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7

구상(九相,222)-뉴사전

구상(九相,22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기신론(起信論)」에서 3세(細)와 6추(麤)를 함께 일컬음. 절대 평등하여 상항(常恒) 불변하는 진여로부터 미계(迷界)의 사물을 형성함에 9상(相)으로 전개된다고 한다. 비유를 들면 맑은 눈에 열기가 생긴 것 같은 것이 업상(業相), 열로 말미암아 생긴 눈병이 능견상(能見相 : 轉相), 눈병 때문에 나타나는 허공 꽃이 경계상(境界相 : 現相), 허공 꽃을 분별하는 것이 지상(智相), 분별을 고집하여 고치지 않는 것이 상속상(相續相), 순하고 거슬리는 경계를 취하고 버리는 것이 집취상(執取相), 집취로 말미암아 사물을 구별하는 것이 계명자상(計名字相), 사물에 대해서 업을 일으키는 것이 기업상(起業相), 업에 속박되어 진행하는 생활이..

유심(唯心,1950)-뉴사전

유심(唯心,195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모든 것은 마음의 표출일 뿐임. 마음을 떠나서는 모든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는 것. 여러 가지 용례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은「이 삼계(三界)는 마음뿐인 것임.(산, cit-tamatram idam yad idam trai-dhatukam 또는 산, citta-matram yad uta traidhatukam)」(Rah-der’s edition, p.49)라고 하는 일문(一文)으로서 쓰여진다. 이것은「십지경(十地經)」(산, Dasabhumika-sutra)에서 기술되어 화엄사상·유식사상의 전개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 말임. 유식사상에서는「유식(唯識)」의 교증(敎證)으로서 종종 인용된다. 따라서, 유식사상에서는 여기에 말하는「..

오온마(五蘊魔,1817)-뉴사전

오온마(五蘊魔,181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또는 오중마(五衆魔)·오음마(五陰魔)라고도 함. 사마(四魔)의 하나. 유정(有情)은 모두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오온(五蘊)으로 구성되어져, 여러 방해를 받는다는 것을 말함. 참고 오음마(五陰魔,1820)-뉴사전 : ① 사마(四魔)의 하나. 오온마(五蘊魔)와 같음.→오온마 ② 10가지 종류의 마의 하나. .....사마(四魔,1063)-뉴사전 :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을 네가지로 나눈 말. (1) 번뇌마(煩惱魔). 신심을 괴롭히는 탐욕 등의 번뇌. (2) 음마(陰魔). 갖가지 고민을 생기게 하는 오온. (3) 사마(死魔 : 死). 죽음은 사람의 목숨을 빼앗으므로 마라 함. (4) 타화자재천마(他化自在天魔). 사..

오온(五蘊) 2020.12.15

사무기(四無記,1067)-뉴사전

사무기(四無記,106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 만유의 도덕적 성질의 분류에 3성(性)이 있는 중, 선악이 결정되지 아니하여, 선악의 결과를 불러 올 힘이 없는 무기성을 네가지로 나눈 것. ① 유식가에서 말하는 것. (1) 능변무기(能變無記). 무기의 심(心)·심소(心所). (2) 소변무기(所變無記)니, 무기의 색법(色法)·종자(種子). (3) 분위무기(分位無記)니, 무기의 불상응법(不相應法). (4) 승의무기(勝義無記)니, 허공과 비택멸(非擇滅). ② (1) 이숙무기(異熟無記)니, 선악의 업종자를 증상연(增上緣)으로 하여서 얻는 과보. (2) 위의무기(威儀無記)니, 위의로심(威儀路心)이라고도 한다. 앉고 서고 사는 동작 등을 일으키는 마음의 성질이 선도 아니고, 악도 아..

삼성(三性) 2020.12.14

불성상주(佛性常住,976)-뉴사전

불성상주(佛性常住,97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성(佛性)은 상주(常住)한다고 하는 것.「열반경」에서 설한 승계이문(乘戒二門)이 있는데, 승문(乘門)에서 설한 것이 불성상주이다. 여래가 열반에 들어감을 보고 불성이 무상하다하고, 지금의 화신을 열반에 붙여서 불성이 상주(常住)함을 설한 것. 참고 불성(佛性,975)-뉴사전 : ① 부처님의 성질. 부처로서의 본성. 각자(覺者 : 부처님)가 될 수 있는 가능성. 대승불교에서는 이것이 모든 인간, 또는 존재에 갖추어져 있다고 함. 진정한 인간성. 잠재된 보편적인 인간성. 인간의 기본적인 성격. 본연의 마음. 부처인 본질. 그 원어는 산, buddhata 산, buddha-tva라고 생각되고 있음. (여래장(如來藏)·각성(覺性)이라..

