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8

반연(攀緣,747)-뉴사전

반연(攀緣,74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반(攀)은, 기어 오른다의 뜻. 대상에 의탁하여 마음이 일어나는 것.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는 것. 마음이 대상에 의해 작용하는 것. 대상에 대하여 마음이 작용을 일으키는 것. 대상을 인식하는 것. ② 인식(認識)의 대상. 소연(所緣). 마음의 대상. 산, arammana [古우파니샤드에서, 대상을 산, arambhana라고 읽었던 것을 받아들이고 있음.] 티, dmigspa ③ (대상에게) 붙잡힘. 탐닉함. 관련되어 구애 받는 것. 집착하는 것. 마음이 외계(外界)의 사물에 의해 좌우되는 것. 마음의 혼란. 마음이 외계(外界) 때문에 혼란을 일으켜 평정을 상실하는 것을 원숭이가 나무에 기어올라 뛰어다니는 것에 비유하여 말함. 팔, ..

집(執 : 집착) 2020.10.29

유식무경(唯識無境,1948)-뉴사전

유식무경(唯識無境,194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식(識)만이 진실로 존재하는 것이고, 외계(外界)의 대상은 식(識)이 나타난 것(산, nirbhasa 산, abhasa)에 불과하다고 하는 유식(唯識)사상을 표현한 말. 참고 식(識,1501)-뉴사전 : 산, vijnana 팔, vinnana의 한역. ① 인식작용. 식별작용. 작용하는 마음. 식별의 작용을 이루는 것. 인식하는 마음. 인식기능. 시(視)·청(聽)·후(嗅)·미(味)·촉각(觸覺)의 기관 및 사고력을 매개로 하는 6종의 인식기능. 안(眼)·이(耳)·비(鼻)·설(舌)·신(身)·의(意)의 6종의 인식작용이 색(色)·형(形)·성(聲)·향(香)·미(味)·촉(觸)인 것. 법(法)의 6종 대상을 인식하는 기능. [표현예] 보고..

유식(唯識) 2020.10.28

열반적정인(涅槃寂靜印,1752)-뉴사전

열반적정인(涅槃寂靜印,175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열반인(涅槃印)이라고도 함. 삼법인(三法印)중의 하나. 부처님께서 열반적정(涅槃寂靜)의 가르침을 설파하시고, 번뇌하는 중생으로 하여금 생사를 떠나게 하여 적정(寂靜)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을 말함. 참고 열반인(涅槃印,1752)-뉴사전 : 열반적정인(涅槃寂靜印)의 약어.→열반적정인 삼법인(三法印,1185)-뉴사전 : 불교 사상의 특징으로서의 3종의 표시. 제행무상(諸行無常)과 제법무아(諸法無我)와 열반적정(涅槃寂靜)을 말함. 인(印)은 인신(印信)·표장(標章)이란 뜻으로 일정 불변하는 진리라는 표치. (1) 제행무상인(諸行無常印). 온갖 물(物)·심(心)의 현상은 모두 생멸 변화하여 상항(常恒)불변하는 것이 아니지만, 사..

참선경어(參禪警語,84페)

참선경어(參禪警語,84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쉬라고만 가르치는 외도- 경산사 대혜(徑山寺 大慧 : 1088~1163)스님이 말씀하셨다. “요즘 이런 외도(外道)가 있다. 즉 자기 안목은 밝지 않으면서 사람들을 죽은 갈단(獦狚 : 이리같이 생긴 힘센 괴물. 여기서 죽은 갈단은 기력없음을 비유함)처럼‘쉬라’고 가르친다. 그러나 이런 식으로 쉰(休歇)다면 천불(千佛)이 세상에 다시 나온다 하더라도 제대로 쉬지 못하고 도리어 마음은 더욱 번민에 싸일 뿐이다.” 나는 이렇게 평한다. 의정(疑情)을 일으키려 하지 않으면 미세한 번뇌가 끊어지지 않으니, 미세한 번뇌(命根)가 끊어지지 않았다면 쉬어 보았자 되지도 않는다. 이 쉰다[休歇(헐)]는 말이 바로 생사의 근본이니, 비록 백천 겁을 지..

參禪警語 2020.10.26

악견(惡見,1652)-뉴사전

악견(惡見,165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6근본번뇌(六根本煩惱)의 하나. 제법의 진상(眞相)에 대하여 그릇된 견해를 일으키는 것. 산, drsti ② 잘못된 견해. 팔, papakam ditthigatam ③ 더러움을 본질로 하는 견해. ④ 좋지 못한 생각. 진리를 잘못 생각하는 것. 여기에는 5종류가 있다. (1) 신견(身見 산, satkaya-drsti). 인간이 각각 자신이 중심이 되어 있는 상주(常住) 항구적인 실체로서 자신을 지배하는 아(我 : 영혼)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집견(執見). 자신은 언제까지나 자신이라는 데에 마음을 빼앗긴 생각. (2) 변견(邊見 산, antagraha-drsti). 하나의 극단에 마음을 빼앗긴 생각. 여기에는 두종류가 있다. 인..

