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583

수번뇌(隨煩惱,1434)-뉴사전

수번뇌(隨煩惱,143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근본번뇌(根本煩惱)에 수반하는 제2의적(第二義的) 번뇌. 수혹(隨惑)이라고도 함. ① 俱舍論에서는 두가지 뜻이 있다. (1) 일체의 번뇌를 가리킴. 마음에 따라서 일어나고 뇌란(惱亂)의 작용을 하기 때문. (2) 6수면의 근본번뇌에 대하여 그것에 따라 일어나는 다른 번뇌를 지말혹(枝末惑)이라고 이름한다. 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昏沈)·도거(掉擧)·무참(無慚)·무괴(無愧)·분(忿)·부(覆)·간(慳)·질(嫉)·뇌(惱)·해(害)·한(恨)·첨(諂)·광(誑)·교(憍)·수면(睡眠)·회(悔)의 19종을 헤아린다.→오위칠십오법 ② 유식(唯識)의 교의(敎義)에서는 근본번뇌인 6대혹(大惑)에 대해, 그 ..

심소(心所,1548)-뉴사전

심소(心所,154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심소유법(心所有法)의 준말. 마음에 속하는 것을 말함. 심작용. 마음의 움직임. 정신현상. 정신작용. 심왕(心王)에 대하여 말함. 심작용의 달마(산, dharma)로서는 46종류의 헤아림. 구사(俱舍)에서는 6류 46대지법(大地法)의 10, 대선지법(大善地法)의 10,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의 6, 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의 2,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의 10, 부정지법(不定地法)의 8로 나누며, 유식설(唯識說)에서는 6류 51[편행(遍行)의 5, 별경(別境)의 5, 선(善)의 11, 번뇌(煩惱)의 6, 수번뇌(隨煩惱)의 20, 부정(不定)의 4로 나누었다. 심소념(心所念) 참조. ② 유식설(唯識說)에서는 대상의 여러 가지 모습을 ..

업보(業報,1706)-뉴사전

업보(業報,170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선악의 업인(業因)에 따라 나타나는 고락의 과보. 업(業)에 의한 보답. ② 업인(業因)과 과보. ③ 과거의 행위의 과보. 산, karma-vipaka 참고 선악(善惡,1322)-뉴사전 : ① 선과 악. ② 선업(善業)과 악업(惡業). ③ 선악을 구별하는 것. 팔, sanna 5온(蘊)의 하나. 상(想), 표상작용(表象作用). .....선(善,1308)-뉴사전 : ① 좋음. 지장 없음. ② 바른 것. 선한 것. 호적한 것. ③ 선업(善業). 착한 행위. (해석예) 착한 행위. ④ 도덕적 의미의 선(善)과 마음에 드는 보답을 함께 의미함. ⑤ 악(惡)과 더러움을 떠나는 것. ⑥ 달마. 산, dharma ⑦ 훌륭한 것. ⑧ 진리에 도..

자리이타(自利利他,2184)-뉴사전

자리이타(自利利他,218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스스로 이익을 얻고, 타인도 이로운 것. 스스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사람들에 대해서는 구제하고, 이로움을 주는 행위. 보살의 실천. ② 정토진종(淨土眞宗)에서는 자력과 타력을 말함. (해석예) 자리(自利)는 아미타불이 되고자 하는 마음, 이타(利他)는 중생을 왕생시키고자 하는 마음. 참고 스스로(1425)-국어사전 : 자기 자신. ① 저절로. ② 자진하여. ③ 자기 힘으로. 이익(利益,2080)-뉴사전 : ① 이익(利益). 유익이 되는 것. 산, artha 산, arthaya hitaya ② 뛰어난 이점(利点). 공덕(功德). 승리(勝利)와 똑같음. 산, anusamsa ③ 타인(他人)을 이롭게 하는 것. 은혜를 주는 것...

즉사이진(即事而眞,2397)-뉴사전

즉사이진(即事而眞,239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생멸변화(生滅變化)하는 이 현상세계(現像世界)를 마치 진실상주(眞實常住)의 실재(實在)로 보는 것. 생멸(生滅)하고, 차별이 있는 현상계(現象界)의 사물 그대로가 진리라고 하는 견해. 현실에 입각해서 절대의 이(理)를 실현하는 것. 삼론(三論)·천태(天台)·화엄종(華嚴宗)에서도 사용하고 있지만, 주로 밀교(密敎)의 숙어로 사용됨. 진언종(眞言宗)이외의 설(說)에서는 현상하는 것의 본체는 절대 평등의 본체인 진여(眞如)와, 본체(성(性))로 돌아가 설하는 입장이지만, 진언종(眞言宗)의 설(說)에서는 현상 자체가 그대로 곧 진리 그 자체라는 것임(性相法爾). [승조(僧肇)는「觸事而眞」이라고 말함]→사리(事理)→촉사이진(觸事而眞) ..

