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金剛般若波羅蜜經)

금강경대강좌(94)-凡夫 때나 부처 때나 변하지 않는 것

근와(槿瓦) 2016. 3. 26. 04:51

금강경대강좌(94)-凡夫 때나 부처 때나 변하지 않는 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ㆍ보살이나 조사ㆍ나한네들은 무위법(無爲法)의 열반(涅槃)세계에서 생사를 초월했다 하고 범부중생들은 생사윤회(生死輪廻)의 세계라고 우리는 분별하지만, 이렇게 생각이 남아 있고 얻은 게 있는 한 생사다 열반(涅槃)이다 하는 것이 모두 번뇌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나고 죽고 하는 이거나 생사를 초월한 그거나 다 같은 것인데 그러면 그렇게 꼭 같다고만 결정할 수 있느냐 하면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런데 인간ㆍ천당ㆍ지옥 축생으로 돌아다니는 그 가운데서도 뭐가 하나 안 죽는 게 있습니다. 몸뚱이는 천당ㆍ지옥 축생이 되고 남자ㆍ여자가 됐다, 부자도 가난살이도 온갖 것으로 바뀌지만 그래도 하나도 바꿔지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그러면 중생의 몸으로 탐ㆍ진ㆍ치(貪瞋癡)로 남과 멱살 잡고 피투성이 되어 세계전쟁을 일으킨 그 사람이나 성불한 사람이나 달라지지 않는 그게 대체 뭐냐.

 

석가여래가 깨쳤다고 하지만 실달 태자 때와 달라진 거 하나도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실달 태자가 왕자로 있을 때나 생사가 무서워 처자ㆍ권속ㆍ국가민족도 다 버리고 저혼자만 살려고 성을 넘어 야반도주(夜半逃走)한 그 때나, 또 마음을 깨쳐 생사를 완전히 초월한 때나 내내 그겁니다. 인생이 허망하다고 버리고 간 그 마음이나, 나중 깨치고 나서 보니 내내 깨치려고 도망가던 그 마음이었습니다. 그때는 육체를 나라고 믿었기에 육체 죽는 것을 겁내어 생사를 초월해야겠다고 했지만, 깨치고 보니 죽음이 싫다고 가던 그 마음이나 깨치고 난 그 마음이나 하나도 달라진 게 없습니다.

 

그러므로 부처님만이 나 혼자만 깨쳤다고 설명할 수 있는 그런 특별한 법은 하나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태자로 있을 그때 내가, 사람은 누구나 죽는 것인데 이것이 급한 문제라고 하여 도망을 가서 야수다라도 자식도 국가민족 다 버리고 세상이 허망하니 도망가자고 결심하던 내내 그 마음이 꿈깨고 보니 그 마음이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가 되고도 그 면목(面目)은 안 바뀌었으므로 성불해도 실달타 그대로입니다. 그러니 다만 없어졌다면 육체를 <나>라고 하던 착각만 없어진 것입니다. 깨치기 전에는 육체를 나라고 착각을 했을 뿐이지 이 마음자리가 조금도 달라진 건 아닙니다. 배고프면 밥먹을 줄 알고 다리 아프면 쉴 줄 아는 거 그 마음자리는 똑같습니다. 뱃속에서부터 이 마음이 나인 줄 알았으면 장가 들여도 마누라하고 안 자면 그만이고 그렇게 할 수 있었지만 그땐 몸뚱이만 나라고 생각하던 범부이다 보니 마음이 <나>인 줄을 몰랐던 것입니다. 어떤 마음이 <나>인지 늘 밥먹고 생각하는 이걸 가지고 마음이라 했으니 하루에도 천가지 만가지 생각이 죽끓듯이 끓는데 그 가운데 어떤 마음이 진짜 마음인지 그것을 모르던 때였습니다.

 

그런데 마음을 깨치고 보니 온갖 망상을 내고 죄짓던 그 마음 그대로여서 부처가 됐다 해도 다른 사람보다 다른 걸 깨친 게 아닙니다. 실달타 태자 때는 없던 것을 새로 깨친 것이 아니고 다만 육체를 나라고 했기 때문에 세상이 참 복잡했던 것뿐입니다. 부처님께서 어떤 법을 깨쳐서 범부 때 모르던 것을 새로 깨친 것도 아니고 동시에 새로 얻은 법이라 해서 나만이 설명할 수 있는 법이 하나도 없습니다.

 

 

출전 : 금강경대강좌(청담큰스님)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