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토종(淨土宗) 정토종(淨土宗)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을 신앙대상의 主佛로, 아미타불의 本願力을 믿고, 그 힘에 의해 극락정토에 往生하고자 하는 宗派. 곧 淨土三部經(無量壽經·十六觀經·阿彌陀經)과 世親의 往生論을 所依經論으로 삼는다. 白蓮寺의 慧遠은 중국 淨..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31
자력(自力) 자력(自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스스로의 힘에 의한 것을 自力이라 하고, 자기 이외의 불 · 보살 등의 힘을 빌리는 것을 他力이라 한다. 불교에서는 자력에 의해서 깨달음을 성취하고자 하는 敎를 自力敎라 하고 自力宗 · 自力門이라고도 하며, 이에 대해 他에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30
종용록(從容錄) 종용록(從容錄)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6권. 원나라의 조동종 萬松 行秀가 엮음. 구족하게는 萬松老人評唱天童覺和尙頌古從容庵錄. 1223년 종용암에 있으면서 天童正覺의 頌古百則에 示衆·着語·評唱을 더해서 湛然거사 從源에게 준 것. 벽암록과 함께 선종의 二大..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8
한(恨) 한(恨)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upanaha. upanahana. ① 敵意가 계속되는 것. 小乘 阿毘達磨의 학문에서는 心所중의 小煩惱地法의 하나. 唯識學에서는 二十隨煩惱의 하나. 분노의 대상을 계속 생각하여서 한을 잊지 못하는 마음의 작용을 말함. ② Samkhya(數論)학파에서..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8
허망법(虛妄法) 허망법(虛妄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色·聲 등 5欲의 법은 그 體가 虛假不實하므로 허망이라 함. 법화경 방편품에 「허망한 법에 집착하여 굳게 받아 들이면 버릴 수 없다」하였음. 참고 허망(虛妄) : 實이 아닌 것을 허, 眞이 아닌 것을 망이라 함. 실제가 아니고,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7
진심(眞心) 진심(眞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眞實心 · 眞如에 契合한 心이란 뜻. 또는 心의 本性으로서의 理를 의미한다. 妄心은 그릇된 心의 작용, 삿된 마음, 곧 현실의 일상생활에서 범부가 일으키는 마음을 일컫는다. 참고 진실심(眞實心) : 진실한 마음이란 뜻. 진여(眞如..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7
정변지(正遍知) 정변지(正遍知)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 十號의 하나. 범어 sam=yak-sambuddha의 번역. 三藐三佛陀 ∙ 三耶三佛檀이라고 音譯하며, 正眞道 ∙ 等正覺 ∙ 等覺 ∙ 正覺이라고도 번역한다. 부처님은 本體界와 現象界에 대한 一切智를 갖추어 우주간의 온갖 것을 두루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7
적문(迹門) 적문(迹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법화경 二十八品 가운데 前十四品을 가리킴. 참된 佛, 本來의 佛은 久遠劫전에 成道한 本佛의 本地 · 本體를 나타낸 本門에 대해 이 세상에 형상을 나타낸 부처님은 그 根源佛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本地로부터 자취를 드리운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7
천인(天人) 천인(天人)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① 범어 apsara의 번역으로 飛天 ∙ 樂天이라 번역한다. 곧 天上의 有情들이란 뜻이니, 허공을 날아 다니며 하늘 음악을 즐기고 지극한 쾌락의 경지에 있지만, 그러나 그 지은 바 복이 다 하고 하늘의 수명이 다하면 五衰의 괴로움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6
총상념처(總相念處) 총상념처(總相念處)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四念處 가운데 하나로 三賢位의 제3. 또 小乘七加行位의 제3. 念處는 지혜의 힘으로 능히 身·受·心·法의 所觀의 경계를 念한다는 뜻. 總相은 別相의 對語로 身·受(感覺)·心·法의 네 경계를 각각 나누어서 苦·空·..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