바다와 물결 2020.10.10

업식(業識,1707)-뉴사전

업식(業識,170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방황하는 세계에 유전하여 왔다는 것에 의해 일어나는 의식작용. ② 진여의 법이 본래 평등일미(平等一味), 무차별이라는 것을 있는 그대로 지각할 수 없는 무명 때문에, 불각망상심(不覺妄想心)이 가동하는 것을 말함. 5의(意)의 하나. ③ 숙업(宿業)의 인(因)에 의해 감득(感得)한 심식(心識)을 말하는 것으로, 범부의 마음을 말함. 선업·악업에 의해서 초래된 과보로서의 식(識). (해석예) 기신론(起信論)의 업식(業識)이라고 하는 것은 근본무명의 힘에 의해서 방황의 근본을 일으키는 것. 업은 동작이라는 뜻으로 움직이는 것. 12인연 중의 식(識).「구사론(俱舍論)」에서는 결생(結生)의 식(識)이라고 함. 과거로부터 금생에 태어나옴...

식(識) 2020.10.09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1099)-뉴사전

사십팔경계(四十八輕戒,109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망경(梵網經)」이 설하는 대승계 중, 십중계(十重戒)에 대하여, 비교적 경미한 죄를 경계한 48종류의 것. 특색이 있는 것으로서, (2) 술을 마시지 않는다. (3) 고기나, (4) 오신(五辛 : 부추같은 색다른 냄새를 가진 것)을 먹지 않는다. (10) 살생의 도구를 놓아두지 않는다. (18) 거짓으로 사람의 스승이 되지 않는다. (47) 교단을 속박하는 악법을 세우지 않는다, 등이 있음. 전통적인 호칭에 의하면, (1) 불경사장계(不敬師長戒), (2) 음주계(飮酒戒), (3) 식육계(食肉戒), (4) 식오신계(食五辛戒), (5) 불거교참계(不擧敎懺戒), (6) 주불청법계(住不請法戒), (7) 불능유학계(不能遊學戒),..

칭명염불(稱名念佛,2610)-뉴사전

칭명염불(稱名念佛,261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입으로 아미타불의 명호(名號)를 외며, 마음으로 부처님을 염(念)하는 것. 4종 염불의 1. 염불을 해석하면, 염은 마음으로 생각하고 입으로 부르는데 통하고, 불은 불상(佛像)과 불체(佛體)와 불명(佛名)에 통하므로 4종으로 나눈다. 이 칭명염불은 불명(佛名)을 부르는 칭념(稱念)의 염불을 말한다. 여기에 정심(定心)염불과 산심(散心)염불, 소리의 크고 작음으로 나누는 대념(大念)·소념(小念), 한 부처님 명호만을 일컫는 칭명정행(正行)과 여러 부처님의 명호를 일컫는 칭명잡행(雜行)이 있다. 참고 아미타불(阿彌陀佛,1629)-뉴사전 : 아미타와 같음. 산, Amitadha Buddha ; Amitayus Buddha. 대승불교..

염불(念佛) 2020.10.07

이숙습기(異熟習氣,2065)-뉴사전

이숙습기(異熟習氣,206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숙과(異熟果)를 가져온 습기. 무기성(無記性)인 우리들의 신체를 나게 한 선·악의 업종자와 같은 것. 유식가(唯識家)에서는 제6식으로 선악의 업을 지을 때에 그 업은 그대로 소멸하지 않고, 반드시 장래의 결과를 가져 올 종자를 제8식에 훈습(熏習)하여 둔다고 한다. 이것은 역시 제8 이숙식(異熟識)을 불러오는 증상연(增上緣).→습기. 참고 이숙과(異熟果,2065)-뉴사전 : 이숙인(異熟因)의 결과. 선 또는 악의 업력(業力)에 의해 생겨난 무기(無記)의 결과. 원인은 선 또는 악이지만, 그 성숙해져 얻어진 결과는 무기이므로 이숙(異熟)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우리들의 존재는 무기이고, 선악의 업력에 의해 생기는 까닭에 신체..

인과(因果) 2020.10.06

업종자(業種子,1708)-뉴사전

업종자(業種子,170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명언종자(名言種子)의 반대. 또 업습기(業習氣)·이숙습기(異熟習氣)라고도 함. 제6식과 결부되어 일어나는 선악을 생각하는 심소(心所)의 종자로, 이숙무기(異熟無記)인 명언종자(名言種子)를 도와서 미래에 고락의 과보를 받게 함. (해석예) 업종자(業種子)와 신후(申候)는 악심을 일으키면 악심의 종자를 따르고, 그 종자의 힘에 의해서 3악도(惡道)에 태어나고, 선심을 일으키면, 선심의 종자를 따라 그 종자의 힘에 의하여 인중천상(人中天上)에 태어난다는 것을 신후(申候)라 함. 참고 명언종자(名言種子,597)-뉴사전 : 업종자(業種子)의 대(對). 명언(名言 언어적 표상)에 의해 아라야식(識)중에 훈습된 종자(種子)로, 물심(物心) 모..

훈습(熏習) 202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