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8

간화선(看話禪,30)-뉴사전

간화선(看話禪,3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간화(看話)를 한결같이 하는 선(禪)의 뜻. 하나의 공안을 표적으로하여 깊이 생각하고 그것을 이해하면, 또 다른 공안을 가지고 공부하고, 그래서 결국 대오(大悟)에 이른다라고 하는 선풍. 사(師)로부터 주어진 공안을 상량(商量)하는 선(禪)의 수행법. 송대(宋代)말기, 임제종(臨濟宗 : 楊岐波)의 대혜종고(大慧宗杲)(1089~1163) 일파의 선풍이 공안을 참구(參究 : 참선하여 진리를 탐구함) 궁리하는 것에 진력하고 선기(禪機)를 쓰는 것에만 치중한 점을 조동종(曹洞宗)의 굉지정각(宏智正覺)의 일파가 비난하여 한 말. 또, 후에는 변하여 단지 임제종(臨濟宗)의 수행법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간화 참고 간화(看話,30)-뉴사전 : ..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326)-뉴사전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32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에게 귀의한다는 뜻. 염불(念佛)이라고도 칭함. 염불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입으로「나무아미타불」이라 제창하는 것을 염불이라 함. 정토교에서는 이것을 육자(六字)의 명호(名號)라 부르고, 이것을 제창하는 것에 의해 정토에 태어날 수 있다고 설함. 그러나, 정토종에 따라서는 아미타불에 구제된 기쁨의 나머지 감사의 생각을 가지고 제창하는 보답의 염불이라 설명함. (해석예) 나무(南無)의 2글자는 모든 잡행을 버리고 현세를 비는 마음을 버리고, 일심으로 미타(彌陀)에 귀명(歸命)하는 마음이고, 아미타불의 4글자는 한마음 한방향으로 부탁하는 중생을 도우신다는 뜻임.「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등에 나오는데, 선..

나무아미타불 2020.10.18

오계(五戒,1786)-뉴사전

오계(五戒,178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5가지 계율. 재가(在家)의 불교신자가 지켜야 할 5가지 훈계. (1) 살생하지 말 것. (2) 도둑질하지 말 것. (3) 남녀 사이를 혼란시키지 말 것. 성에 관해서 문란하지 않는 것. 특히 부인외의 여자, 또는 남편외의 남자와 교제하지 말 것. (4) 거짓말하지 말 것. (5) 술을 마시지 말 것. 살생(殺生)·투도(偸盜)·사음(邪婬)·망어(妄語)·음주(飮酒)의 금제(禁制). 불살생계(不殺生戒)·불투도계(不偸盜戒)·불사음계(不邪婬戒)·불망어계(不妄語戒)·불음주계(不飮酒戒)의 총칭. 우바새계(優婆塞戒)라고도 함. 팔, Panca-Sila [보통 원어는 산, panca-sila이다.] 산, panca siksapadani ② 오계..

오계(五戒) 2020.10.17

차토이근리(此土耳根利,2485)-뉴사전

차토이근리(此土耳根利,248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 사바세계의 사람들은 6근 중에서 귀가 가장 예리하다는 것. 지금 이 사바세계는 귀가 가장 예리하므로 부처님께서 성진(聲塵)을 일으키어 설법한다. 이것을 음성불사(音聲佛事)를 짓는다고 함. 다른 불국토의 중생은 눈이 예리하여 부처님께서 색진(色塵)을 일으켜 그들을 이익되게 하고, 혹은 코가 예리하여 부처님께서 향진(香塵)을 일으켜 이롭게 하는 것 등으로 6진(塵)설법이 이것이다. 참고 차토(此土,2485)-뉴사전 : 이승. 이 세상. 아미타불의 극락세계를 피토(彼土)라 하고 사바세계를 차토(此土)라 함. 이근(耳根,2050)-뉴사전 : 청각기관 및 그 능력. 근(根)의 하나.→육근 산, srotra(-indriya) 티,..

육대체대(六大體大,1971)-뉴사전

육대체대(六大體大,197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밀교에서 지(地)·수(水)·화(火)·풍(風)·공(空)·식(識)의 6대(大)를 일체 제법의 체성(體性)이라 함을 말한다. 이 6은 전 우주에 두루하여 털 하나 티끌 하나라도 반드시 이를 갖추었고, 한 물건도 이 6대로 되지 않은 것이 없다. 그 두루한 방면으로는 6대, 만유 제법의 소의(所依)가 되는 방면으로는 체대(體大)라 한다. 참고 밀교(密敎,721)-뉴사전 : 산, vajrayana. 비밀불교(秘密佛敎)의 약칭. 일반적인 불교를 현교(顯敎)라 하는 것에 대한 말. 석가모니 부처님 혹은 보신(報身)의 아미타불 등을 교주로 하는 모든 대승 현교(顯敎)에 대하여 법신(法身)의 대일여래(大日如來)를 교주로 하며 우주를 이 법신 ..

