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옹」(退翁)이라는 호(號) 「퇴옹」(退翁)이라는 호(號)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세상 사람들은 한결같이 앞으로 나아가고, 높아지고자 하는 것이 통례인데도 성철대종사는 일생에 단 한 번도 앞으로 나아가고 싶어하지 않으셨다. 그래서 어느 날, 어느 책 서문을 지으시고는「물러가는 늙은이.. 성철큰스님 말씀 2015.11.26
관음보살과 문수보살 관음보살과 문수보살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어떤 것이 부처님입니까? 금사탄 여울가의 마씨 부인이로다 如何是佛 金沙灘頭馬郞婦 이것은 임제종의 3세인 풍혈스님의 법문입니다. 어떤 스님이 풍혈스님에게 묻기를 "어떤 것이 부처님입니까?"하니 "금사탄 개울가의 마씨 부인이다"하였.. 성철큰스님 말씀 2015.11.15
대지도론(大智度論) (百日法門 上) 대지도론(大智度論)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용수논사는 대품반야경을 주석한「대지도론(大智度論)」에서 제법 실상인 중도는 바로 두 견해를 멀리 떠나는 것임을 재차 강조하였습니다. 있다는 견해와 없다는 견해가 남김없이 멸한 제법실상은 부처님이 말씀하신 것이며, 항상 머물러 .. 성철큰스님 말씀 2015.11.11
중도(中道) 중도(中道)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김병용이 봉암사에 도착한 것은 저녁공양이 막 끝난 시각이었다. "어떻게 오셨습니까?" 원주스님이 늦은 시간에 찾아온 방문객을 맞이하여 물었다. "성철스님을 뵈러 왔습니다. 성철스님이 분명 이 절에 계십니까." "계시긴 합니다만, 막 공양을 끝낸 .. 성철큰스님 말씀 2015.10.23
불생불멸의 세계 불생불멸의 세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물음) 불성(佛性)이란 무엇입니까? (대답) 이것은 불교의 독특한 용어(用語)인데, 부처님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불성(佛性)이라 하고, 일체법계(一切法界)를 말할 때는 법성(法性)이라 하는데 일체만법의 본 모습이라는 말입니다. 이 법성을 바.. 성철큰스님 말씀 2015.10.22
증도가(證道歌) 증도가(證道歌)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권. 당나라의 永嘉대사 玄覺이 저술한 것. 선종의 깨닫는 내용을 七言의 韻文으로 읊은 것. 參同契 · 寶鏡三昧 등과 함께 널리 쓰이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증도가講說 이름과 모양 분별함을 쉴 줄 모르고 바다 속 모래를 헤아리듯 헛되이 스스.. 성철큰스님 말씀 2015.10.18
一切處에 無心 一切處에 無心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금강경」에 이르기를 ‘보살이 아법(我法)이 없는 사람은 여래가 참다운 보살이라’고 말씀하시며, 또 ‘취하지도 아니하고 버리지도 아니하여 영원히 생사를 끊어서 일체처에 무심하면 곧 모든 부처님의 아들이다’라고 하였느니라.「열반.. 성철큰스님 말씀 2015.10.08
불속에 피우는 연꽃 불속에 피우는 연꽃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대종사의 신도 가운데 부산에서 사업을 하는 박남도 거사가 있다. 평소 박거사의 신심과 구법 정신을 알고 계시는 대종사께서는 무척 아끼고 좋아하신다. 어느 해 정초에 박거사는 백련암을 찾아와 대종사께 세배를 드렸다. 그때도 대종사께.. 성철큰스님 말씀 2015.10.03
십이연기의 재해석 십이연기의 재해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제부터는 십이연기에 대한 몇 가지 견해를 피력하고자 합니다. 먼저 십이연기에 대한 해석의 문제인데, 여기에는 시간적 인과(因果)관계로 보는 해석과 존재의 원리로 보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종래에는 십이연기에 대한 이 두 가지 해석이.. 성철큰스님 말씀 2015.09.27
법문 한번 해줘 법문 한번 해줘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 · 25사변 전, 문경 봉암사에 좀 살았는데 지금은 죽은 향곡스님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부산 신도들이 신심이 많은데 법문 한 번 해줘.” “내 말 들을까?” “듣든 안듣든 법문이나 한 번 해줘. 내가 사람들을 모을 테니.” 가 보니 사람들이 많.. 성철큰스님 말씀 2015.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