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침투발(以針投鉢) 이침투발(以針投鉢)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龍樹의 제자인 迦那提婆가 처음 外道가 되었을 때, 교살라국에 가서 龍樹를 찾아 뵙고 論識을 묻자, 龍樹가 제자를 시켜 발우에 물을 가득 담아서 提婆 앞에 놓았다. 그때 提婆가 말없이 보고 있다가 바늘(針) 하나를 발우.. ᄉ~ㅇ(시옷~이응) 2016.08.13
암증(暗證) 암증(暗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원래 일반불교신자가 禪하는 사람을 비난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 禪者의 깨달음은 經論의 정확한 뒷받침이 없다는 뜻. ② 力量이 없는 禪者. ③ 스승의 印可도 없이 함부로 크게 깨달은 체 자랑하는 것.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 ᄉ~ㅇ(시옷~이응) 2016.07.13
여롱여아(如聾如啞) 여롱여아(如聾如啞)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大보살을 위한 敎인 화엄경이 說해진 때에, 사리불 등의 聲聞은 列席하여 있었지만, 그 高遠한 敎說을 了解하여 깨달을 수가 없었던 것은, 귀머거리와 같고 벙어리와 같았기 때문이라고 한 것으로서, 대승보살에 대한 圓敎.. ᄉ~ㅇ(시옷~이응) 2016.05.21
아육왕(阿育王) 아육왕(阿育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soka. 인도 마우리아 왕조 제3대 왕(B.C. 268~B.C. 232년간 재위한 것으로 추정). 구역은 阿恕伽라 하며, 신역은 阿輸伽라 한다. 無憂라 번역. B.C. 2세기에 전 인도를 통일하고 불교를 보호한 왕. 남전과 북전에 그 기록이 꼭 같지 .. ᄉ~ㅇ(시옷~이응) 2016.05.11
영귀예미(靈龜曳尾) 영귀예미(靈龜曳尾)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거북이가 진흙 속에서 꼬리를 끄는 것과 같아서 아무리 털고 닦아도 깨끗해 질 수 없고, 그 흔적을 아무리 지우더라도 다시 흔적이 생김을 뜻하는 말. 곧 자신이 한 일을 숨길수록 더욱 드러나게 됨을 가리키는 말. 출전 : .. ᄉ~ㅇ(시옷~이응) 2016.04.03
여시(如是) 여시(如是)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이와 같은 것. 經의 첫 머리에 두는 말.「이와 같이 들었음」이라고 하는 때의 如是는「이것은 불타가 說한 敎」라 믿고 의심하지 않는 것을 보이는 것이기 때문에, 그 의미로 六成就 중의 信成就라 한다. ② 온갖 사물의 있는 그.. ᄉ~ㅇ(시옷~이응) 2016.04.01
예배(禮拜) 예배(禮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공경하는 뜻을 신체적 동작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가지가지의 방법이 있다. 法苑珠林 卷二十에는, 부처님께 예배하는데 일곱가지가 있다고 한다(七種禮佛). 곧 我慢憍心禮ㆍ唱和求名禮(명예 등을 구하기 위하여 한다)ㆍ身心恭.. ᄉ~ㅇ(시옷~이응) 2016.03.28
숭산(崇山) 숭산(崇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중국 하남성 하남부 등현에 있는 산. 別名으로 崇高山·中嶽. 산이 깊으며 고요하여 세속의 번거로움을 여의었으므로 예로부터 사찰이 많았다. 그 밖에 面壁山 등을 비롯하여 고적 古廟祠도 많이 있다. 또 양나라 武帝 때(502~549) 중.. ᄉ~ㅇ(시옷~이응) 2016.03.23
소소영영(昭昭靈靈) 소소영영(昭昭靈靈)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昭昭는 밝은 모양, 靈靈은 정신작용의 불가사의함. 즉 心識이 미묘하여 명백한 양상을 형용하는 말.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2016.03.18
인타라망(因陀羅網) 인타라망(因陀羅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因陀羅는 범어 Indra의 音譯. 帝釋天을 가리킨다. 따라서 帝釋天의 網을 뜻하며 약해서 帝網이라고도 한다. 帝釋天宮殿을 장엄하는 網은 각각 코마다 寶珠가 붙어서 각각의 코에 달린 寶珠는 다른 일체의 寶珠의 그림자를 .. ᄉ~ㅇ(시옷~이응) 2016.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