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um 1627

오인비기(五人非器,1822)-뉴사전

오인비기(五人非器,1822)-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도(道)를 받을 수 있는 그릇이 안되는 다섯가지 종류의 사람. (1) 사견(邪見)에 빠져 믿음이 없는 사람. (2) 진리를 어기고 명리(名利)만 구하는 사람. (3) 문구(文句)에만 구애되어 실도(實道)에 맞지 않는 사람. (4) 비열한 사람. (5) 권방편(權方便)에 머물러서 진실을 알지 못하는 사람. 참고 도(道,476)-뉴사전 : ① 깨달음의 길. 불도. 산, marga 산, panthan (해석예) 사람이 밟는 곳을 말함. 큰 것을 도(道)라고 말하고, 작은 것을 노(路)라고 말함. 인위(因位)의 수행. ② 인간이 밟아 가야할 길. 도리에 맞는 것. 합법한 것. (표현예) 올바름. ③ 실천의 방법. ④ 깨달음. 숭고한 ..

유(有) 2021.01.06

사근본번뇌(四根本煩惱,1048)-뉴사전

사근본번뇌(四根本煩惱,1048)-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탐(貪)·진(瞋)·치(癡)·만(慢)의 4혹(惑)은 일체의 번뇌의 근본이 되는 혹(惑 : 번뇌)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음. 참고 탐(貪,2630)-뉴사전 : ① 미혹의 생존의 근원으로서의 탐욕. 욕심. 탐애. 탐하고 집착하는 것. 격렬한 욕망. 팔, raga 탐(貪)이라고 하는 것은 만물을 탐하지만 더 바라는 마음이고, 탐(貪)의 유력(有力)은 위(威)를 취하며, 무력(無力)은 다른이에 쫓아 구한다. 애욕. 탐염(貪染). ② 분노(산, dvesa)에 대함.→진(瞋) ③ 삼독(三毒)의 하나.→삼독 ④ 아비달마에서는 마음의 작용 중 부정지법(不定地法)의 하나. 마음에 꼭맞는 대상을 욕구하는 것. ⑤ 욕심 부리는 자. ⑥ 행..

만(慢) 2021.01.05

참선경어(參禪警語,제2장-36,86페)

참선경어(參禪警語,제2장-36,86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2장. 옛 큰스님의 가르침에 대해 평하는 글 -생사심을 타파하라. 대혜스님이 말씀하셨다. “오래 참구했거나 먼저 깨쳤거나를 막론하고 참으로 고요한 경지에 도달하려면 모름지기 생사심을 깨뜨려서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참선하는 데는 생사심이 깨어지면 저절로 고요해진다.” 나는 이렇게 평한다. 의정(疑情)이 일어나면 그것이 뭉쳐서 한 곳에 엉켜 있게 되고, 그 의정이 깨어지고 나면 생사심도 깨어진다. 이런 자리에서는 요동하는 모습(動相)을 찾을래야 정말로 찾지 못한다. 참고 생사심→생사(生死,1286)-뉴사전 : ① 생과 사. 살아있는 것과 죽은 것. ② 생사에. 미혹의 세계. 유전(流轉)의 모습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말. 미..

참선경어(參禪警語,92페)

참선경어(參禪警語,92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의정을 일으키지 못하는 납자에게 주는 글- 6. 4대(四大) 육신에 주인공이 있다고 생각하는 장애 참선하는 데 의정을 일으키지는 않고서 이 심신(心身)은 순전히 잠깐 동안의 인연(因緣)이라고 간파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또 이렇게 생각한다.“그 가연(假緣)인 심신 속에 오고가는‘한 물건’이 있어서 모양다리도 없는 것이 움직이기도 했다, 가만히 있기도 했다 하면서 6근(六根)을 통해서 빛을 놓고 땅을 흔든다. 그것은 흩어지면 온 세계에 다 퍼지고 거두어들이면 터럭만큼도 안된다”고. 그리하여 그 속에 도리가 있다고 착각하고는 의정을 일으켜 참구하려 하지 않고, 거기서‘나는 큰 일(大事)을 끝마친 사람이다’라고 생각하니 이는 생멸심이지..

제일공행(第一空行,2326)-뉴사전

제일공행(第一空行,2326)-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신(身)·구(口)·의(意) 삼업(三業)의 악을 없애는 행법(行法)을 공행. 공행에 대승·소승의 구별이 있으니, 대승의 공행을 제일 공행. 소승의 공행보다 수승하다는 뜻. 대승의 공행(空行)을 말함. 참고 신(身,1508)-뉴사전 : ① 신체. 육체. 산, 팔, kaya ② 5원소로 구성되어 있는 신체. ③ 집착된 신체. ④ 집착되어진 개인 존재. ⑤ 아트만(팔, attan 산, atman). 자기. 자기자신. [안세고(安世高)는 아트만을 항상「身」이라 한역.「我」를 사용하는 경우는, 대명사일 때 뿐임.] ⑥ 자신. 우리. ⑦ 오온의 하나. 행. 잠재적 형성 작용. ⑧ 이 몸의 영속적 자아. ⑨ 개인존재. 생존. ⑩ 촉각. 신체..

