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근마(善根魔) 선근마(善根魔)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魔의 하나. 자신이 행하는 좋은(착한)일에 대해 집착하는 것. 이 집착 때문에 修道에 장애가 되므로 이렇게 이름. 참고 십마(十魔) : 10種의 煩惱를 魔軍에 비유함. ① 欲 · 憂愁 · 飢渴 · 愛 · 睡眠 · 怖畏 · 疑 · 瞋ঢ.. ᄉ~ㅇ(시옷~이응) 2018.02.16
서원(誓願) 서원(誓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願을 發하여, 그것을 이루고자 맹서하는 것. 불타나 보살에게는 공통된 願인 總願(四弘誓願)과 佛 · 보살 개개의 願인 別願이 있다. 淨土敎에서는 특히 아미타불의 本願을 가리켜서 誓願이라고 한다. 그것은 널리 모든 것을 구원.. ᄉ~ㅇ(시옷~이응) 2018.02.16
요의경(了義經) 요의경(了義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실하고 극진한 구경의 진리를 말씀한 경전. 참고 요의(了義) : 佛法의 道理가 顯了하게 다 서술되어 있는 敎를 了義敎라 하고, 이에 說하는 經典을 了義經이라고 한다. 이에 반하여, 중생의 이해의 정도에 맞추어 주기 위해 .. ᄉ~ㅇ(시옷~이응) 2018.02.16
사문(沙門) 사문(沙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ramana의 음역으로 室囉末拏라고도 쓴다. 沙門은 西域지방의 言語(龜玆語 sa=mane, 于闐語 ssamana)의 음역인 듯 하다. 또 沙門那 · 桑門 · 喪門이라고도 한다. 勤勞 · 劬勞 · 功勞 · 勤懇 · 靜志 · 息止 · 息心 ·.. ᄉ~ㅇ(시옷~이응) 2018.02.15
상견(常見) 상견(常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간은 죽지만 自我는 없어지지 않으며, 5蘊은 과거나 미래에 항상 머물러 불변하여 끊어지는 일이 없다고 고집하는 그릇된 見解. 참고 자아(自我) : 범어 atman. ① 자기 자신. 타인에 대한 나. 자기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 나. .. ᄉ~ㅇ(시옷~이응) 2018.02.15
생멸멸이(生滅滅已) 생멸멸이(生滅滅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열반경에「모든 행이 무상하여 이 生이 멸하는 법이요, 生이 멸한다는 것도 멸하여 적멸의 경지에 이르러야 참다운 즐거움이 된다. 諸行無常 是生滅法 生滅滅已 寂滅爲樂」라고 하였는데, 처음의 二句는 生死法을 설한 .. ᄉ~ㅇ(시옷~이응) 2018.02.14
유가(瑜伽) 유가(瑜伽)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yoga의 音譯으로 相應이라 번역한다. 調息(呼吸을 조정함)등의 방법에 의해서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여, 奢摩他·毘鉢舍那 곧 止와 觀을 주로 하는 觀行을 닦음으로 正理에 相應하여 冥合一致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密敎에서.. ᄉ~ㅇ(시옷~이응) 2018.02.14
설법오덕(說法五德) 설법오덕(說法五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설법을 듣는 사람에게 다섯 가지의 福德이 있다는 것. (1) 當生에 長者가 되는 것. 설법을 듣는 사람은 殺生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2) 當生에 큰 부자가 됨. 설법을 듣는 사람은 도둑질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3) 當生에 단.. ᄉ~ㅇ(시옷~이응) 2018.02.14
십중금계(十重禁戒) 십중금계(十重禁戒)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十重大戒라고도 하며, ① 대승의 菩薩이 범해서는 안되는 10종의 무거운 禁止사항으로 十重波羅提木叉·十波羅夷·十不可悔戒·十重禁·十重戒·十無盡戒·十重이라고도 한다. 梵網經 卷下에서는, 殺·盜·婬·妄.. ᄉ~ㅇ(시옷~이응) 2018.02.14
원불교(圓佛敎) 원불교(圓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리 나라 불교 교과의 하나로 1916년 小太山 朴重彬이 개창한 불교계의 교단. 우주의 근본원리인 一圓相의 진리를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삼는 종교로 진리적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하여 낙원세계를 실현시.. ᄉ~ㅇ(시옷~이응) 2018.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