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대강좌(269)-第二十八 不受不貪分(보살은 복덕을 탐하지 않는다) 금강경대강좌(269) -第二十八 不受不貪分(보살은 복덕을 탐하지 않는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科解] 불수불탐(不受不貪)이란 주관 · 객관을 초월하여 선악을 여읜 자리에는 화복을 받는 주체도 객관도 없으며 미추호오(美醜好惡)가 붙을 수 없으므로 탐착할 것도 ..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9.14
금강경대강좌(268)-不受不貪分 第二十八 금강경대강좌(268)-不受不貪分 第二十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須菩提야 若菩薩이 以滿恒河沙等世界七寶로 持用布施하고 若復有人이 知一切法無我하야 得成於忍하면 此菩薩이 勝前菩撒의 所得功德이니 何以故오 須菩提야 以諸菩薩은 不受福德故니라 須菩提야 白..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9.13
금강경대강좌(267)-수보리 여약작시념~ 금강경대강좌(267)-수보리 여약작시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原文] 須菩提 汝若作是念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說諸法斷滅 莫作是念 何以故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於法 不說斷滅相 [解義] 「수보리야, 네가 만일 이런 생각을 하되,「아뇩다..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9.12
금강경대강좌(266)-수보리 여약작시념~ 금강경대강좌(266)-수보리 여약작시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原文] 須菩提 汝若作是念 如來不以具足相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須菩提 莫作是念 如來不以具足相故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解義] 「수보리야, 네가 혹 이런 생각을 했다면 그것은 큰 ..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9.11
금강경대강좌(265)-第二十七 無斷無滅分(단멸이 아니다) 금강경대강좌(265)-第二十七 無斷無滅分(단멸이 아니다)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科解] 앞에서 第二六 법신은 상이 아니란 법신비상분(法身非相分)을 말씀하실 적에 여래는 三二상 · 八十종호(種好)로 볼 수 없다고 하셨고, 또한 모양이나 소리로 부처님을 찾는다면 ..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9.10
금강경대강좌(264)-無斷無滅分 第二十七 금강경대강좌(264)-無斷無滅分 第二十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須菩提야 汝若作是念하되 如來 不以具足相故로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면 須菩提야 莫作是念하라 如來不以具足相故로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니라 須菩提야 汝若作是念하되 發阿耨多..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9.09
금강경대강좌(263)-說義 금강경대강좌(263)-說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전에 한 수좌(首座)가 조주무자(趙州無字) 화두를 하는데「무! 무!」하고 소리내어 외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이 화두의 뜻은 이렇습니다. 부처님께서「온갖 것이 다 불성(佛性)이 있다(有情無情 皆有佛性)」고 하셨는데,..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9.08
금강경대강좌(262)-이시 세존 이설게언~ 금강경대강좌(262)-이시 세존 이설게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原文] 爾時 世尊 而說偈言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解義]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읊어서 말씀하시기를「약이색견아(若以色見我) 어떤 모양으로, 삼십이상 팔십종호(三十二相 ..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9.07
금강경대강좌(261)-불언 수보리 약이~ 금강경대강좌(261)-불언 수보리 약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原文] 佛言 須菩提 若以三十二相 觀如來者 轉輪聖王 卽是如來 須菩提 白佛言 世尊 如我解佛所說義 不應以三十二相 觀如來 [解義] 「수보리야, 네 말과 같이 만일 삼십이상으로 여래를 보는 것이라면 전륜..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9.06
금강경대강좌(260)-수보리 어의운하 가이~ 금강경대강좌(260)-수보리 어의운하 가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原文] 須菩提 於意云何 可以三十二相 觀如來不 須菩提言 如是如是 以三十二相 觀如來 [解義]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냐. 삼십이상으로 부처님을 본다고 할 수 있겠느냐.」부처님께서 수보리존자..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