佛性이란? 2020.12.13

의타기성(依他起性,2039)-뉴사전

의타기성(依他起性,203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다른 인연에 의한 것. 다른 인연에 의존해 있는 상태. ② 인연화합에 의해 생기고 인연이 없어지면 함께 없어지는 것. 유식설에서 말하는 백법(百法)중 6무위(無爲)를 제외한 다른 유위법(有爲法)을 말한다. 다른 힘에 의해 생기면서 동시에 없어지므로 유(有)이면서도 유(有)가 아니고 또 무(無)도 아닌 것을 가유법(假有法)·비유사유(非有似有)의 법이라고 이름 지었다. 이 가운데에 허망분별의 연(緣)으로 생긴 잡염(雜染)의 법인 염분의타(染分依他)와 무루지(無漏智)의 연으로 생긴 순정(純淨)의 법인 정분의타(淨分依他)가 있다. 정분의타(淨分依他)는 원성실성(圓成實性)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 옛번역에서는 의타성(依他性)이라고 한..

삼성(三性) 2020.12.12

일체유위(一切有爲,2161)-뉴사전

일체유위(一切有爲,216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주간의 온갖 물심적(物心的)인 여러 현상과 모든 현상의 법칙을 5온(五蘊)이라 한다. 이것이 모두 여러 가지 인연으로 생겨나고 위작(僞作) 또는 조작되는 것이므로 유위(有爲)라 한다. 참고 우주(宇宙,1774)-국어사전 : ① 온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 ② 천문학에서, 천체를 비롯한 만물을 포용하는 물리학적 공간을 이름. ③ 철학에서, 질서있는 통일체로서의 세계를 이름. 온갖(1719)-국어사전 : 모든 종류의. 여러 가지의. 별별(別別). 물심(物心,873)-국어사전 : 물질과 정신. 현상(現象,2512)-국어사전 : ① 관찰할 수 있는 사물의 형상. ② (철) 본질과의 상관적인 개념으로서의 본질의 외면적인 상. ....

불교대전-1248(만해 한용운,747페)

불교대전-1248(만해 한용운,747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끄러워하는 것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본성에서 나오는 부끄러움이요, 둘째는 남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부끄러움이다. 본성에서 나온다 함은, 제가 저지른 그릇된 일을 스스로 인식하고, 거기서 올 악한 과보(果報)를 두려워해서 부끄러워함이며, 남으로 말미암아 생긴다 함은, 제가 지은 악을 남이 알까 두려워하여 부끄러워함이니, 본성에서 나오는 부끄러움은 외부와의 관계 때문에 생기는 것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통틀어 부끄러움에는 네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제 능력으로는 할 수 없는 일 때문에 부끄러워함이요, 둘째는 할 수 있는 일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부끄러워함이요, 셋째는 마음에 저절로 의혹이 생기기 때문에 부끄러워함이..

업과 인과(정일선사법어집3,65페)

업과 인과(정일선사법어집3,65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과(因果)는 모든 것이 원인이 있어서 결과가 나타난다는 법칙으로, 현상계를 초월하지 못한 중생들은 모두가 이 인과법의 세계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업의 법칙은 망상의 법칙입니다. 이 망상의 법칙은 누가 만들어놓은 것이 아닙니다. 중생들 스스로 지은 업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 법칙은 누구도 어길 수가 없습니다. 알든 모르든 이 법칙은 철두철미하게 돌아가고 있어서 누구도 업의 그물망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오직 이 망상의 법칙을 깨달은 사람만이 그것을 범하지 않고 초월할 수가 있습니다. 땅에 엎어진 이가 땅을 짚고 다시 일어나듯 인과의 고해(苦海)속에 세세생생 고통받으며 헤매는 중생들은 이 도리를 사무쳐 깨달아야 ..

계명자상(計名字相,107)-뉴사전

계명자상(計名字相,10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대상에 대한 집착 때문에 하나하나의 대상에 대해 임시로 명자·언설을 붙이고 그들이 마치 마음 밖에 실재하고 있는 것처럼 잘못 생각하여 더욱 더 집착의 염을 증대시키는 것. 계(計)는 횡계(橫計), 즉 잘못 생각하는 것이고, 이 생각으로 인해 명의언설(名義言說)이 일어난다. 참고 대상(對象,578)-국어사전 : ① 행위의 목표가 되는 것. ② 정신 활동의 목표가 되는 것. 집착(執着,2477)-뉴사전 : 집착(執著)와 같음. 어떤 일에만 마음이 쏠려 떠나지 아니함. 사물이나 도리를 고집하여 그것을 버리지 못하는 것. 탐애심에 집착하는 것을 염착(染着)이라 함. 산, gnaha .....집착(執著,2477)-뉴사전 : 사물에 고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