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가지 화합(불교성전) 여섯 가지 화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은 다시 여러 비구들을 모이게 한 다음 여섯 가지 화합(和合)하는 법을 말씀하셨다. 「여기 기억하고 사랑하고 존중해야 할 여섯 가지 화합하는 법이 있다. 이 법에 의지하여 화합하고 다투는 일이 없도록 하여라. 첫째, .. ᄉ~ㅇ(시옷~이응) 2018.07.07
수다원(須陀洹) 수다원(須陀洹)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rota-apanna. 성문 4果의 하나. 預流果의 梵名이며, 無漏道에 처음으로 참례하여 들어간 地位. 참고 성문사과(聲聞四果) : 성문들이 깨닫는 네 階位. (1) 須陀洹果. 처음 聖人의 축에 들어간 계위. (2) 斯陀含果. 욕계 九地의 思.. ᄉ~ㅇ(시옷~이응) 2018.07.07
오수근(五受根) 오수근(五受根)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2根 가운데 憂根·喜根·樂根·苦根·捨根의 5根을, 眼 등의 五根과 구별하여 外界를 感受하는 印象感覺임을 강조하는 뜻으로 이렇게 부름. 참고 근(根) : ① 힘이 있어 강한 작용을 가진다(이것을 增上이라고 한다)는 뜻. 眼根.. ᄉ~ㅇ(시옷~이응) 2018.07.07
입멸(入滅) 입멸(入滅)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滅度에 들어가는 것. 滅度는 惑을 끊고 生死의 苦海를 건너가는 뜻. 證果에 들어간 사람의 죽음. 참고 멸(滅) : ① 열반을 말함. 따라서 終息·寂靜·寂滅이라고도 한다. 열반에 들어가는 것을 入滅이라고 한다. 석존은 돌아가시어 .. ᄉ~ㅇ(시옷~이응) 2018.07.07
욕심이란 무엇이며 그에 따른 과실-대보적경(1258-1262까지) 욕심이란 무엇이며 그에 따른 과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 사리자야, 이와 같이 보살마하살이 시라바라밀다를 수행하는 까닭에 청정한 계율로서 모든 중생에 대하여 부모라는 생각을 일으키는 것이니, 왜냐하면 '나는 옛날에 탐내는 마음 때문에 어머니라는 생.. ᄉ~ㅇ(시옷~이응) 2018.07.06
수대(水大) 수대(水大)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4大의 하나. 濕潤을 性으로 하고, 攝引을 작용으로 하면서 온갖 물질에 두루 통하여 있는 이 元素는 물질을 축축히 젖게 하는 성능이 있다. 일체 色法에 모두 통해 있는 原質인 4大를 實의 水大라 하고, 우리의 肉眼으로 보는 물은 造.. ᄉ~ㅇ(시옷~이응) 2018.07.06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고려시대 조계종의 開祖 보조국사 지눌(1158~1210)이 화엄의 대의를 밝힌 책. 成佛論이라고도 한다. 1권 1책. 印本. 당시 불교계가 禪敎 兩宗으로 갈리어 서로 반목함을 개탄하여 선종에 대한 교종의 오해를 해명하기 위하.. ᄉ~ㅇ(시옷~이응) 2018.07.06
유(有) 유(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bhava의 번역. 有情으로서의 존재. 生存의 뜻. 三有는 三界를 말하며, 欲有·色有·無色有. 七有는 地獄有(바람직하지 않은 有의 의미로 不可有라고도 한다)·餓鬼有·傍生有(畜生有)·天有·人有·業有(業은 생존을 이끄는 因이기.. ᄉ~ㅇ(시옷~이응) 2018.07.06
일월등명불(日月燈明佛) 일월등명불(日月燈明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 부처님의 광명이 하늘에서는 해·달과 같고, 땅에서는 등불과 같으므로 일월등명불이라 함. 오랜 겁 전에 나서 중생을 위하여 돈교·점교와, 대승·소승의 여러 경을 설하고, 뒤에는 방편교가 그대로 一乘眞實敎라.. ᄉ~ㅇ(시옷~이응) 2018.07.06
일불일체불(一佛一切佛) 일불일체불(一佛一切佛)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一佛이 곧 一切의 佛이다 라는 뜻. 佛과 佛은 평등하므로 一佛이 곧 一切佛이라 하는 것과 一佛이 一切佛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一佛이 곧 一切佛이라고 보는 두 견해가 있다. 참고 불(佛) : ① 범어 buddha의 音略. 佛陀 .. ᄉ~ㅇ(시옷~이응) 2018.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