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은 건강을 얻는다 믿음은 건강을 얻는다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나를 만나는 것보다는 복과 지혜가 구족하신 부처님께 삼천번 절을 하는 것이 절을 찾는 신자에게 도움이 된다 하시며, 절을 마치지 않는 불자는 절에 올 자격이 없다 하시고 만나시지 않으시는 대종사..... 그러나 절을 하도록 하여 신심을 .. 성철큰스님 말씀 2015.01.04
보시(布施)하는 마음이 불심(佛心) 보시(布施)하는 마음이 불심(佛心)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오늘의 한국불교는 흔히 육바라밀(六波羅密) 가운데 보시의 공덕을 속세인들에게 사찰을 향해 줄 뿐, 정작 수도승들의 속세를 향한 보시 정신은 희박하다고들 합니다. 또한 신도들은 자신들의 행복을 위하여 열심히 불전의 불.. 성철큰스님 말씀 2014.12.12
명리(名利)를 떠나거라 명리(名利)를 떠나거라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성철대종사가 합천(陜川) 해인사 백련암(白蓮庵)에 걸망짐을 풀고 해인총림 방장(方丈)으로 취임, 천하의 사부대중에게 법어를 내린 지도 어언 20여년이 되는 것 같다. 총림의 직제상으로 방장이 가장 어른이므로 해인사 주지 선출의 결정.. 성철큰스님 말씀 2014.12.09
불생불멸의 세계 불생불멸의 세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물음) 불성(佛性)이란 무엇입니까? (대답) 이것은 불교의 독특한 용어(用語)인데, 부처님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불성(佛性)이라 하고, 일체법계(一切法界)를 말할 때는 법성(法性)이라 하는데 일체만법의 본 모습이라는 말입니다. 이 법성을 바.. 성철큰스님 말씀 2014.11.27
아난의 得道 아난의 득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禪이든지 敎인지 할 것 없이 불교의 근본 이론은 중도(中道)에 서 있음을 충분히 이해하였을 줄 믿습니다. 오늘부터는 부처님이 ‘중도를 정등각했다’고 말씀하신 그 깨친다는 것, 즉 깨달음의 실천부분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이론에 있어서.. 성철큰스님 말씀 2014.11.17
돈오점수(頓悟漸修) 돈오점수(頓悟漸修)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1) 수심결(修心訣) 앞으로 설명하겠지만 보조스님의 사상변화는 세 시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수심결(修心訣)과 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으로 대표되는 초년 시대인데 이때에는 선과 돈오점수가 혼돈되어 있습니다. 그 다음은 돌아가.. 성철큰스님 말씀 2014.11.14
돈오돈수(頓悟頓修) 돈오돈수(頓悟頓修)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오직 돈교문만을 전하여 세상에 나가서 삿된 종(宗)을 부수게 하니 미(迷)할 때에는 누겁을 지나고 깨친 즉 찰나간이로다. 육조 혜능(六祖慧能)대사의 말씀입니다. 선종(禪宗)이란 ‘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리키는 것(直指人心)’을 근본으로 .. 성철큰스님 말씀 2014.11.13
영원한 즐거움(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영원한 즐거움(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불교는 기독교, 이슬람교와 함께 세계 삼대 종교의 하나라고 일컬어집니다. 이들 종교는 저마다 내세우는 교조가 다르므로 그 내용이 서로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그 교조와 내용이 서로 다르다 할지라도 종교.. 성철큰스님 말씀 2014.11.08
사중득활(死中得活) 사중득활(死中得活)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달마대사가 말하였다. “밖으로 모든 인연을 쉬고 안으로 마음이 허덕이지 아니하여 마음이 장벽과 같아야 도에 들어갈 수 있느니라.” 한 생각도 나지 않고 과거와 미래가 끊어져서 번뇌가 순식간에 쉬고서 혼침과 산란을 끊어 없애 종일토.. 성철큰스님 말씀 2014.10.31
태고스님 태고스님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우리나라 선문 가운데에 태고(太古)스님이 계십니다. 태고스님은 공부한 지 20여년 만인, 나이 마흔에 오매일여가 되고 그 뒤 확철히 깨쳤습니다. 깨치고 보니 당시 고려의 큰스님네들이 자기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자기를 인가해 줄 스님도 없고, 자.. 성철큰스님 말씀 201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