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한(阿羅漢) 아라한(阿羅漢)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범어 arhan의 音譯. 이것은 男性, 主格, 單數의 形이니, 原形은 arhat. 阿羅訶 · 阿囉呵 · 阿盧漢 · 遏囉曷帝라고도 쓰고, 略하여 羅漢 · 囉呵라고도 한다. 應供 · 應 · 殺賊 · 不生 · 無生 · 應眞 · 眞人.. ᄉ~ㅇ(시옷~이응) 2018.01.10
여래(如來) 여래(如來)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tathagata의 번역. 多陀阿伽度·怛薩阿竭·怛他誐多·多阿竭이라 音譯. 如去라고도 번역한다. 진리(곧 如)에 따라서 왔고, 眞如에서 現出한 이, 곧 佛陀를 말함. 위없는 높은 이라고 하는 의미로 無上의 無上, 곧 無上上이라고도.. ᄉ~ㅇ(시옷~이응) 2018.01.10
염불(念佛) 염불(念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타를 念하는 것. 念佛은 일반으로 불도수행의 기본적 行法의 하나인데, 여기에는 理法으로서의 불타를 念하는 法身의 念佛과, 불타의 공덕이나 불타의 相을 마음에 떠올려서 보는 觀念의 念佛과, 불타의 이름을 입으로 부르는 .. ᄉ~ㅇ(시옷~이응) 2018.01.10
선(禪) 선(禪)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dhyana의 音略. 禪那 · 馱衍那(타연나) · 持阿那 등이라 음역하고, 靜慮 · 思惟修習 · 棄惡 · 功德總林 등으로 번역한다.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專注해서 자세히 思惟하는 것을 말하고, 定과 慧가 均等한 것을 말한다. 禪은 大乘.. ᄉ~ㅇ(시옷~이응) 2018.01.10
석가모니(釋迦牟尼) 석가모니(釋迦牟尼)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akyamuni. 能仁 寂默이라 번역함. 불교의 敎祖로서 釋迦 · 釋迦文이라고도 약칭하는데, 釋迦는 종족을 이름하고 釋迦牟尼는 석가족의 聖者란 뜻이다. B.C. 623년 중인도 가비라 代窣堵의 城主 정반왕의 태자로, 룸비.. ᄉ~ㅇ(시옷~이응) 2018.01.08
야단법석(野壇法席) 야단법석(野壇法席)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들판에 임시로 說法하는 자리를 만든 것으로, 주최 측이 분주하여 뜻이 변해서 시끌 벅적한 곳을 가리킨다. 참고 법석(法席) : 법회대중이 둘러 앉아서 佛法을 강습하는 자리. 설법(說法) : 불타의 도를 사람들에게 說하여 .. ᄉ~ㅇ(시옷~이응) 2017.12.12
유집수(有執受) 유집수(有執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有執受는 범어 upatta의 번역으로, 感覺을 내게 하는 것을 말하고, 그 이외의 것을 無執受(非執受)라 한다. ① 俱舍宗에서는, 현재 순간의 생명인 眼 등의 五根 및 그와 관계하는 色 · 香 · 味 · 觸의 四境은, 心 · 心所(心의 .. ᄉ~ㅇ(시옷~이응) 2017.06.02
삼종(三從) 삼종(三從)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여자가 따르는 세 가지 道. 유교에서 여자의 婦道의 하나로 정했으며, 불교에서는 여자의 다섯 가지 장애 가운데 셋으로 친다. 참고 오장(五障) : 다섯가지의 막힘. 五礙라고도 한다. ① 여자는 梵天王 · 帝釋 · 魔王 · 轉輪聖.. ᄉ~ㅇ(시옷~이응) 2017.05.30
상응(相應) 상응(相應)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amprayukta의 번역. 평등하게 화합한다는 뜻. 法과 法이 서로 和合하여 떨어지지 않는 관계에 있는 것. 특히 마음과 心所간의 관계에 대해서 말하는 수가 많다. 六因 중의 相應因은 이것이며, 俱舍論 卷六에 五義平等을 相應이라.. ᄉ~ㅇ(시옷~이응) 2016.12.21
선남자선여인(善男子善女人) 선남자선여인(善男子善女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善은 전세에 十善을 닦은 善因이 있다는 뜻. 곧 전세의 善因으로 금세에 불법을 듣고 信行하는 功德을 짓는 男 · 女라는 뜻으로 선남자 · 선여인이라고 한다. ② 도덕심이 강한 男 · 女라는 뜻으로도 쓴다. .. ᄉ~ㅇ(시옷~이응) 2016.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