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7

오욕(五欲,1817)-뉴사전

오욕(五欲,181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5개의 욕(산, kama)의 의미. 오관(五官)의 탐욕. 오관의 욕망. 오관의 열락(悅樂). 눈(眼)·귀(耳)·코(鼻)·혀(舌)·몸(身)의 오관에 의한 색·소리·향기·맛·감촉이라는 오종의 감각대상에 대한 감관적 욕망. 오경(五境 : 5根의 대상)에 집착하여 일으키는 5종의 정욕(情欲). 색·소리·향기·맛·촉각의 5경을 향락하는 것. 애욕. 총괄하여 세속적인 인간의 욕망. 산, kamaih ② 욕망의 대상이 되는 색·소리·향기·맛·감촉의 5종. 색(산, rupa)·소리(산, sabda)·향기(산, gandha)·맛(산, rasa)·감촉(산, sprastavya 감촉할 수 있는 것)의 오경. 5개의 감각기관(五根)의 대상이 되는 색·..

육경(六境) 2020.11.17

육근호용(六根互用,1969)-뉴사전

육근호용(六根互用,196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수행을 하여 팔지(八地)이상의 단계 나아가면, 번뇌를 여의어 청정하게 되므로, 육근(六根)의 각기가 서로 다른 근(根)의 작용을 겹쳐 작용한다는 것.「諸根互用」 참고 수행(修行,1456)-뉴사전-뉴 : ① 실천하는 것. 행하는 것. ② 노력하는 것. ③ 난행. ④ 요가에 힘쓰는 것.→여실수행. ⑤ 지계(持戒)를 말함. (해석예) 행함. 행하기. .....수행(修行,1410)-국어사전 : ① 행실을 바르게 닦음. ② 불도를 닦음. .....실천(實踐,1479)-국어사전 : 실제로 이행함. ↔이론 .....행(行,2587)-국어사전 : ① 스스로 수행하여 부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 ② 부처가 되는 수행. .....행(行,276..

육입(六入) 2020.11.16

법무아(法無我,816)-뉴사전

법무아(法無我,81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무아(人無我)의 대응어. 모든 것은 연기(緣起)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실체가 없다고 하는 진리관. 무자성(無自性)과 같음. 산, dharma-nairatmya.「法無我解脫」 산, dharma-nairatmya-kovida (해석예) 기합(寄合)인 많은 색심(色心)의 하나하나에 체(體)를 실제로 있는 것이라고 집착하는 마음을 법집(法執)이라고 한다. 참고 인무아(人無我,2110)-뉴사전 : 실체(實體)로서의 아트만(산, atman)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인간 개인(個人)의 존재는 오온(五蘊)이 잠정적으로 화합(和合)하고 있는 것으로 상일주재(常一主宰)의 실아(實我)는 없다는 것. 법무아(法無我)의 반대. 산, pudgala-n..

견도(見道,72)-뉴사전

견도(見道,7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사제(四諦)를 관찰하는 단계. 견소단(見所斷)의 번뇌를 잘라버리는 과정. 무루성도(無漏聖道)를 처음으로 발견하여, 성자의 무리에 든 위(位)로 견제도(見諦道)라고도 함. 최후의 깨달음의 과정. 소승에서는 예류향(預流向), 대승에서는 초지(初地)를 말함. 각각 이 이상(以上)을 성자라고 함.「구사론」에서는 사선근(四善根)의 제4인 세제일법(世第一法)의 직후에 무루(無漏)의 정지(正智)를 일으키고, 십육심(十六心)에 의해 점차로 욕(欲)·색(色)·무색(無色)의 삼계(三界)의 사제(四諦)를 깨닫는 가운데에 앞의 십오심(十五心)을 견도(見道)라고 함. 유식설(唯識說)에서는 오위(五位)의 제삼(第三)인 통달위(通達位)를 견도(見道)라고 함. ..

십지(十地) 2020.11.14

팔자재(八自在,2681)-뉴사전

팔자재(八自在,268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팔대자재아(八大自在我)라고도 함. 8종의 신비력. 원래는 요가학파 및 베단타학파에 의해 설해지고 있었는데, 대승불교에 받아들여졌음. 대아(大我)는 팔자재(八自在)를 갖추고 있다고 함. 첫째로 일신(一身)을 잘 나타내어 많은 몸을 이룸. 둘째로 하나의 먼지와 같이 미세한 몸을 나타내어 3천 대천 세계에 가득참. 셋째로는 이 삼천 대천세계를 잘 채우는 몸으로써 가볍게 들려 하늘을 난다. 넷째로 무량(無量)의 형류(形類)를 하여, 각각 마음이 있음. 여래(如來)의 몸은 항상 하나의 국토에 머무르고, 다른 국토를 모두 갖추게 함. 다섯째로 모든 근(根)으로 하여금 자재(自在)되게 함. 여섯째로 모든 법을 얻어도 여래(如來)의 마음을 더욱..

