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가(印可) 인가(印可)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① 印信許可 · 印定許可하는 것. 스승이 弟子를 證明認可하는 것. 곧 스승이 弟子에게 法을 傳授하고 제자는 그 法을 얻어 깨닫고 그 깨달음을 얻은 것을 證明認可하는 것. ② 對境을 옳다고 소상하게 밝혀 認定하는 것. 출전 : 불.. ᄉ~ㅇ(시옷~이응) 2015.12.17
염오(染汚) 염오(染汚)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染汚라 함은 번뇌의 흐림에 물들어 더러워져 있다는 뜻. 또 雜染, 染이라고도 한다. 有漏法중, 깨달음에의 길을 방해하는 것. 곧 不善과 有覆無記를 染汚라고 하고, 善과 無覆無記를 不染汚라고 한다(俱舍論 卷七). 그렇더라도 成唯.. ᄉ~ㅇ(시옷~이응) 2015.12.09
육념(六念) 육념(六念)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六念法 · 六隨念이라고도 한다. (1) 念佛. 佛은 10號를 구족하고 대자대비의 광명을 갖추었으며 중생의 고통을 능히 구제하는 신통이 무량한 분이므로 우리도 佛과 같기를 念願하는 것. (2) 念法. 여래가 說한 3藏 12部經은 큰 공덕이 .. ᄉ~ㅇ(시옷~이응) 2015.12.08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고대 인도의 5천축국을 답사한 여행기. 1권 1책. 신라시대의 승려 慧超(704~787)가 727(성덕왕 26)년에 지은 책이다. 이 책은 1908년 프랑스의 동양학자 P. 펠리오가 중국 북서 지방 甘肅省의 敦煌에서 발견, 중국의 羅玉.. ᄉ~ㅇ(시옷~이응) 2015.12.03
일미(一味) 일미(一味)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절대의 입장에서 모든 것은 동일하고 평등하고 차별이 없다는 것. 대개는 佛法을 가리킨다. 병에 있는 물을 한 방울도 흘리지 않고 다른 병에 옮기는 것을 一味瀉甁이라고 함은 제자가 스승으로부터 敎法을 그대로 傳授받는 것의 .. ᄉ~ㅇ(시옷~이응) 2015.12.03
유가파(瑜伽派) 유가파(瑜伽派)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① 中觀派와 더불어 인도 대승불교를 형성한 학파. 수행의 방법으로 瑜伽行(요가)을 중요시하므로 瑜伽行派라고도 한다. 또 唯識사상을 발전시켰으므로 유식파(혹은 유식학파)라고도 한다. 대승불교의 또다른 한 파인 중관파.. ᄉ~ㅇ(시옷~이응) 2015.11.22
삼혼칠백(三魂七魄) 삼혼칠백(三魂七魄)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간의 정신작용을 魂, 형체에 의지하여 머무르고 있는 靈을 넋(魄)이라 함. 抱朴子에는 形體가 分散하면 몸에 머무르고 있던 三魂七魄을 본다고 했다. 또 지장보살발심인연시왕경에는 3혼칠백을 설명하고 있는데 다 道敎에서 나온 말로 본다.. ᄉ~ㅇ(시옷~이응) 2015.11.20
상(相) 상(相)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표·특징·특성·또는 상태·樣相·形相등의 뜻. 때로는 뒤의 것의 의미로, 體(本體)·用(작용)의 對語로 쓰이며, 볼 수 있고 알 수 있는 것의 모습을 의미한다. 그것 자체만이 가지고 있는 相을 自相, 다른 것에도 공통하는 相을 共相이라고 한다.(自相은 .. ᄉ~ㅇ(시옷~이응) 2015.11.20
삼혼(三魂) 삼혼(三魂)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사람에게 있는 세 가지의 영혼을 말함. 참고 三魂 : 胎光業魂神識· 幽情轉魂神識· 相靈現魂神識.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2015.11.14
원리(遠離) 원리(遠離)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佛道에 방해되는 것을 멀리 여의는 것. 또 無爲法은 그 本性이 空으로 有爲의 事相을 脫離하고 있기 때문에, 無爲의 別稱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처음 수행할 때 身 · 心의 惡을 遠離함으로 淸淨하게 하는 것을 二種遠離(身遠離 · 心遠離)라 한다. .. ᄉ~ㅇ(시옷~이응) 2015.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