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7

예류향(預流向,1781)-뉴사전

예류향(預流向,178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예류(預流)에 향하여 전진해가는 과정. 성문사향(聲聞四向)의 하나. 삼계(三界)의 견혹(見惑)을 끊어가고 있는 견도십오심(見道十五心)의 과정.→사향사과 산, srota 산, apatti-phala-pratipannaka 참고 예류(預流,1780)-뉴사전 : 비로소 법(法)의 흐름에 들어간 자의 뜻. 제1단계의 성자(聖者). 성자(聖者)로서의 흘러드는 자. 산, srota apatti 산, srota apatti-phala (해석예) 예류(預流)는 흐름에 맡긴다는 것으로, 지금까지는 유루(有漏)의 범부(凡夫)였던 자가 지금 비로소 성자(聖者)가 되고, 무루(無漏)의 성자(聖者)의 흐름에 맡긴다. 전진(前進,2049)-국어사전 : 앞..

견취견(見取見,79)-뉴사전

견취견(見取見,7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틀린 견해를 바르다고 집착하는 것. 우열(愚劣)한 지견(知見)을 훌륭한 생각이라고 집착하는 잘못된 견해. 서로 자기가 고집하는 바를 가장 훌륭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이 고집하는 바를 틀리다고 하는 견해. 산, drsti-paramarsa 팔, ditthi-paramasa ② 오견(五見)의 하나. 신견(身見)과 변견(邊見)과 사견(邪見)을 일으키고, 이것에 망집(妄執)하여, 이것이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잘못된 견해. 신견(身見)과 변견(邊見)과 사견(邪見)의 세가지를 바르다고 생각하는 견해. (해석예) 생략해서 견취(見取)라고도 하며, 이와 같은 벽사(僻事)에 집착하는 여러 가지 마음을 미묘한 마음이라고 생각하며, 혹은 벽사..

연기법(緣起法,1736)-뉴사전

연기법(緣起法,173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연기의 도리. 팔, paticca-sa-muppada 산, pratitya-samutpada ② 연에 의해 법이 일어나는 것. 산, pratitya-dha-rma-udaya 참고 연기(緣起,1735)-뉴사전 : ① 인연생(因緣生)·연생(緣生)인연법 모두를 말함. 다른 것과의 관계가 연이 되어 생기(生起)하는 것. A에 (緣) B가 (起) 일어나는 것. 무엇에 의해 일어난다는 뜻으로, 모든 현상은 무수의 원인(因 산, hetu)과 조건(緣 산, pratyaya)이 서로 관계해서 성립되어 있는 것으로, 독립 자존이 아니고, 제조건과 원인이 없어진다면, 결과(果 산, phala)도 저절로 없어진다는 것. 불교의 기본적 교설. 현상적..

연기(緣起) 2020.12.05

육입(六入,1984)-뉴사전

육입(六入,1984)-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정신활동이 그것을 통해 일어나는 여섯가지 영역. 대상을 받아들이는 여섯가지 장(場). 심(心)과 오관(五官). 안의 육입(六入)이란 육근(六根), 밖의 육입(六入)이란 육경(六境)을 의미하고, 합쳐서 십이입(十二入 : 十二處)이라 함. 여섯가지 감수기능(感受機能). 십이인연(十二因緣)의 제오지(第五支). 「外六入」(色·聲·香·味·觸·法의 육경(六境)을 말함.) 참고 정신(精神,2292)-뉴사전 : ① 정식혼신(精識魂神)이라는 뜻. 혼령. 제6식(第六識)을 가리킨다. ② 윤회의 주체로서의 정신적 원리.→심(心) 원기. 진심. 근성(根性). 체기(體氣)와 같은 것으로, 구체적인 개성을 가리킨다. .....정신(精神,2078)-국어사전 :..

육입(六入) 2020.12.04

불교대전-1041[(萬海)韓龍雲,647페]

불교대전-1041[(萬海)韓龍雲,647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욕(忍辱)에 안주(安住)하는 것, 이것이 최고의 치장이요 가장 뛰어난 보배니, 세속의 보배의 미칠 바가 아니다. 인욕은 뛰어난 양약(良藥)이어서 능히 분독(忿毒)을 치료한다. 저 인욕의 힘 때문에 차차 분독이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인욕은 공덕(功德)의 곳집(庫)이므로, 착한 사람은 이를 지킴으로써 마음을 조복(調伏)해, 번뇌(煩惱)에 의해 어지럽히는 바가 되지 않는다. 인욕은 천상(天上)에 태어나는 사다리여서, 윤회(輪廻)의 공포로부터 탈출하게 한다. 만약 이를 수행(修行)하면 지옥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다. 인욕은 공덕의 물이어서 맑고 그득하여, 능히 아귀(餓鬼)의 목마름을 구하고 방생(傍生)의 죄악을..

