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7

계정혜(戒定慧,114)-뉴사전

계정혜(戒定慧,11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계(戒)와 정(定)과 혜(慧). 삼학(三學)이라고도 함. 불도수행자가 반드시 수학실천해야 할 근본의 일. 비(非)를 방지하고, 악을 그만두는 것을 계(戒), 사려분별의 의식을 닦는 것을 정(定), 의혹을 깨고, 진실을 증거하는 것을 혜(慧)라고 함. 팔, silam samadhi panna 참고 계(戒,102)-뉴사전 : ① 삼가함. 교훈. 행동을 삼가하기 위한 계율. 계를 지킨다. 불교에 귀의한 자가 지켜야 할 규칙. 도덕. 원어는 보통 팔, sila 산, sila(尸羅라 음역)임. 산, sila란 본래는 습성이나 반복 습관적으로 수습해야 할 행지(行持)라는 뜻이고, 그 행위는 신지(身持)에 위용있는 것이어야 하므로 위의라고도 한..

오신채(五辛菜)를 먹지 말라(범망경보살계,일타큰스님,85페)

오신채(五辛菜)를 먹지 말라(범망경보살계,일타큰스님,85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너희 불자들이여, 다섯 가지 냄새 나쁜 채소를 먹지 말지니, 마늘·부추·파·달래·흥거, 이 다섯 가지 신채를 일체 음식에 넣어 먹지 말지니라. 만일 짐짓 먹는 자는 경구죄를 범하느니라. 若佛子야 不得食五辛이니 大蒜과 茖葱과 慈葱과 蘭葱과 興渠의 是五辛을 一切食中에 不得食이니 若故食者는 犯輕垢罪니라. (1) 무엇이 오신채인가 제3 식육계에서는 생명을 끊어서 얻은 고기를 먹지 말 것을 경계하였고, 이 계에서는 생명은 없지만 먹으면 나쁜 냄새가 나고 우리의 마음을 청정하지 않게 하는 오신채(五辛菜)를 먹지 말 것을 말씀한 계입니다. 먼저 다섯 가지 채소가 무엇인지, 그것이 어찌하여 나쁜가를 살펴보도록 합시다..

가법(假法,10)-뉴사전

가법(假法,1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실법의 반대. 인연(因緣)이 만남으로써 성립된 임시의 것. 참고 실법(實法,1534)-뉴사전 : ① 실체로서의 존재. 산, bhuta ② 변화가 없는 것. 진여(眞如). 진실의 모습. ③ 실체로써의 실질(實質). ④ 진실로 존재하는 것. 실재하는 것. ⑤ 본질. 정수(精髓). 산, sara 산, sarata ⑥ 바이세시카철학에서 설하는 실체. 산, dravya, .....진여(眞如,2464)-뉴사전 : 산, tathata. 대승불교의 이상개념(理想槪念)의 하나. 우주 만유에 보편(普遍)한 상주 불변하는 본체. 이것은 우리의 사상 개념(思想槪念)으로 미칠 수 없는 진실한 경계. 오직 성품을 증득한 사람만이 알 수 있는 것이며, 거짓이 아닌..

무상(無常) 2020.11.25

언어도단심행처멸(言語道斷心行處滅,1701)-뉴사전

언어도단심행처멸(言語道斷心行處滅,170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리는 깊고도 묘하여 말할 수도 생각할 수도 없는 것을 찬탄하는 말. 곧 우주의 진리는 말길이 끊어졌음으로 말할 수 없고, 마음으로 미칠 것이 아니므로 생각이 멸하였다는 말. 언어를 끊고 생각을 초월한 것. 마음의 행함은 마음의 움직임을 말함. 참고 진리(眞理,2455)-뉴사전 : ① 진실한 이치. 진실. 진실의 궤범(軌範). 이(理)는 사(事)에 대한 말. . ② 진여. 사(事) 즉 일체현상에 대해 말함. ③ 공리(空理)와 같음. ④ 진실한 사제의 도리. ⑤ 신들이 아는 곳이란 의미.「眞理顯名爲天」 ⑥ 불성의 도리.「열반경」등에서 설함. ⑦「나무아미타불」이라고 하는 명호. .....공리(空理,141)-뉴사전 :..

중도(中道) 2020.11.24

수행과 포교(正日禪師法語集,155페)

수행과 포교(正日禪師法語集,155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수행을 잘해서 맑아지고 착해져서 행복하게 잘살면 그것이 포교입니다. 이웃사람들이 너나없이 모두 와서 그 방법을 배워서 따라하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수행을 잘하면 이렇듯 자연스럽게 부처님의 법을 전하면서 일체중생에게 널리 이로움을 줄 수 있게 됩니다. 참선하는 이들은 자기 공부가 우선적으로 소중하다고 하여 포교를 중요하지 않게 여깁니다. 하지만 이것은 짧은 생각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 그 귀한 법을 자기가 아는 만큼 남에게 일러주어 일체중생이 더불어 성불하고자 하는 것이 포교인데, 이것은 수행을 하는 근본 목적이 됩니다. 또한‘상구보리 하화중생’을 원력으로 하는 대승보살들이 걸어야 할 보살도(菩薩道)이기도 합니다. 자신의 ..

