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애(五礙) 오애(五礙)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障과 같음. ① 수도상 다섯 가지 장애. 煩惱障·業障·生障·法障·所知障. ② 여자는 梵天王·帝釋天·魔王·轉輪聖王·佛이 될 수 없는 것. ③ 信·進·念·定·慧의 五善根의 장애가 되는 欺·怠·瞋·恨·怨. 출전 : 불.. ᄉ~ㅇ(시옷~이응) 2016.03.15
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 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신라 때의 명승 원효가 자신의 저술인 무량수경종요를 더욱 깊이 부연하여 정토사상을 논한 책. 1권 1책. 印本. 내용의 論調는 탁월하고, 문장은 論文 체제로 간략하면서도 뜻이 깊고 화려하여, 종교의 극치를 이루는 .. ᄉ~ㅇ(시옷~이응) 2016.03.08
우담발라화(優曇跋羅華) 우담발라화(優曇跋羅華)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優曇婆羅 ∙ 烏曇跋羅 ∙ 鄔曇鉢羅 ∙ 優曇鉢 ∙ 優曇 ∙ 烏曇 ∙ 優曇華 ∙ 優曇鉢華라고도 쓴다. 우담바라는 번역하여 靈瑞 ∙ 瑞應이라 한다. 인도에서 전륜성왕이 나타날 때 꽃이 핀다.. ᄉ~ㅇ(시옷~이응) 2016.02.29
수미산(須彌山) 수미산(須彌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須彌樓 · 修迷樓 · 蘇迷盧 · 迷盧라고 부르며, 妙高 · 妙光 · 安明 · 善積이라 번역한다. 4洲 세계의 중앙인 金輪위에 우뚝 솟은 산이다. 이 산의 주위에 7山 8海가 있고 또한 철위산이 들려 있으며, 물 위에 보이는 것이 8.. ᄉ~ㅇ(시옷~이응) 2016.01.23
아승지(阿僧祇) 아승지(阿僧祇)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samkhya의 음역으로 無央數 등으로 번역. 화엄경 阿僧祇品에서는 124大數중 제105, 大毘婆沙論 177, 大智度論 4, 華嚴經探玄記 15에 여러 가지 명칭과 설명이 있다. 범어의 原音은 아승캬이지만 예부터 아승지로 불러 왔다. 보.. ᄉ~ㅇ(시옷~이응) 2016.01.21
실상무상(實相無相) 실상무상(實相無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리를 達觀하는 진실한 지혜도 緣이 없으면 實相도 無相하고, 지혜에 緣이 있어도 實體와 같지 않으면 實智가 아니며, 相에 相이 있어도 實智의 境이 아니며 實相이 아니라 함.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 ᄉ~ㅇ(시옷~이응) 2015.12.31
일체(一切) 일체(一切)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sarva의 번역. 모든 것. 온갖 것을 말함. 전부 · 다 · 전체를 포함할 때 全分의 一切와 대부분을 포함할 때 少分의 一切가 있다. 또 一切의 法 곧 五蘊 · 十二處 · 十八界를 말하는 것처럼 각각 보는 각도에 따라 法의 體系를 .. ᄉ~ㅇ(시옷~이응) 2015.12.27
의발(衣鉢) 의발(衣鉢)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① 三衣와 鉢을 말함. 僧侶의 중요한 지참물로, 出家受戒할 때에는 三衣一鉢이 정돈되어 있는 것을 조건의 하나로 한다. ② 禪宗에서는, 法을 전하는 표로 스승의 袈裟와 鐵鉢을 제자에게 준 것에서, 法을 전하는 것을「衣鉢을 전한.. ᄉ~ㅇ(시옷~이응) 2015.12.26
이종병(二種病) 이종병(二種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身病. 육신의 四大가 不調하여 일어나는 病苦를 身病이라 함. (2) 心病. 근심하고 슬퍼하는 마음이 많거나, 기쁨이 정도에 지나치거나, 두려워하는 마음이 많고 愚痴 등에 의하여 마음의 평화를 잃어버려서 일어나는 마음의 .. ᄉ~ㅇ(시옷~이응) 2015.12.25
사문(四問) 사문(四問)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부처님이 입멸하려고 할 때에 아난이 슬픔에 빠져 몸 둘 곳을 몰라하였다. 그 때에 阿泥樓豆가 아난존자를 위로하여 말하기를「여래께서 滅度할 때가 되었으니 네 가지 의문나는 질문을 하여 내 마음을 열어달라」하였다. 아난이 .. ᄉ~ㅇ(시옷~이응) 201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