사대(四大) 2020.10.15

수번뇌(隨煩惱,1434)-뉴사전

수번뇌(隨煩惱,143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근본번뇌(根本煩惱)에 수반하는 제2의적(第二義的) 번뇌. 수혹(隨惑)이라고도 함. ① 俱舍論에서는 두가지 뜻이 있다. (1) 일체의 번뇌를 가리킴. 마음에 따라서 일어나고 뇌란(惱亂)의 작용을 하기 때문. (2) 6수면의 근본번뇌에 대하여 그것에 따라 일어나는 다른 번뇌를 지말혹(枝末惑)이라고 이름한다. 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昏沈)·도거(掉擧)·무참(無慚)·무괴(無愧)·분(忿)·부(覆)·간(慳)·질(嫉)·뇌(惱)·해(害)·한(恨)·첨(諂)·광(誑)·교(憍)·수면(睡眠)·회(悔)의 19종을 헤아린다.→오위칠십오법 ② 유식(唯識)의 교의(敎義)에서는 근본번뇌인 6대혹(大惑)에 대해, 그 ..

심소(心所,1548)-뉴사전

심소(心所,154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심소유법(心所有法)의 준말. 마음에 속하는 것을 말함. 심작용. 마음의 움직임. 정신현상. 정신작용. 심왕(心王)에 대하여 말함. 심작용의 달마(산, dharma)로서는 46종류의 헤아림. 구사(俱舍)에서는 6류 46대지법(大地法)의 10, 대선지법(大善地法)의 10,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의 6,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의 2,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의 10, 부정지법(不定地法)의 8로 나누며, 유식설(唯識說)에서는 6류 51[편행(遍行)의 5, 별경(別境)의 5, 선(善)의 11, 번뇌(煩惱)의 6, 수번뇌(隨煩惱)의 20, 부정(不定)의 4로 나누었다. 심소념(心所念) 참조. ② 유식설(唯識說)에서는 대상의 여러 가지 모습을 ..

업보(業報,1706)-뉴사전

업보(業報,170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선악의 업인(業因)에 따라 나타나는 고락의 과보. 업(業)에 의한 보답. ② 업인(業因)과 과보. ③ 과거의 행위의 과보. 산, karma-vipaka 참고 선악(善惡,1322)-뉴사전 : ① 선과 악. ② 선업(善業)과 악업(惡業). ③ 선악을 구별하는 것. 팔, sanna 5온(蘊)의 하나. 상(想), 표상작용(表象作用). .....선(善,1308)-뉴사전 : ① 좋음. 지장 없음. ② 바른 것. 선한 것. 호적한 것. ③ 선업(善業). 착한 행위. (해석예) 착한 행위. ④ 도덕적 의미의 선(善)과 마음에 드는 보답을 함께 의미함. ⑤ 악(惡)과 더러움을 떠나는 것. ⑥ 달마. 산, dharma ⑦ 훌륭한 것. ⑧ 진리에 도..

자리이타(自利利他,2184)-뉴사전

자리이타(自利利他,218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스스로 이익을 얻고, 타인도 이로운 것. 스스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사람들에 대해서는 구제하고, 이로움을 주는 행위. 보살의 실천. ② 정토진종(淨土眞宗)에서는 자력과 타력을 말함. (해석예) 자리(自利)는 아미타불이 되고자 하는 마음, 이타(利他)는 중생을 왕생시키고자 하는 마음. 참고 스스로(1425)-국어사전 : 자기 자신. ① 저절로. ② 자진하여. ③ 자기 힘으로. 이익(利益,2080)-뉴사전 : ① 이익(利益). 유익이 되는 것. 산, artha 산, arthaya hitaya ② 뛰어난 이점(利点). 공덕(功德). 승리(勝利)와 똑같음. 산, anusamsa ③ 타인(他人)을 이롭게 하는 것. 은혜를 주는 것...

즉사이진(即事而眞,2397)-뉴사전

즉사이진(即事而眞,239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생멸변화(生滅變化)하는 이 현상세계(現像世界)를 마치 진실상주(眞實常住)의 실재(實在)로 보는 것. 생멸(生滅)하고, 차별이 있는 현상계(現象界)의 사물 그대로가 진리라고 하는 견해. 현실에 입각해서 절대의 이(理)를 실현하는 것. 삼론(三論)·천태(天台)·화엄종(華嚴宗)에서도 사용하고 있지만, 주로 밀교(密敎)의 숙어로 사용됨. 진언종(眞言宗)이외의 설(說)에서는 현상하는 것의 본체는 절대 평등의 본체인 진여(眞如)와, 본체(성(性))로 돌아가 설하는 입장이지만, 진언종(眞言宗)의 설(說)에서는 현상 자체가 그대로 곧 진리 그 자체라는 것임(性相法爾). [승조(僧肇)는「觸事而眞」이라고 말함]→사리(事理)→촉사이진(觸事而眞) ..

바다와 물결 20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