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지(十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小乘에서 말하는 10種智.
(1) 世俗智. 세속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지혜.
(2) 法智. 欲界의 苦 · 集 · 滅 · 道를 對境으로 하고 일어나는 지혜.
(3) 類智. 색계와 무색계의 苦 · 集 · 滅 · 道를 對境으로 하고 일어나는 지혜.
(4) 苦智.
(5) 集智.
(6) 滅智.
(7) 道智.
(8) 他心智. 다른 이의 마음을 아는 지혜.
(9) 漏智. 번뇌를 모두 끊었을 때 생기는 지혜.
(10) 無生智. 勝智利根의 보살이 일으키는 지혜로 苦를 알고 集을 끊으며, 滅을 證得하기 위해 道를 닦는 것을 마치고, 다시 知 · 斷 · 證 · 修할 것이 없음을 自覺하여, 자기에게 다시 知 · 斷 · 證 · 修할 것이 없음을 아는 지혜.
② 부처님의 十種智.
③ 걸림없는 辯才를 내는 十種智. 無礙智 · 無著智 · 無斷智 · 無癡智 · 無畏智 · 無失智 · 無量智 · 無勝智 · 無懈智 · 無奪智. <新譯華嚴經> 16권에 있음.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존(三尊) (0) | 2018.02.21 |
---|---|
여(如) (0) | 2018.02.21 |
양족존(兩足尊) (0) | 2018.02.21 |
삼악도(三惡道) (0) | 2018.02.20 |
사바세계(娑婆世界) (0) | 2018.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