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혜(劣慧) 열혜(劣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塵沙惑의 本體. 참고 진사혹(塵沙惑) : 진사(塵沙)와 같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현실의 事象에 대해 그때마다 정확히 판단하고 대처하는 능력이 없는 것을 智顗(지의)는 특히 진사혹이라 하였음. 이것은 현실교화의 장애가 되는 것인.. ᄉ~ㅇ(시옷~이응) 2018.07.17
시방정토(十方淨土) 시방정토(十方淨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方에 있는 무수한 부처님네의 淨土. 참고 시방(十方) : 東 · 西 · 南 · 北 · 四維(東北 · 東南 · 西南 · 西北) · 上 · 下를 말하고, 四維를 빼면 六方이 된다. 四方은 태양이 도는 방위를 따라서 東西南北이라고 하.. ᄉ~ㅇ(시옷~이응) 2018.07.17
신옹 거사 홍상사(洪上舍)에게 보임(禪要) 신옹 거사 홍상사(洪上舍)에게 보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릇 참선은 승 · 속(緇素)을 구별할 것 없고 오직 하나의 결정된 믿음이 필요한 것이다. 만일 당장에 믿어 미침(及)을 얻고 잡아 정(定)하고 지어 주인이 되어 오욕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마치 무쇠막대기.. ᄉ~ㅇ(시옷~이응) 2018.07.16
이사무애십문(理事無礙十門) 이사무애십문(理事無礙十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事(현상)와 理(본체)의 관계에 10門을 세웠다. (1) 理徧於事. 하나의 眞法界의 理가 一切의 事法에 徧在하여 비록 理가 分限이 없으나 事는 分限이 있고 事가 이미 理에 卽하게 되면 또한 分限이 없으므로 하나하나.. ᄉ~ㅇ(시옷~이응) 2018.07.16
십주심(十住心) 십주심(十住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0종의 마음의 상태. 眞言宗에서, 중생의 菩提心이 顯現하는 과정, 곧 宗敎意識의 발달과정을 10종의 형식으로 분류한 것으로서, 여기에 겸하여 顯密의 모든 敎를 對配해서 顯敎가 열등하고, 密敎가 수승하다고 하는 뜻을 표시.. ᄉ~ㅇ(시옷~이응) 2018.07.15
성해과분(性海果分) 성해과분(性海果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화엄종에서 부처님이 깨달으신 萬有 諸法의 本性은 바다와 같이 넓고 깊어 끝이 없는 것을 性海라 하였고 이런 절대의 境地는 證悟한 사람(果人)만이 아는 分齊이므로 果分이라 한다. 참고 화엄종(華嚴宗) : 八宗의 하나. .. ᄉ~ㅇ(시옷~이응) 2018.07.15
앙구식(仰口食) 앙구식(仰口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4邪命食(下口食·仰口食·方口食·維口食)의 하나. 天文·術數 등에 의지하여 의식을 구하는 것. 참고 사사명식(四邪命食) : 不淨한 생활법. (1) 下口食. 논과 밭을 경작하여 생활하는 것. (2) 仰口食. 天文學을 연구하여 생활을 .. ᄉ~ㅇ(시옷~이응) 2018.07.15
4념처에 마음을 매어 잘 머물면-(잡아함경-958쪽에서) 4념처에 마음을 매어 잘 머물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그러자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마땅히 그렇게 공부하여야 한다. 4념처에 마음을 [959 / 2145] 쪽 매어 잘 머물면 앞의 생각·뒤의 생각, 마음의 안정됨·마음의 산란함을 알게 되느.. ᄉ~ㅇ(시옷~이응) 2018.07.14
삼세(三細) 삼세(三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無明業相. 眞如가 無明에 의해 차별적 현상을 내게 되는 첫걸음으로서, 주관과 객관이 나뉘어지기 전의 상태를 말함. (2) 能見相. 無明業相이 주관과 객관으로 나누어져 대립될 때에, 그 주관적 방면을 말한다. (3) 境界相. 能見相.. ᄉ~ㅇ(시옷~이응) 2018.07.14
인명삼지작법(因明三支作法) 인명삼지작법(因明三支作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宗·因·喩라는 세 개의 命題로써 구성된 論式. 참고 인명(因明) : 범어 hetu-vidya의 번역. 五明의 하나. 因은 원인·이유, 明은 학문의 뜻. 이유를 밝혀서 論證을 행하는 論理學을 말함. ① 인도의 論理學의 始祖는, .. ᄉ~ㅇ(시옷~이응) 2018.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