의 相을 말한다. (2) 異相의 對. 一切는 다만 하나의 물질적인 理에서 생긴다고 하는 見解를 말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 ᄉ~ㅇ(시옷~이응) 2018.02.21
삼존(三尊) 삼존(三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세 분의 존경스러운 어른이란 뜻으로 三尊佛이라고도 한다. 곧, 주된 中尊과 그 좌우 양쪽에 있는 挾侍를 합해서 부르는 이름. 中尊은 佛·보살·明王 등으로, 挾侍는 脇侍·脇士·夾侍라고도 쓰고 脇立이라고도 읽으며, 보살·聲.. ᄉ~ㅇ(시옷~이응) 2018.02.21
여(如) 여(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범어 tatha의 번역. 如如·眞如·如實이라고도 한다. 모든 사물의 진실하고도 변하지 않는 本性. 楞伽經의 五法중에서, 魏譯 卷七에는 如如라고 한다. ② 평등하여 차별이 없는 것. ③ 天台宗에서, 法華經方便品의 十如是(十如)의 文.. ᄉ~ㅇ(시옷~이응) 2018.02.21
십지(十智) 십지(十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小乘에서 말하는 10種智. (1) 世俗智. 세속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지혜. (2) 法智. 欲界의 苦 · 集 · 滅 · 道를 對境으로 하고 일어나는 지혜. (3) 類智. 색계와 무색계의 苦 · 集 · 滅 · 道를 對境으로 하고 일어나는 지혜. (4) 苦.. ᄉ~ㅇ(시옷~이응) 2018.02.21
양족존(兩足尊) 양족존(兩足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兩足仙·二足尊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을 가리킨다. 부처님의 尊號로 부처님은 兩足의 有情 가운데 제일 존귀하기 때문이다. 또는 兩足은 戒와 定, 福德과 智慧, 大願과 修行 등을 구족하였다는 뜻. 法華嘉詳疏4에 「양족존은 .. ᄉ~ㅇ(시옷~이응) 2018.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