경계(境界) 2020.12.03

아타나식(阿陀那識,1647)-뉴사전

아타나식(阿陀那識,1647)-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타나는 산, adana-vijnana의 전반부의 음역. 식은 산, vijnana의 한역. 티, len pahi rnam par ses pa ① 제8식의 다른 이름. 집지식(執持識)이라고 한역함. 이 식은 (1) 감관과 신체를 집지하기 때문에 깨지지 않는 근본적인 식이며, (2) 제법의 종자를 집지하기 때문에 잃지 않고, (3) 자신을 집지하여 결생상속(結生相續)시키기 때문에, 집지식이라고 한다. 현장(玄奘)·규기(窺基)의 법상종에서는 아뢰야식의 다른 이름으로 쓰고, 이 식이 선악의 업의 세력과 우리들 유정한 신체를 유지, 집지하여 부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② 제7식이라고도 한다. 아뢰야식의 유복무기(有覆無記)한 점을 ..

유식소변(唯識所變,1948)-뉴사전

유식소변(唯識所變,194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의 사상(事象)은 아라야식(識)에서 변현(變現)한 것이라는 뜻. 소변(所變)의 원어는 산, parinama로, 안혜(安慧 산, Sthiramati)의 주석에 의하면「전후 다른 것」이라고 하는 시간적 개념이지만,「성유식론」에서는 제법(諸法 : 諸事象)이 전개한다고 하는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의도하는 바는 반드시 같지 않다. 참고 일체(一切,2159)-뉴사전 : ① 모든. 수가 많음. 전부. 모두. 전체를 포함해서 말하는 전부의 일체와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소분(少分)의 일체가 있다. 산, sarva ② 일체의 법. 즉 5온(五蘊)·12처(處)·18계(界)와 같은 각각의 견해에 있어서 법의 체계를 말한다. 사상(事象,..

적멸평등(寂滅平等,2240)-뉴사전

적멸평등(寂滅平等,224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열반의 경지에서는, 모든 것이 평등하며 번뇌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 (해석예) 번뇌가 없어지는 것이다. 팔지(八地)에 이르러서는 미세한 번뇌에서 벗어난 팔지(八地)의 무공용(無功用)에 이르는 것을 적멸평등(寂滅平等)이라고 이름한다. 참고 열반(涅槃,1749)-뉴사전 : ① 아마도 속어인 nibban의 음역. 번뇌의 불을 불어 끈 상태. 열반(산. nirvana). 금광명최승왕경에는(1권)에는 거기에 열가지 의미가 있다고 함. →해탈(팔. nibbana) 산(pari-nirvayin. 열반의 경지에 든 사람.) 산(prasama-pura. 고요한 평화의 거리.) [현재의 산스크리트어나 힌두어에서는 위인(偉人), 예를 들면 간디나..

평등(平等) 2020.11.30

현행법(現行法,2805)-뉴사전

현행법(現行法,2805)-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유식설(唯識說)에 있어서 아라야식 속에서 나타난 현상계의 모든 사물과 현상. 참고 유식(唯識,1947)-뉴사전 : 산, vijnapti-matrata [티 rnam par rig pa tsam(nid)]의 한역. 단지, 표상일 뿐. 산, vijnapti는 동사 산, vi jna의 사역활용어(使役活用語)를 근거로 하여 만들어진 추상명사로, 표지·기호 등을 의미함.(인도 일반 및 쟈이나교에서는 종종「知」「報知의 편지」를 의미한다.) 유식학파(唯識學派)의 술어로서는 마음에 비추어진 표상을 나타낸다. 이 말이 의미하는 것은 중요하여, 유식학파(唯識學派)의 근본이념은 이 한마디로 표현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음. 유(唯 : 산, matra..

염불왕생원(念佛往生願,1761)-뉴사전

염불왕생원(念佛往生願,176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 48원(願)중 열여덟번째. 염불하는 중생을 한결같이 정토(淨土)에 왕생하도록 맹서한 원(願). 제십팔원(第十八願)의 다른 이름. 참고 아미타불(阿彌陀佛,1629)-뉴사전 : 아미타와 같음. 산, Amitadha Buddha ;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의 중요한 부처님. 줄여서 미타. 범본경전(梵本經典)에는 아미타바불타·아미타유사불타의 두 이름이 있다. 한역한 여러 경전에도 여러 가지 이름이 있거니와 보통으로는 아미타불·무량수불이라 한다.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의 감화를 받은 법장(法藏)이 2백 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여 이상국을 건설하기..

나무아미타불 2020.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