삼업(三業) 2021.01.02

십호(十號,1609)-뉴사전

십호(十號,160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부처님의 10가지 칭호. (1) 여래(如來 산, 팔, tathagata). 수행을 완성한 사람. 이상적인 인격. 자이나교에서도 사용함. (2) 응공(應供 팔, arhat). 존경받아야 할 사람. 공양받아야 할 사람. 불교가 흥했을 때, 자이나교 등에서도 사용하였었음. (3) 정변지(正遍知 팔, samma-sambuddha 산, samyak-sambuddha). 올바르게 깨달은 사람. (4) 명행족(明行足 팔, vijjacarana-sampanna 산, vidya-carana-sampanna). 명지(明知)와 행(行)을 완전히 갖추고 있는 사람. 자이나교 성전에서도 이와 같이 부르고 있음. (5) 선서(善逝 산, 팔, sugata)..

필경무상주(畢竟無常住,2711)-뉴사전

필경무상주(畢竟無常住,2711)-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우주의 만유는 실체는 공무(空無)이고, 궁극적으로 상주(常住)의 법(法 : 존재)은 없다고 하는 뜻. 우리가 만상(萬像)의 형체를 상주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허망한 생각에 불과하고 생멸 변화하여 상주하지 못하는 것이 진상(眞相). 참고 우주(宇宙,1774)-국어사전 : ① 온 세계를 둘러싸고 있는 공간. ② 천문학에서, 천체를 비롯한 만물을 포용하는 물리학적 공간을 이름. ③ 철학에서, 질서있는 통일체로서의 세계를 이름. 만유(萬有,568)-뉴사전 : 우주간에 있는 삼라만상. .....삼라만상(森羅萬象,1171)-뉴사전 : 우주사이에 존재하는 헤아릴 수 없는 일체의 것. 상(象)은「역경(易經)」에 의하면 나타난다라는 뜻. 실..

견혹(見惑,80)-뉴사전

견혹(見惑,80)-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사상적, 관념적인 미혹. 이치(理)에 어두운 혹(惑). 도리를 알지 못하는 혹(惑). 미리(迷理)의 혹(惑). 돈단(頓斷)임. 진리를 오인하는 것에서 생김. 이것을 상세하게 나누면, 팔십팔사(八十八使)가 있음.→수혹(修惑). 견번뇌(見煩惱)·견장(見障)이라고도 한다. 견도위(見道位)에서 사제의 이치를 볼 때에 끊는 번뇌, 곧 진리가 밝혀지지 않은 미(迷). 그 자체에 신견(身見)·변견(邊見)·사견(邪見)·견취견(見取見)·계금취견(戒禁取見)·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 등 10종이 있다. 그러나 3계(界)에서 각기 사제를 관찰하여 끊는 번뇌는 각제(各諦)에서 제각기 다르므로 모두 88사(使)의 견혹이 된다. 욕계에는 고제(..

도리(道理) 2020.12.30

제십팔원(第十八願,2323)-뉴사전

제십팔원(第十八願,2323)-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 48원 중의 제18. 48원 중 가장 중요한 소원이기 때문에 왕본원(王本願)이라고도 하고 그 내용은 염불왕생(念佛往生)의 염원이라고도 함.→삼원(三願) 참고 아미타불(阿彌陀佛,1629)-뉴사전 : 아미타와 같음. 산, Amitadha Buddha ;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의 중요한 부처님. 줄여서 미타. 범본경전(梵本經典)에는 아미타바불타·아미타유사불타의 두 이름이 있다. 한역한 여러 경전에도 여러 가지 이름이 있거니와 보통으로는 아미타불·무량수불이라 한다. 정토 3부경에 있는 이 부처님의 역사는 오랜 옛적 과거세에 세자재왕불의 감화를 받은 법장(法藏)이 2백 10억의 많은 국토에서 훌륭한 나라를 택하..

四十八願 2020.12.29

타력문(他力門,2619)-뉴사전

타력문(他力門,2619)-뉴사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타력의 법문. 정토교. 또는 타력교(他力敎)·타력종(他力宗). 자기 이외의 자비한 이의 힘으로 구제되는 일을 가르쳐 보인 법문. 곧 정토문. 참고 타력(他力,2619)-뉴사전 : ① 자력의 반대. 다른 힘. 타인 또는 다른 그 자체의 작용. 산, (para-)tantra ② 자력에 반대되는 것. 특히 불·보살의 힘에 의해 깨달음에 인도되는 것을 말함. 넓은 뜻으로는 부처님이나 보살의 가호를 가리킨다. 다른 존재로부터의 힘을 더함. 자력문에서도 감응도교(感應道交)를 기대하는 등의 자가 있고, 부처님의 힘을 빌지 않고 깨달음을 얻을 수가 없기 때문에 그 의미에서는 타력을 기대하는 자라고 말할 수 있음.→자력 ③ 정토교에서는 중생을 극..

염불(念佛) 2020.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