ᄉ~ㅇ(시옷~이응)

외착번뇌(外着煩惱)

근와(槿瓦) 2018. 3. 4. 00:34

외착번뇌(外着煩惱)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등의 번뇌는 바깥 경계에 집착하여 일어나므로 이렇게 이름.

 

참고

탐진치(貪瞋痴) : 욕심·성냄·어리석음. 이 셋은 수행인을 해롭게 함이 가장 심하므로 3이라 한다.

 

내착번뇌(內着煩惱) : 2번뇌의 하나. 마음이 어두워 자신에게 집착하는 데서 발생하는 번뇌. 五見··등을 말함. .....오견(五見)다섯가지의 . 은 생각·見解·思想의 뜻인데, 여기서는 나쁜() 생각, 그릇된 견해를 의미한다. 근본번뇌 가운데 (惡見)을 다섯가지로 나눈 것. ,

(1) 薩迦耶見. 번역해서 有身見. 하여 身見이라고도 하고, 僞身見·壞身見이라고도 번역한다. 가 있다고 하는 我見, 나에 속하는 것이라고 하는 我所見이 그것.

(2) 邊執見. 邊見이라고도 한다. 편벽된 극단을 집착하는 見解란 뜻. 나는 死後 常住(永久不變)라고 하는 常見(有見), 나는 死後 斷絶한다고 하는 斷見(無見)이 그것.

(3) 邪見. 因果의 도리를 부정하는 견해.

(4) 見取見. 잘못된 見解에 집착하여 진실한 견해라고 하는 것.

(5) 戒禁取見. 戒取見·戒盜見이라고도 한다. 바르지 않은 戒律이나, 禁制 등을 涅槃(깨달음)에 인도하는 바른 戒行이라고 고집하는 것.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줄을 본다면,

즉견여래(卽見如來) : 바로 여래를 보리라.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류과(預流果)  (0) 2018.03.04
염부제(閻浮提)  (0) 2018.03.04
인연생사(因緣生死)  (0) 2018.03.03
십이망상(十二妄想)  (0) 2018.03.03
오식(五食)  (0) 2018.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