욕계(欲界,1865)-뉴사전

욕계(欲界,186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욕망이 지배하는 세계. 본능적 욕망이 성하고 강력한 세계. 현상적인 육체의 세계. 삼계(三界)의 하나. 식욕(食欲)·음욕(婬欲)·수면욕(睡眠欲)의 삼욕(三欲)이 있는 세계. 위는 육욕천(六欲天)에서, 중간에는 인간계인 사대주(四大洲), 밑은 8대 지옥에 이른다.→천(天) (해석예) 남녀가 있고 음식이 있는 곳을 욕계(欲界)라 함. ② 욕(欲)에게 붙잡혀 있는 세상. 반드시 삼계(三界)의 하나는 아니다. 산, loka 참고 욕망(欲望,1703)-국어사전 : 누리고자 탐함. 또, 그 마음. 부족을 느껴 이를 채우려고 바라는 마음. .....탐(貪,2630)-뉴사전 : ① 미혹의 생존의 근원으로서의 탐욕. 욕심. 탐애. 탐하고 집착하는..

오통지도(五通智道,1838)-뉴사전

오통지도(五通智道,183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발은 땅을 밟지 않고, 인간의 심명(心命)을 알고, 눈은 아무리 멀리라도 볼 수가 있고, 이름을 부르면 곧 오고, 석벽(石壁)도 방해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 5가지의 부사의한 힘을 갖춘 도의 뜻. 티, mnon par ses palnahi tshul 참고 오통(五通,1838)-뉴사전 : ① 5가지의 신통. 천안통(天眼通)·천이통(天耳通)·숙명통(宿命通)·타심통(他心通)·신족통(神足通)을 말함. 5가지의 초인간적인 힘. 5가지의 불가사의한 능력. 육신통(六神通)속의 제6인, 누진지통(漏盡智通)을 뺀 것. (1) 도통(道通). 중도(中道)의 진리를 증득한 후에 대용(大用)을 일으키고, 무심하게 물건에 응하여 만유(萬有)를 교화함이 ..

신통(神通) 2020.10.23

공안(公案,146)-뉴사전

공안(公案,14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고칙(古則)·화두(話頭). ① 공부(公府)의 안독(案牘)의 준말. 정부가 확정한 법률안이고, 백성이 준수해야 하는 것. ② 변하여 선종에서 만인에 의거해야 하는 지리(至理)를 표시하는 것의 의미로 사용하고, 구체적으로는 조사(祖師)의 말·어구·문답 등을 가리킴. 선(禪)의 과제. 조사가 수행자를 이끈 입문을 써서 기록한 것. 불도참학자의 입문으로 함. 인연화두(因緣話頭)라고도 함. 선종에서는 뛰어난 선자의 말이나 동작 등을 기록하여, 이것을 좌선하려고 하는 자에게 보이고, 생각하는 대상 또는 단서로 삼도록 하였음. 특히 임제선(臨濟禪)에서는 참선자에게 참선하여 진리를 참구하는 테마로서 전수했다. 그 총수는 일천칠백측에 달하고 있음..

연각(緣覺,1733)-뉴사전

연각(緣覺,173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원어는 산, pratyeka-buddha 팔, pa-cceka-buddha이며, 벽지불이라 번역하고, 독각으로 한역됨. ① 혼자서 깨달음을 연 사람. 불교외의 자이나교에서도 이 명칭을 쓴다. ② 부처님의 교화에 의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깨달음을 연 사람. 혼자서 깨달음을 여는 사람. 혼자서 조용히 득도한 사람. 석존이 깨닫고 난후,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설파하기 이전의 상태를 말함. 그 입장은 이기적이라고 대승불교에서는 생각했다. ③ 소승불교의 해석에 의하면, 12인연을 깨달아, 방황을 끝내고, 이법(理法)을 증득하는(斷惑證理) 것을 연각이라 함. 또한 꽃이 지고 낙엽이 떨어지는 등의 천지 자연의 변화라는 외면에 의해 증득하는 것을 독각..

대승과 소승 2020.10.21

갈애(渴愛,33)-뉴사전

갈애(渴愛,3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목이 말라 물을 구하는 것 같은 탐욕의 마음. 갈(渴)에 비유되어지는 망집(妄執). 산, trsna 팔, tanha ② 만족시키는 것. 갈애(渴愛)는 없어지는 것이라고도 생각되고 있었음.「除渴愛」산, tarpayati ③ 아지랑이(陽炎) 산, mrgatrsna 참고 갈증(渴症,55)-국어사전 : 의 준말. .....갈급증(渴急症,51)-국어사전 : (속이 탈 정도로) 몹시 조급한 마음. 탐욕(貪欲,2632)-뉴사전 : 자기가 바라는 것을 탐하고 구하는 것. 자기의 정(情)에 드는 것을 받아들이고, 나쁜 것을 모르는 마음. 도를 넘어 욕심이 깊은 것. 대단히 욕심이 깊은 것. 명성이나 이익을 탐하는 것. 욕심. 탐하는 마음. 탐욕.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