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결(恚結) 에결(恚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9結의 하나. 結은 번뇌의 異名. 번뇌는 곧 사람을 結縛하므로 이렇게 일컬음. 중생이 성내는 마음. 곧 瞋恚 때문에 온갖 不善을 행하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미래의 生死의 苦를 부르고 3界에 流轉하여 그로부터 벗어날 수 없게 하므.. ᄉ~ㅇ(시옷~이응) 2018.07.02
순인(順忍) 순인(順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五忍의 하나. ② 十地중에서 4·5·6地의 位. 참고 인(忍) : 忍辱 · 忍耐 · 安忍 등의 뜻. 다른 侮(모)辱惱害 등을 받아도 참고 견디어 성내지 않고, 스스로의 괴로움을 만나도 마음을 움직이지 않고, 진리를 깨달아서 認證하고, .. ᄉ~ㅇ(시옷~이응) 2018.07.02
오인(五因) 오인(五因)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地 · 水 · 火 · 風의 4大種이 그 만든 色法에 대하여 원인이 되는 5종의 구별. (1) 生因. 4대가 화합하여 색법을 냄. (2) 依因. 4대가 색법을 따른 바 되어 그 所依가 됨. (3) 立因. 4대가 색법을 유지하여 현재에 存立케 함. (4) 持因. .. ᄉ~ㅇ(시옷~이응) 2018.07.01
음식의 조절(참나,혜거스님) 음식의 조절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앞에서는 마음을 조절하여 일체 반연을 끊게 하였고, 여기서는 음식을 조절하여 먹는 것을 절제하게 한 것으로서 이를 조식(調食)이라고 한다. 조식은 부처님 당시 수행자에게 하루에 한 끼니만을 먹도록 하신 데서부터 엄격히 절.. ᄉ~ㅇ(시옷~이응) 2018.06.30
염오(染汚)-뉴(new) 염오(染汚)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染汚라 함은 번뇌의 흐림에 물들어 더러워져 있다는 뜻. 또 雜染, 染이라고도 한다. 有漏法중, 깨달음에의 길을 방해하는 것. 곧 不善과 有覆無記를 染汚라고 하고, 善과 無覆無記를 不染汚라고 한다(俱舍論 卷七). 그렇더라도 成唯.. ᄉ~ㅇ(시옷~이응) 2018.06.30
운문육불수(雲門六不收) 운문육불수(雲門六不收)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의 본체란 어떤 것인가라고 묻자 운문화상이 “너무 커서 6大(地·水·火·風·空·識)로도 담을 수 없는 것이다.”하였다. 六不收는 法身이란 6大로도 수용할 수 없는 광대 무변한 것이란 뜻. (碧巖錄 47則) 참.. ᄉ~ㅇ(시옷~이응) 2018.06.30
오위무심(五位無心) 오위무심(五位無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唯識說에서 極睡眠·極悶絶·無想天·無想定·滅盡定의 다섯 가지 상태에 있어서는 意識(제6識)이 전혀 작용하지 않는다고 함을 일컬음. 참고 무심(無心) : 眞心이 妄念을 여읜 것을 無心이라 함. 또는 허망하게 분별하는 .. ᄉ~ㅇ(시옷~이응) 2018.06.29
신인(信忍) 신인(信忍)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三忍의 하나. 아미타불을 염하여 구원함을 믿어 의심치 않음. ② 五忍의 하나. 無漏의 眞智가 일어나는 동시에 三寶를 믿는 마음이 일어나는 것. 참고 삼인(三忍) : ① 3法忍의 생략. 音響忍 · 柔順忍 · 無生法忍을 말함(無量壽.. ᄉ~ㅇ(시옷~이응) 2018.06.29
아라한과(阿羅漢果) 아라한과(阿羅漢果)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깨달은 자리를 果라고 한다. 수행의 원인에 대한 결과를 말함. 아라한은 소승의 최고의 깨달음. 참고 과(果) : 因 곧, 原因을 따라서 일어나는 결과를 일컬음. 有部宗이나 唯識宗에선 五果로 분류한다. (1) 等類果. 善因으로.. ᄉ~ㅇ(시옷~이응) 2018.06.29
승과(僧科) 승과(僧科)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국가에서 실시한 승려에 대한 科擧制度. 고려 光宗 때 일반 관리의 과거제도가 확립된 것과 때를 같이하여 실시된 것으로 추측한다. 그 뒤 宣宗 때에는 文科와 동일하게 3년 간격으로 실시했다. 僧科에는 宗選과 大選의 구별이 있었.. ᄉ~ㅇ(시옷~이응) 2018.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