포교(布敎) 2020.11.23

인무아(人無我,2110)-뉴사전

인무아(人無我,211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실체(實體)로서의 아트만(산, atman)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인간 개인(個人)의 존재는 오온(五蘊)이 잠정적으로 화합(和合)하고 있는 것으로 상일주재(常一主宰)의 실아(實我)는 없다는 것. 법무아(法無我)의 반대. 산, pudgala-nairatmya 참고 실체(實體,1539)-뉴사전 : ① 사물. 그것. 산, dravya ② 토대(土台). 기반(基盤). 피난(避難)하고, 보호를 받는 장소. 기댈 곳. ③ 진실의 본체. .....실체(實體,1479)-국어사전 : ① 실제의 물체. ② 성질이나 작용의 본체. ③ 생멸 변화(生滅變化)하는 현상의 배후나 기초가 되어 영원히 변하지 않는 본체. 아트만(산, atman)→아(我,16..

오온(五蘊) 2020.11.22

가아(假我,14)-뉴사전

가아(假我,1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我)라는 것은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여러 요소가 모인 신체위에 임시로 아(我)라는 명칭을 붙인 것. 참고 아(我,1612)-뉴사전 : ① 나. 산, aham 산, asmad ② 우리들. ③ 자신. 행위주체로서의 자기는 불교에서도 적극적으로 용인하고 있음. 산, atman ④ 자아. 개아(個我). 영원불멸의 존재. 고정적 실체. 자기주관의 중심이 되는 것. 실제로서의 자아. 주체적 존재. 주체적인 자아. 인간이라는 개체 그 자체. 변함없는 주체. 전통적으로는「상(常)·일(一)·주(主)·재(宰)의 4의(四義)를 갖추고, 자재(自在)를 성(性)으로 한다」고 해석된다. 불교는 이와같은 것을 승인하지 않았다. ⑤ 자아에 대한..

성도문(聖道門,1354)-뉴사전

성도문(聖道門,135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스스로의 능력에 의지하여 수행해서 이 세상에서 깨달음을 얻으려고 하는 실천. 정토문의 반대. 정토교에서는 이것을 범부에게는 맞지 않는 자력문(自力門)이라고 하여 멀리함. 구체적으로는 밀교 및 천태종·화엄종·선종 등을 가리켜 말함.→성정이문(聖淨二門) (해석예) 번뇌즉보리 생사즉열반(煩惱即菩提 生死即涅槃)이라고 이야기한다. 참고 자력(自力,2183)-뉴사전 : ① 자신의 힘. 스스로의 깨달음의 힘. 스스로 닦아서 얻은 공덕력(功德力). 자기의 지해(智解), 분별력을 말함. ② 정신력. 산, virya 팔, viriya ③ 내적인 힘. ④ 자력을 가지고 계획하는 것. 타력의 구제를 의심하고, 자신이 닦은 작은 선(善)을 회향(廻向)하..

성진득도(聲塵得道,1370)-뉴사전

성진득도(聲塵得道,137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진(塵)은 우리의 심식(心識)을 더럽히고, 번뇌를 일으키는 것을 말함. 여기서는 음성을 가리킴. 처음 불도에 들어가는 연(緣)으로써 유력한 것이 음성이므로 이렇게 이름. 참고 진(塵,2450)-뉴사전 : ① 대상. 경(境)과 같음. 산, artha ② 물질적인 대상. 산, visaya ③ 더러움. ④ 번뇌. 산, upaklesa ⑤ 오점. 결함. 결점. 산, dosa ⑥ 찰진(刹塵)의 준말.→찰진 ⑦ 원자. 미진과 같음.→미진 산, paramanu-raja 산, anu .....경(境,89)-뉴사전 : ① 대상. 외계의 존재. 현상. 물(物). 사물. 외계의 사물. 감관(感官)과 마음에 의해 지각되고 사려되는 대상. 일반적으로..

육경(六境) 2020.11.19

사유위상(四有爲相,1109)-뉴사전

사유위상(四有爲相,110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모든 유위(有爲)의 법에 반드시 따르는 4가지의 상상(相狀)을 나타내는 법. (14종의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중에 포함된다). 법은 생기(生起)하건 아니건, 다음의 순간에는 소멸하지만, 세밀하게 나누어 말하면 그 사이에, (1) 생기(生起)하고, (2) 생기(生起)된 상태를 유지하고, (3) 그 상태가 변화하고, (4) 소멸한다고 하는 4가지의 단계가 있는 것을 말함. 즉, 일체의 사물의 생(生)·주(住)·이(異)·멸(滅)의 무상한 모습. 또 4상(四相)이라고도 함.→사상 참고 유위법(有爲法,1955)-뉴사전 : 형성된 것의 존재형태. 여러종류의 조건이 모여서 형성된 것이라는 뜻. 이것은 윤회하는 우리들의 생존을 구성하고 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