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불(觀佛) 관불(觀佛)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을 마음속으로 생각하여 보는 것. ① 불의 모습 · 거룩한 자태를 마음속으로 생각하며 觀하는 것을 色身觀, 불의 功德을 생각하는 것을 法身觀, 마음속의 佛이 實相(이 세상의 참 道理)이라고 觀하는 것을 實相觀 또는 眞身觀이라 한다. ② 源信의 .. 불교 2015.09.21
범(梵) 범(梵)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brahman의 음역으로 梵摩 · 梵覽摩 · 婆羅賀磨라고도 하고, 寂靜 · 淸淨 · 淨潔 · 淨行 · 高淨 · 離欲이라 번역한다. ① 婆羅門敎 특히 Upanisad철학에서 말하는 우주의 근본 원리. 곧 일체 현상세계는 梵이 전개 · 변화하여 생긴 것이라 한다. 또 .. 불교 2015.09.17
안거(安居) 안거(安居)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雨期의 뜻. 夏行 · 夏經 · 夏斷 · 夏籠 · 夏坐 · 座夏 · 白夏라고도 한다. 인도의 降雨期 3개월간에 실시되는 불교승단의 특수한 연중행사를 말함. 夏季 降雨期중에 一夏九旬, 곧 4월 6일부터 7월 15일에 이르는 90일동안은 첫째로는 돌아다니는데 .. 불교 2015.09.15
목탁(木鐸) 목탁(木鐸)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① 둥굴게 만든 木魚를 우리 나라에서는 木鐸이라 한다. 본래 중국의 禪院에서 아침 먹을 때와 낮의 밭 일 때에 쓰던 것인데 우리 나라에서는 불전에서 염불 · 讀經 · 예배할 때에 쓰고, 공양할 때나 대중을 모을 때에 쓰고 있음. ② 鐸은 방울, 金鐸.. 불교 2015.09.12
불배(不拜) 불배(不拜)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歸衣戒를 받은 우바새 · 우바이는 다른 道의 天神 등에 절하지 않으며 구족계를 받은 비구와 비구니는 국왕과 부모에게 절하지 못한다. 般舟三昧經四輩品「스스로 命을 부처님에게 돌리거나 法에 돌리거나 비구승에게 돌린 사람은 다른 道를 얻어.. 불교 2015.09.09
불교문학(佛敎文學) 불교문학(佛敎文學)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불교의 세계관과 종교사상 등을 주제로 하는 문예작품과 經典 전반. 불교의 경전은 그 자체가 심오한 교리를 말하기 위해 애욕· 증오· 모략· 질투· 정의 등 인간의 모든 일을 재미 있게 엮고 있어 일대 문학작품이라 할 수 있다. 팔리어 .. 불교 2015.09.08
연화(蓮華) 연화(蓮華)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沼澤에 生하는 宿根草本植物. 꽃의 色香이 사랑스럽고, 또 진흙 가운데 나서 淸淨한 꽃을 피우는 것으로(특히 白蓮華), 인도에서는 古來로 珍重한 보배로 여기고, 불교에서도 높혀서, 불타나 보살의 坐를 흔히 연꽃의 받침(蓮台)으로 한다. 인도의 연꽃.. 불교 2015.09.04
법이도리(法爾道理) 법이도리(法爾道理)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태어난 것은 반드시 죽고, 因이 있으면 반드시 果가 있는 것 같은 道理.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불교 2015.09.04
원교(圓敎) 원교(圓敎)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원만하고 완전한 敎의 뜻. 舊譯 華嚴經卷五十五에는 善伏童子에게 圓滿因緣修多羅를 說했다고 했다. 중국에서 모든 경전의 내용을 體系化해서 비판분류하는데(敎相判釋), 究極的인 敎를 가끔 圓敎라고 부른다. ① 北魏의 慧光은 漸 ․ 頓 ․ 圓.. 불교 2015.09.02
正見과 邪見(중아함 삼도경) 正見과 邪見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이 기원정사(祇園精舍)에 계실 때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세상에 세 가지 그릇된 견해를 가진 외도(外道)가 있는데, 슬기로운 사람들은 그것을 밝게 가려내어 추종하지 말아야 한다. 만약 그러한 견해를 따른다면 이 세상의 .. 불교 2015.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