분단생사(分段生死,944)-뉴사전

분단생사(分段生死,94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미혹의 세계에서 헤매이는 범부가 받는 생사. 한정된 수명신체를 받고 윤회하는 것. 수명의 장단이나 육체의 대소 등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는 분단신(分段身)을 받아 윤회하는 것. 유위생사(有爲生死)라고도 함. 신체가 있는 우리들의 생사. 삼계중의 생사. 육도(六道)중의 생사를 말함. 견혹(見惑)·사혹(思惑) 등을 갖춘 범부의 생사. 수명에 분한(分限)이 있고, 형태에 단별(段別)이 있는 까닭에 분단(分段)이라 하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해석예) 분단생사(分段生死)라고 하는 것은 우리들이 받는 생사임. 길던 짧던지 그 명(命)은 반드시 한계가 있어 길지 못하다고 생각해도 맞지 않는 과보임. 참고 미혹(迷惑,719)-뉴사전 : ① 방..

미타본원(彌陀本願,718)-뉴사전

미타본원(彌陀本願,71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이 과거세에 법장비구(法藏比丘)라 칭했던 시대에, 일체 중생을 구하기 위해 이것을 성취하여 부처님이 된 48의 서원(誓願). 또 그 제18원(願)을 말함. 그것은 염불왕생(念佛往生)의 원(願)임. 참고 아미타불(阿彌陀佛,1629)-뉴사전 : 아미타와 같음. 산, Amitadha Buddha ;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의 중요한 부처님. 줄여서 미타. 범본경전(梵本經典)에는 아미타바불타·아미타유사불타의 두 이름이 있다. 한역한 여러 경전에도 여러 가지 이름이 있거니와 보통으로는 아미타불·무량수불이라 한다.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의 감화를 받은 법장(法藏)이 2백 ..

나무아미타불 2020.11.11

일체아(一切我,2161)-뉴사전

일체아(一切我,216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중생에 보편되어 있는 법성(法性)의 대아(大我). 일체유정의 진아(眞我). 공통하는 이성(理性). 산, sarva-atmata 참고 일체(一切,2159)-뉴사전 : ① 모든. 수가 많음. 전부. 모두. 전체를 포함해서 말하는 전부의 일체와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소분(少分)의 일체가 있다. 산, sarva ② 일체의 법. 즉 5온(五蘊)·12처(處)·18계(界)와 같은 각각의 견해에 있어서 법의 체계를 말한다. 중생(衆生,2387)-뉴사전 : ① 생존하는 것. 목숨이 있는 것. 이 세상에 생을 얻은 것. 산것. 살아있는 것. 살고자하여 살 수 있는 것. 특히 인간. 사람들. 여러 사람. 세상 사람. 세상의 많은 사람들. 중생에..

심법일여(心法一如,1545)-뉴사전

심법일여(心法一如,154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주관인 마음과 객관인 법은, 그 본성이 같아서 차별이 없다고 하는 것. 참고 주관(主觀,2064)-국어사전 : ① (철) 외계 및 그 밖의 객체를 의식하는 자아.↔객관(客觀) ② 자기대로의 생각. .....주관(主觀,2142)-국어사전 : ① 여러 현상을 의식하며 사물을 생각하는 마음의 움직임. ② 자기만의 생각, 또는 자기만의 치우친 생각. 마음(742)-국어사전 : ① 사람의 몸에 깃들여서 지식·감정·의지 등의 정신 활동을 하는 것, 또는 그 바탕이 되는 것. ② 거짓 없는 생각. ③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대하여 일어나는) 기분. 느낌. ④ (어떤 사물이나 행동에 대하여) 속으로 꾀한 뜻. ⑤ 심정(心情). ⑥ 사랑하는 정..

불이(不二)란? 2020.11.09

제법무아(諸法無我,2317)-뉴사전

제법무아(諸法無我,231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것은 인연에 의해 생성된 것이고 실체성이 없다는 것. 삼법인(三法印)의 하나. (해석예) 유위법(有爲法)의 용(用)이 있지만, 상주하지 않고, 무위법(無爲法)은 상주하여도 작용이 없다는 것. (표현예) 이 세상에 있는 자 한 사람 없다. 참고 제법(諸法,2317)-뉴사전 : 개체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 존재하는 모든 것. 모든 사물. 모든 것. 제사상(諸事象). 현상(現象)하고 있는 것. 모든 존재하는 것. 모든 물체. (해석예) 모든 불법. 인연(因緣,2116)-뉴사전 : ① 원인. 인(因)과 같음.→인 ② 직접적인 원인. ③ 인(因) 즉 연(緣)이라는 뜻. 넓은 뜻의 인연이라는 의미가 되며, 일체 유위법(有爲法)이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