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각(緣覺) 연각(緣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범어 pratyeka-buddha(各自가 깨닫다는 뜻)의 번역. 獨覺이라고도 번역하고, 또 辟支佛로 音譯. 불타의 가르침에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道를 깨달은 이로, 寂靜한 고독을 좋아할 뿐 說法敎化하지 않는다고 하는 일종의 聖者. 聲聞.. ᄉ~ㅇ(시옷~이응) 2018.01.12
악(惡) 악(惡)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不善의 뜻. 道理에 배반하여 自他를 손해하고, 현재 및 장래에 괴로움을 초래하는 因이 되는 성질. 善 · 惡 · 無記(非善非惡)의 三性으로 나누는 경우의 하나. 이런 때는 자세히는 惡性이라고도 하는데, 또 造惡을 좋아하는 성질까지.. ᄉ~ㅇ(시옷~이응) 2018.01.12
선(善) 선(善)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不善과 無記(善도 不善도 아닌 것)를 더하여 三性이라고 한다. 현재 · 미래에 걸쳐서 自他에 이익을 주는 白淨의 法을 善이라 하고, 이에 反하는 것을 不善(惡)이라고 한다. 앞에 것을 白, 뒤에 것을 黑이라고도 한다. ① 二善. (1) 有漏.. ᄉ~ㅇ(시옷~이응) 2018.01.12
외도(外道) 외도(外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tirthaka. 인도에 있어서 불교이외의 敎. 불교를 內道라고 하는데 대한 對稱. 外敎 · 外法 · 外學이라고도 하고, 後世에는 邪法 · 邪義의 의미를 갖는 貶稱으로 쓰인다. 인도의 外道로 알려지고 있는 것에 六師外道, 六派哲學.. ᄉ~ㅇ(시옷~이응) 2018.01.12
인과(因果) 인과(因果)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원인과 결과를 말함. 결과를 낳게 하는 것이 因이고 그 因에 의해 생기는 것이 果이다. 시간적인 因果 관계로 볼 때 因은 앞에 있고 果는 뒤에 있으므로 因果異時라 한다. 그러나 묶은 갈대를 서로 의지해서 세우는 것은 넓은 의.. ᄉ~ㅇ(시옷~이응) 2018.01.11
성문(聲聞) 성문(聲聞)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소리를 듣는 사람이란 뜻으로 제자라고도 번역한다.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깨닫는 것을 가리킨다. 원래는 佛在世時의 제자를 말하지만 緣覺 · 菩薩에 대해 二乘 · 三乘의 하나로 열거할 때는 부처님의 敎說에 따라 수행을 하지.. ᄉ~ㅇ(시옷~이응) 2018.01.11
석존(釋尊) 석존(釋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akyamuni. (BC 623~544) 불교의 교조로 존칭한 석가세존을 일반적으로 석존이라 부른다. 또는 석가 · 석가모니 · 瞿曇佛陀라고도 부른다. 석가는 그가 속한 종족 sakya의 명칭이고 muni는 성자의 뜻이며, 瞿曇은 석존의 성이고 悉達.. ᄉ~ㅇ(시옷~이응) 2018.01.11
선지식(善知識) 선지식(善知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바른 도리를 가르치는 자를 善知識(善友·親友·勝友·善親友 등이라고도 한다), 그릇된 길로 인도하는 자를 惡知識(惡友·惡師 등이라고도 한다)이라 하고, 단지 知識이라고 할 때에는 善知識의 뜻으로 한다. 예컨대 화엄경 .. ᄉ~ㅇ(시옷~이응) 2018.01.11
삼성(三性) 삼성(三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모든 존재의 본성이나 事物의 존재하는 상태(性相)를 有無·假實이라고 하는 점에서 세 가지로 나눈 것을 三性이라고 하고, 三性이 각각 無自性空이라고 하는 것을 三無性이라고 한다. 解深密經卷二의 一切法相品등에 근거한 .. ᄉ~ㅇ(시옷~이응) 2018.01.11
아미타불(阿彌陀佛) 아미타불(阿彌陀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mitabha Buddha,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부처님의 한분. 阿彌陀婆(無量光, amitabha)·阿彌陀庾斯(amitayus, 無量壽)라 음역한다. 이 중에서 婆(abha)는 光明의 뜻이며, 庾斯(ayus)는 壽의 뜻이다. 또는 無量淸淨佛.. ᄉ~ㅇ(시옷~이응) 2018.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