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허진(隣虛塵) 인허진(隣虛塵)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原子를 말함. 極少의 물건을 나타내는데 사용함. 新譯으로는 極微. 色法의 가장 작은 물질. 虛空에 이웃한 色法의 근본. 勝論 외도들은 이 인허진이 三災劫의 마지막 때에도 없어지지 않고, 허공에 흩어져 항상 존재한다고 하며, 불교 소승 有部宗.. ᄉ~ㅇ(시옷~이응) 2015.11.12
염착(染着) 염착(染着)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妄念으로 인하여 객관에 나타난 대상을 실지로 알고 집착하는 것.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2015.11.09
세의식(細意識) 세의식(細意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無始의 과거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결같은 상태로 간단없이 상속하는 미세한 心識을 말하며, 上座部의 說이라 한다. 經量部에서는 이것을 一味蘊이라 한다. 이 心識이 우리들의 윤회의 주체라고 생각되었다. 이것은 唯識說에 있어서의 阿.. ᄉ~ㅇ(시옷~이응) 2015.11.06
오행(五行) 오행(五行)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運行하는 다섯가지 元氣. 水火木金土를 말한다. 불교渡來 이전에 있던 중국思想으로, 여기에 相生과 相剋의 兩說이 있다. ② 보살이 수행하는 5종의 行法. 施(베풀음)·戒(경계하는 것을 지킨다)·忍(괴로움이나 즐거움에 마음이 움직이지 않음)·.. ᄉ~ㅇ(시옷~이응) 2015.10.30
십은(十恩) 십은(十恩)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發心普被恩. 여래가 최초로 보리심을 내어 勝行을 수행하고 공덕을 성취하여 모든 중생이 모두 이익 안락케 하고자 하는 것. (2) 難行苦行恩. 여래가 옛날 고행할 때에 몸을 깎아 千燈을 만들었고 굶주린 범에게 몸을 던져 주는 등 수많은 난행과 고.. ᄉ~ㅇ(시옷~이응) 2015.10.29
은애(恩愛) 은애(恩愛)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親子夫妻 등의 사이에, 서로 집착하는 情愛를 말함. 이 세상에 있어서는 사람들은 부모들과 서로 은혜를 느끼고 사랑에 빠져 항상 恩愛의 끈에 묶이여서 자유를 얻지 못하기 때문에, 이 세계를 恩愛의 감옥이라고도 한다. 또 이 恩愛를 버리고 깨달음.. ᄉ~ㅇ(시옷~이응) 2015.10.25
삼불견법(三不堅法) 삼불견법(三不堅法)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身不堅. 부모에게 받은 육신은 四大가 거짓으로 화합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에 생멸이 무상하여, 오래도록 보존할 수 없는 것. (2) 命不堅. 사람이 누리는 수명은 비록 길고 짧음이 같지 않으나 다같이 꿈과 幻의 體가 되기 때문에 무상하여 .. ᄉ~ㅇ(시옷~이응) 2015.10.24
세간(世間) 세간(世間)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loka의 번역. 略해서 世라고도 하고 路迦라 音譯함. 깨지고 부서지게 될 것, 세상이란 뜻. 世間에 속한 것도 世間(범어 lauki=ka)이라고 한다. 이런 경우는 世俗 · 凡俗의 뜻. 세상의 事物 · 번뇌에 얽매어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존재의 모든 현상을 .. ᄉ~ㅇ(시옷~이응) 2015.10.24
삼부경(三部經) 삼부경(三部經)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三經이라고도 한다. 經典 중에서 三部를 가린 것. 예컨대, (1) 淨土의 삼부경은 無量壽經·觀無量壽經·阿彌陀經. (2) 法華의 삼부경은 無量義經·法華經·觀普賢經. (3) 鎭護國家의 삼부경은 法華經·金光明經·仁王經. (4) 大日의 삼부경은 大日.. ᄉ~ㅇ(시옷~이응) 2015.10.23
육신병상(六神病相) 육신병상(六神病相)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정신이 가물가물 혼미해지는 것은 肝(간) 중에 魂(혼)이 없기 때문이다. (2) 건망증이 심하여 일의 前後를 잊어버리는 것은 心중에 神이 없기 때문이다. (3) 공포증 정신병 등이 일어나는 것은 肺(폐) 중에 魄(백)이 없기 때문이다. (4) 공연히 .. ᄉ~ㅇ(시옷~이응) 2015.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