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대강좌(99)-수보리언 심다세존~ 금강경대강좌(99)-수보리언 심다세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원문] 須菩提言 甚多世尊 何以故 是福德 卽非福德性 是故 如來說福德多 [解義] 「삼천대천세계에 가득찬 칠보를 가지고 보시를 해서 많은 중생들을 잘 살게 해 준 복덕이 얼마나 많겠느냐.」고 부처님이 ..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3.30
금강경대강좌(98)-수보리 어의운하~ 금강경대강좌(98)-수보리 어의운하~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原文] 須菩提 於意云何 若人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所得福德 寧爲多不 [解義] 「수보리야, 네 마음에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일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의 가득찬 칠보(七寶)를 가지고 남을 ..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3.29
금강경대강좌(97)-第八 依法出生分(모든 것 여기에서 나오다) 금강경대강좌(97)-第八 依法出生分(모든 것 여기에서 나오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科解]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의 의법이란 법에 의지한다는 뜻입니다. 흔히 법법 하는데 세상에서도 법은 국회에 한 번 통과되면 다시는 변할 수 없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만인이 ..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3.28
금강경대강좌(96)-依法出生分 第八 금강경대강좌(96)-依法出生分 第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須菩提야 於意云何오 若人이 滿三千大千世界七寶하야 以用布施하면 是人의 所得福德이 寧爲多不아 須菩提言하사대 甚多니다 世尊하 何以故오 是福德은 卽非福德性일새 是故로 如來說福德多니이다 若復有..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3.28
금강경대강좌(95)-理論은 佛法 근처도 아니다 금강경대강좌(95)-理論은 佛法 근처도 아니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깨쳤다고 해서 새로 얻은 것도 없고 설명할 수도 없는 법 아무 것도 할 일 없는 무위법(無爲法)의 세계를 알지 못하고 법도 아닌 것을 집착하고 <나>도 아닌 육신을 <나>로 삼아서 고해(苦海..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3.27
금강경대강좌(94)-凡夫 때나 부처 때나 변하지 않는 것 금강경대강좌(94)-凡夫 때나 부처 때나 변하지 않는 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ㆍ보살이나 조사ㆍ나한네들은 무위법(無爲法)의 열반(涅槃)세계에서 생사를 초월했다 하고 범부중생들은 생사윤회(生死輪廻)의 세계라고 우리는 분별하지만, 이렇게 생각이 남아 있고 ..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3.26
금강경대강좌(93)-無爲法에도 차별 있다 금강경대강좌(93)-無爲法에도 차별 있다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육체를 가지고 나라 하는 뿌리가 박혀서 범부는 이것 때문에 고해(苦海)를 헤매고 돌아다니는 겁니다. 개나 돼지 그게 나라고 하여 남을 다 죽입니다. 육체가 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전 생명 다 죽이고..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3.25
금강경대강좌(92)-相而上學과 相而下學 금강경대강좌(92)-相而上學과 相而下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解義] 불교를 처음 믿고 아직 번뇌가 안 떨어져서 육체를 아직 여의지 못한 사람이면 이것을 상이하학(相而下學)이라 할 수 있고 생각이 떨어지고, 육체가 내가 아닌 줄 확인되었다면, 이것은 상이상학(..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3.24
금강경대강좌(91)-所以者何 一切賢聖~ 금강경대강좌(91)-所以者何 一切賢聖~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원문] 所以者何 一切賢聖 皆以無爲法 而有差別 [解義] 왜 그러냐 하면 어째 제가 그런 말씀을 드리는고 하니 하면서 수보리존자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하십니다(所以者何). 일체 현성(賢聖)이란 곧 모든 불..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3.23
금강경대강좌(90)-하이고 여래소설법~ 금강경대강좌(90)-하이고 여래소설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원문] 何以故 如來所說法 皆不可取 不可說 非法 非非法 [解義] 수보리존자께서「부처님께서 깨달아 얻은 법도 없고 중생에게 설법하신 말씀도 없다」고 하신 뒤에 계속해서 그 까닭을 말씀하십니다.「부.. 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2016.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