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유(正思惟) 정사유(正思惟)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八正道의 하나. 正思正志라고도 한다. 번뇌를 여읜 無漏의 지혜로 四諦의 진리를 바르게 觀察하여 마음에 그른 생각이 없는 바른 意業을 일컫는다. 참고 팔정도(八正道) : 八聖道支 · 八正道分 · 八賢聖道 · 八正聖路 · 八..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2
잠견자박(蠶繭自縛) 잠견자박(蠶繭自縛)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有情(衆生)이 자신이 일으킨 번뇌에 의해 스스로 惡行爲를 하게 되므로 말미암아 迷苦의 경계에 빠져서 自繩自縛의 상태로 됨을 가리킨 말. 누에(蠶)가 고치를 지어서 그 안에 스스로 갇힘으로 속박되는 것에 비유한 것.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1
해경십불(解境十佛) 해경십불(解境十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화엄경에서 설하고 있는 열 가지 佛身으로 解境의 十佛이라고도 한다. 行境의 十佛에 對가 된다. 圓敎의 보살이 因位에서 대상을 觀하는 지혜(觀智)를 가지고 확실히 알 수 있는(解悟照了하다) 곳의 境界에는 가지가지이..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1
차안(此岸) 차안(此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生死의 세계. 이 언덕. 열반을 저 언덕(彼岸)이라 하는데 대하여, 생사를 차안이라 함. 참고 생사(生死) : 輪廻라고도 번역한다. 業因에 의해서 六道의 迷界에 태어나서 죽기를 거듭하면서 윤회하는 것으로서, 涅槃(깨달음)의 逆. 生..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0
해탈도(解脫道) 해탈도(解脫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佛道의 총칭. 불교는 여러 가지 속박을 벗고, 그 구경 理想인 열반, 곧 자유자재한 경계에 이르는 길을 말한 것이란 뜻. 出離解脫의 道와 같은 뜻. ② 四道의 하나. 無間道 후에 생기는 일념의 正智가 한창 진리를 證悟하는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0
절대중(絶對中) 절대중(絶對中)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中의 하나. 大 · 小乘의 修學人이 斷 · 常 · 有 · 無의 病이 있으면 偏인데 이 偏病에 대한 中道에 對偏中 · 盡偏中 · 絶對中 · 成假中의 4종의 中道 가운데 하나. 본래 偏病을 對活하기 위해 中道가 있는 것인데 偏病..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9
지바라밀십덕(智波羅蜜十德) 지바라밀십덕(智波羅蜜十德)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1) 탐욕행(貪欲行)을 아는 것. (2) 진에행(瞋恚行)을 아는 것. (3) 우치행(愚癡行)을 아는 것. (4) 等分行을 아는 것. (5) 修學地行을 아는 것. (6) 한 생각 가운데 無邊한 중생의 行을 아는 것. (7) 無邊한 중생의 마음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9
지장십익(地藏十益) 지장십익(地藏十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지장보살의 형상을 그리거나 금·은·동·철 등으로 조각하여 분향하고 공양하며, 예배하고 찬탄하는 곳에는 10종의 이익이 있음. (1) 토지가 풍요롭고, (2) 집안이 길이 평안하며, (3) 先亡하는 이는 하늘에 태어나고, (4) 현..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9
점교(漸敎) 점교(漸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華嚴宗에서 세운 五敎. 곧 小乘敎·大乘始敎·終敎·頓敎·圓敎의 五敎 가운데 始敎와 終敎를 말한다. 이것은 說法의 내용상 오랜 동안의 수행을 통해 점진적으로 證果하는 것이므로 이렇게 말한다. ② 天台宗에서 세운 化儀..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9
천인오쇠(天人五衰) 천인오쇠(天人五衰)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天人이 죽을 때가 되어 나타나는 5종의 衰相. 經論에 따라 所說이 일치하지 않는다. 涅槃經十九에는, (1) 옷이 때가 묻어 더러워지고 (2) 머리 위에 꽃이 시들며 (3) 몸에서 더러운 냄새가 나고 (4) 겨드랑이에 땀이 배고 (5) 제..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