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사문(沙門)

근와(槿瓦) 2018. 2. 15. 02:10

사문(沙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ramana의 음역으로 室囉末拏라고도 쓴다. 沙門西域지방의 言語(龜玆語 sa=mane, 于闐語 ssamana)의 음역인 듯 하다. 沙門那 · 桑門 · 喪門이라고도 한다. 勤勞 · 劬勞 · 功勞 · 勤懇 · 靜志 · 息止 · 息心 ·息惡 · 勤息 · 修道 · 貧道 · 乏道라 번역한다. 출가자의 총칭으로 內道(불교)外道에 함께 통하는 명칭이다. 머리를 깎고 악을 끊어 몸과 마음을 고요하게 해서 을 행하는 출가한 수도자를 말한다.


이를 분류하여,

(1) 勝道沙門. 行道殊升이라 한다. 또는 獨覺을 말함.

(2) 示道沙門. 說道沙門 · 善說道義라고도 함. 佛道를 조금도 틀리지 않게 설하는 것. 舍利弗 .

(3) 命道沙門. 活道沙門, 依道生活이라고도 하며, 佛道를 위하는 것이 곧 자기의 삶이라고 생각하는 것. 阿難 .

(4) 染道沙門. 壞道沙門 · 爲道作穢라고도 한다. 聖道를 더럽히는 위선자. 이상 네 가지 沙門을 말한다(長阿含·遊行經·俱舍論 卷十五 ).


따로 形服沙門 · 威儀欺誑沙門 · 貪求名聞沙門 · 實行沙門의 넷을 四種沙門이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저열한 것부터 차례로 배열한 것이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원(誓願)   (0) 2018.02.16
요의경(了義經)  (0) 2018.02.16
상견(常見)   (0) 2018.02.15
생멸멸이(生滅滅已)  (0) 2018.02.14
유가(瑜伽)   (0) 2018.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