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적경-1775-355 대보적경-1775-355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771 / 3476] 쪽 대중이 의심 여의고 두려움 없음[無畏] 얻게 하소서 여래의 지혜로는 기쁘게 할 수 있으리이다. 대중이 기뻐하고 두려움 없음 얻으면 모든 허물 여의고 마음 깨끗하여서 저 대중들 여래의 말씀 들으려 함이 마치 ..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9.12
대보적경-1770-354 대보적경-1770-354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766 / 3476] 쪽 부처님께서 이어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때의 인타당 여래가 너희들은 누구인지 알겠느냐?” 여래께서 물었으나 모든 비구들이 잠자코 대답이 없자, 마침 그 때 동방으로 항..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9.10
대보적경-1765-353 대보적경-1765-353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761 / 3476] 쪽 ...들에게 착한 법을 가르쳐 주어 닦고 배우게 하였기 때문이니라. 이 인타당 여래의 국토는 일찍이 다섯 가지 즐거움을 얻었나니, 하나는 욕심의 즐거움[欲樂]을 얻은 것이요, 둘은 출가하는 즐거움[出家樂]을 얻..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9.09
대보적경-1760-352 대보적경-1760-352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756 / 3476] 쪽 대보적경 제63권 북제 삼장 나련제야사 한역 송성수 번역 16. 보살견실회 ③ 4) 본사품(本事品) 그 때 혜명 마하 가섭(摩訶迦葉)이 모든 아수라왕들이 부처님께 공양하는 것을 보고 나서 보기 드문 일이라는 마음을..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9.07
대보적경-1755-351 대보적경-1755-351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751 / 3476] 쪽 이것이 곧 여래의 특수한 모습이옵니다. 그 때 목진린타(目眞隣陀) 아수라왕이 베푼 공양도 비마질다 아수라왕과 똑같았으며 공양을 닦은 뒤에는 7보로 된 수레를 타고 부처님을 세 바퀴 돌고 손에 가진 적진주..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9.06
대보적경-1750-350 대보적경-1750-350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746 / 3476] 쪽 큰 바다를 소 발자국에 비유함과도 같나이다. 여래의 얼굴 모습 매우 단정하고 많은 몸매[相] 장엄하여 제일이시며 모든 것에서 뛰어나 빛깔 중에 으뜸임은 마치 해가 돋으면 반딧불 빛이 사라짐과 같나이다. 세..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9.04
대보적경-1745-349 대보적경-1745-349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741 / 3476] 쪽 그러므로 저는 부처님께 귀의하면서 비유할 데 없는 묘한 보리를 희구하옵니다. 저는 이제 박가바이신 나고 죽는 큰 고통의 바다를 없애시고 너른 벌판(曠野)을 끊어 번뇌를 여의고 깨끗하시며 중생을 인도하는 ..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9.03
대보적경-1740-348 대보적경-1740-348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736 / 3476] 쪽 ...리는 것과 같았다. 이 낱낱의 보배 수레는 허공 가운데 있었는데 땅에서는 60유순(由旬)이 떨어졌으며 그 낱낱의 수레 뒤에서는 모든 음악이 울렸고 그 낱낱의 수레 위에는 모든 아수라 여인들이 갖가지로 아름..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9.01
대보적경-1735-347 대보적경-1735-347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731 / 3476] 쪽 '나는 세간에서 가장 훌륭하다'고 하였으므로 그 때 나는 밝은 지혜 지닌 이에게 예배하였다. 모니께서 성을 넘어 시골에 있을 때에 염부나무 그림자가 옮아가지 않고 여섯 하늘 동자가 공양을 닦기에 나는 그 때..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31
대보적경-1730-346 대보적경-1730-346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726 / 3476] 쪽 그 때 정반왕은 석씨 종족들에게 말씀하셨다. “어진 이들아, 마치 해가 돋으려 할 때는 먼저 상서로운 모양을 나타내나니 이른바 샛별이 뜨면 오래지 않아 해가 돋을 것을 알 수 있듯이, 가로타이(迦盧陀夷)도 ..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