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因緣) 인연(因緣)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因과 緣 및 결과(果)를 생기게 하는 내적인 직접원인이 因이고, 외부에서 이를 돕는 간접적인 원인이 緣이다. 이것을 內因 · 外緣이라 하고 親因 · 疏緣이라고도 한다. 또 因을 廣義로 해석하여 因과 緣을 합쳐서 因이라 하고 이.. ᄉ~ㅇ(시옷~이응) 2018.01.14
심(心) 심(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범어 citta의 번역. 質多라 음역. 心法이라고도 한다. 어느 대상을 포착하여 思惟하는 작용을 하는 것. (1) 心王 및 心所法의 총칭. 色(物質) 또 몸(肉體)에 대한 것. 5蘊중에서 受 · 想 · 行 · 識의 4蘊이 여기에 해당된다. (2) 心王을 .. ᄉ~ㅇ(시옷~이응) 2018.01.14
유식(唯識) 유식(唯識)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識 곧 心의 本體의 轉變을 떠나서, 어떠한 實在도 없다고 하는 說. 곧 우리들이 자기의 心外에 있다고 하는 物心의 모든 現象은, 우리들의 第八識 그 자체가 主觀(見分)과 客觀(相分)으로 變하여 나타나서, 인식의 대상과 같은 모습.. ᄉ~ㅇ(시옷~이응) 2018.01.14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nuttara-samyak-sambodhi의 音譯. 阿耨三菩提·阿耨菩提라 音略하고, 無上正等正覺·無上正眞道·無上正遍知라 번역한다. 혹은 후반만을 취해서 三藐三菩提라고 쓰기도 하고, 번.. ᄉ~ㅇ(시옷~이응) 2018.01.13
사향사과(四向四果) 사향사과(四向四果)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四向四得 · 四雙八輩 · 八補特伽羅 · 八賢聖 · 八聖이라고도 한다. 곧 預流向 · 預流果 · 一來向 · 一來果 · 不還向 · 不還果 · 阿羅漢向 · 阿羅漢果의 총칭. 小乘佛敎에서 수도하여 깨달음을 얻어 들어가는 品.. ᄉ~ㅇ(시옷~이응) 2018.01.13
인도불교(印度佛敎) 인도불교(印度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도는 불타의 탄생지로서 불교사에서 가장 중요한 지위를 점하고 있다. 이러한 인도에서의 불교를 원시불교 · 부파불교 · 대승불교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1) 원시불교. 창시기의 불교로, 석존의 생애 중의 가르침을 .. ᄉ~ㅇ(시옷~이응) 2018.01.13
신라불교(新羅佛敎) 신라불교(新羅佛敎)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신라 제19대 눌지왕 때 고구려의 묵호자를 통하여 들어온 불교는 신라 종교의 주류를 이루었다. 즉 6세기 초부터 말기까지 약 400년간 꾸준히 이어왔는데, 크고 작은 절들이 무수히 서고, 이름난 고승들이 연달아 나왔으며 .. ᄉ~ㅇ(시옷~이응) 2018.01.13
소승(小乘) 소승(小乘)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어 hinayana. 乘은 싣고 운반하는 뜻. 일체 중생이 모두 부처가 되기에는 너무나 작고 보잘 것 없는 수레라는 뜻. 대승의 對. 이 교법 중에서 敎·理·行·果가 모두 深遠 광대하고, 따라서 수행하는 사람도 大器利根인 機類를 요하.. ᄉ~ㅇ(시옷~이응) 2018.01.12
이조불교(李朝佛敎) 이조불교(李朝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조시대의 대표적인 종교로는 역시 불교를 들 수 있다. 이조에서는 처음부터 불교를 배격하고 유교를 숭상하였으나 오랜 기간에 걸쳐 번성하였던 불교 중심의 문화가 일시에 거세될 수는 없었다. 그러나 고려 이래로 불.. ᄉ~ㅇ(시옷~이응) 2018.01.12
사제(四諦) 사제(四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諦는 범어 satya, 파리어 sacca의 번역으로 진리란 뜻. 자세히는 四聖諦 · 四眞諦라 하며 4가지의 틀림없는 진리를 말한다. 四諦는 대체로 12緣起의 뜻을 교리적으로 조직화한 것으로 원시불교의 교리의 대강이 표시되어 있다. 이.. ᄉ~ㅇ(시옷~이응) 2018.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