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것이 아닌 것은 버려라(南傳 中部 蛇喩經) 네것이 아닌 것은 버려라(南傳 中部 蛇喩經)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뗏목의 비유를 말하고 난 부처님은 다시 이렇게 말씀하셨다. 「<나>와 <내것>이라는 잘못된 소견이 일어날 수 있는 다섯 가지 경우가 있다. 그것은 물질(色)과 감각(受)과 생각(想)과 의지작용(行)과 의식(識)이.. 불교 2014.08.20
무명 속의 밝은 등불(遺敎經) 무명 속의 밝은 등불(遺敎經)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지혜가 있으면 탐착이 없어질 것이니, 항상 자세히 살피어 그것을 잃지 않도록 하여라. 이것은 우리 법 가운데서 능히 해탈을 얻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못한 사람은 수행자도 아니요 세속 사람도 아니므로 무엇이라 이름 .. 불교 2014.08.18
견성성불과 참선 견성성불과 참선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오늘의 한국 불교는 형식에 있어서 조계단일종(曹溪單一宗)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모든 종파를 통합한 것이므로 그 실천수행하는 길에 있어서도 자연히 여러 가지를 다 포함해 있음은 피치 못할 일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이제 한국 불교, 즉 조계.. 불교 2014.08.14
요가 요가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Yoga. 자세와 호흡을 가다듬어 정신을 통일 · 순화시키고, 또는 초자연력을 얻고자 행하는 수행법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인도 고유의 수행법. 요가라는 말은 결합한다는 범어의 어근 yuj(영어의 yoke에 해당)에서 나온 말이며, 마음을 긴장시켜 어떤 특.. 불교 2014.08.10
관심(觀心) 관심(觀心)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자기 마음의 본 성품을 바르게 살펴 보는 일을 觀心이라 함. 마음은 일체 만법의 주체로 모든 것은 마음과 관계되므로 마음을 觀照하는 것은 곧 일체 법을 보는 일이 된다. 그러므로 事와 理를 관찰하는 것을 모두 觀心이라 한다. 觀心은 특히 천태종에.. 불교 2014.08.08
자재(自在) 자재(自在)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마음대로 무엇이나 자유롭지 않은 것이 없고 장애할 것이 없음을 일컫는 말. 불 · 보살이 갖춘 功德의 하나. 그래서 佛을 自在人이라고도 한다. 보살이 가진 自在力에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➀ 二種自在. (1) 觀境自在. 眞如와 다른 경계 곧 현.. 불교 2014.07.29
삼부지환(三府之環) 삼부지환(三府之環)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병든 새가 자기를 살려 준 생명의 은혜를 갚은 故事를 일컫는 말. 後漢의 楊寶라는 사람은 마음이 본래 자비로워서 짐승을 늘 불쌍히 여겼고 모든 생명을 아꼈다. 그가 9살 되던 어느 날 새 한 마리가 올빼미에게 채일 뻔 했으나, 다행히 땅에 .. 불교 2014.07.21
살타왕자(薩埵王子) 살타왕자(薩埵王子)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과거세에 어느 국왕의 이름을 大事라 하였다. 그에게 세 아들이 있었는데 太子는 마하파라이며, 次子는 마하제파, 幼子는 마하살타라 하였다. 세 왕자가 산중에서 노는데 마침 한 마리의 호랑이가 일곱 마리의 새끼를 낳아 겨우 7일이 지.. 불교 2014.07.05
아뢰야식연기(阿賴耶識緣起) 아뢰야식연기(阿賴耶識緣起)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업감연기설인 소승의 연기설 다음에 일어난 것이 아뢰야식 연기설이다. 이 연기설이 발생하게 된 이유는 업력에 의하여 생명과 세계(器世間)와의 과정이 설명되었으나, 좀 더 깊이 생각하면 우리의 신, 구, 의 삼업에 의하여 조작된 .. 불교 2014.07.01
오망상(五妄想) 오망상(五妄想)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五蘊을 일컫는 말. (1) 堅固妄想. 곧 色陰을 일컬음. 중생의 육신이 實體는 없지만 妄想으로 견고하게 交集된 물질적 존재임. (2) 虛明妄想. 受陰(蘊), 그 본체가 없어 虛明한 것임. (3) 融通妄想. 想陰(蘊), 중생의 생각은 虛요 色身은 實이어서, 心과 .. 불교 201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