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적경-1675-335 대보적경-1675-335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671 / 3476] 쪽 또 선남자여, 얻는 것이 없음으로 얻는 것을 삼고 또한 얻는 것도 아니고 얻지 않는 것도 아님을 얻는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 때 사자용맹뢰음 보살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거룩하시옵니다. 원..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13
대보적경-1670-334 대보적경-1670-334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666 / 3476] 쪽 속히 증득하기 원치 않으며 마땅히 미래 세상이 다하도록 중생들을 널리 이익 되게 하겠으며 한량없이 불가사의한 모든 부처님 세계를 장엄하고 깨끗하게 하겠나이다. 그리고 장차 저의 이름이 시방세계에 널리..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11
대보적경-1665-333 대보적경-1665-333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661 / 3476] 쪽 문수사리는 말하였다. “그만두시오, 선남자여, 허망한 생각을 내지 마십시오. 만일 어떤 이가 생김이 없는 법에서 말하기를 '나는 보리의 마음을 내었다. 나는 보리의 행을 행한다'고 하면 매우 삿된 소견인 것..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10
대보적경-1660-332 대보적경-1660-332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656 / 3476] 쪽 ...열(禪悅)의 밥을 얻게 되느니라. 사리불아, 이와 같이 부처님세계의 공덕은 온전히 갖춘 여래의 변재로 1 겁 동안 혹은 1겁을 더 지나도록 말한다 하여도 다하지 못하느니라. 사리불아, 그러나 나는 지금 모든 ..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08
대보적경-1655-331 대보적경-1655-331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651 / 3476] 쪽 배워야 하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그에게 맞거나 욕설을 당하게 되면 더욱더 대비를 일으키며 '나는 마땅히 모든 중생을 위하여 큰 서원의 갑옷을 입고 중생을 섭취하여 해탈을 얻어 열반에 들게 하여야 한다. ..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07
대보적경-1650-330 대보적경-1650-330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646 / 3476] 쪽 성문의 계율을 배우지 않고 함께 성문승과 같은 법을 연설하기 좋아하지 않으며 다른 이에게 성문승을 행하도록 권하지도 않나니, 연각승(緣覺乘)에 대하여도 그러하니라. 오직 부처님 법을 위하여 중생에게 최..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05
대보적경-1645-329 대보적경-1645-329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641 / 3476] 쪽 마후라가 및 사람인 듯하면서도 사람이 아닌 무리로 하여금 저마다의 몸에 32상을 갖추고 보배 일산 속에 나타나는 것을 보게 하였다. 그 때 상장엄성수취왕 보살은 신통 변화를 일으켜 10억의 보살들과 함께 한 ..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04
대보적경-1640-328 대보적경-1640-328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636 / 3476] 쪽 “세존이시여, 석가 여래께서는 옛날 이런 일으키기 어려운 대비의 서원을 세워서 이와 같은 나쁜 세계에 출현하였사오니, 이렇게 인자하신 세존이야말로 매우 만나기 어렵겠나이다. 저는 이제 가서 뵈옵고 예..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02
대보적경-1635-327 대보적경-1635-327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631 / 3476] 쪽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이제 이 최과구 보살이 허공에 오르는 것을 보았느냐?” 아난이 아뢰었다. “예, 보았사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선남자야, 이 최과구는 이로부터 6만 2천 아..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8.01
대보적경-1630-326 대보적경-1630-326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626 / 3476] 쪽 만나기 어렵고 저 훌륭하고 높으신 이께 감로(甘露)의 근심 없는 구절 들어야 한다. 그 때 왕사성 안에 사는 남녀로서 어른이나 어린이의 한량없는 중생들이 이 게송을 듣고 나서 모두가 깨쳐 알고 저마다 향과 .. 대보적경(大寶積經) 2017.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