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성전)-90-교리문59 원효(성전)-90-교리문59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3. 「삼매」의 종류 「정」의 이름의 같지 않은 것이 여덟 가지가 있다. 一은「삼마혜다(三摩呬多)」니「이쪽에선 고루이끔(等引)」이라고 번역하나니 혼침과 들뜸의 한쪽에 치우침을 멀리 여읜 마음의 상태이므로.. 원효(元曉) 2016.04.11
원효(성전)-89-교리문58 원효(성전)-89-교리문58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 「삼매」의 뜻 「삼매」에는 두가지가 있으니 먼저 해석하고 뒤에 가리기로 한다. 옛 스님이 말씀하기를「저기서는「삼매」라고 한 것을 여기서는「바른 생각(正思)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이제 이 말을 해석하는 .. 원효(元曉) 2016.04.10
원효(성전)-88-교리문57 원효(성전)-88-교리문57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3절 경 제목 풀이(釋題目) 「이 경 제목이 세가지가 있다. 一은「섭대승경」이요 二는「금강삼매경」이요 三은「무량의종」이라 한다. 첫째와 셋째는 다음에 해석하고 지금은 먼저 둘째 제목을 풀기로 한다. 오직 이 .. 원효(元曉) 2016.04.09
원효(성전)-87-교리문56 원효(성전)-87-교리문56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2절 이 경의 종지(辨經宗) 「이 경의 종지는 벌리어 말할 수도 있고 합쳐서 말할 수도 있다. 합쳐서 말하면 한결같은「관행(觀行)」으로 요지를 삼거니와 벌리어 말하면 열 단계의 법문으로 종(宗)을 삼는다. 「관행」.. 원효(元曉) 2016.04.08
원효(성전)-86-교리문55 원효(성전)-86-교리문55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5장 「금강삼매경」해제 제1절 경의 대의(述大義) 「대저 한 마음의 근원은「유무(有·無)를 떠나서 홀로 청정하며「이공(二空)」의 바다는「진·속(眞俗)」을 사무쳐 담연(湛然)하도다. 담연하므로 둘을 사무쳤으나 .. 원효(元曉) 2016.04.07
원효(성전)-85-교리문54 원효(성전)-85-교리문54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10절 「깨달음」의 세계로 돌아가는 길 「무명」의 훈습력(熏習力)에 의하여 일어나는「식」은 범부로서 능히 알 수 없으며 또한「이승(二乘)」의 지혜로서도 깨달아 알 수 없는 것이요 보살이 처음의 바른 믿음으로.. 원효(元曉) 2016.04.06
원효(성전)-84-교리문53 원효(성전)-84-교리문53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8절 「삼계」는 오직 한 마음 「그러므로「삼계(三界)」는 허위(虛爲)한 것이어서 오직 마음의 지은 것이라 마음을 여의면 곧 육진(六塵)경계가 없느니라. 무슨 뜻인가. 온갖 법은 다 마음으로 좇아 일어났고 망념(妄念.. 원효(元曉) 2016.04.05
원효(성전)-83-교리문52 원효(성전)-83-교리문52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제7절 「연기」의 법칙 「다음에 생멸의 인연이란 이른바 중생의「심 · 의 · 식(心 · 意 · 識)」의 변화에 의한 까닭이다. 왜 그러냐 하면「아리야식」에 의하여「무명」이 있다고 말하지만, 이「무명」이란「깨닫.. 원효(元曉) 2016.04.04
원효(성전)-82-교리문51 원효(성전)-82-교리문51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제6절 깨달음과「못깨달음」의 두가지 모양 「다음에는「깨달음」과「깨닫지 못함」의 두 가지 모습이 있으니 一은 같은 모습이요 二는 다른 모습이다. 같은 모습이란 마치 갖가지의 질그릇은 다같이 진흙으로 만들어.. 원효(元曉) 2016.04.03
원효(성전)-81-교리문50 원효(성전)-81-교리문50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8. 여섯 가지 번뇌업의 현상 경계의 인연이 있으므로 다시 여섯 가지 현상을 내게 된다. 여섯 가지란 一은「분별지의 모습(智相)」이니 경계에 의하므로 분별심을 일으키어 좋고 나쁜 경계에 사랑하고 미워하는 생각을 .. 원효(元曉) 2016.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