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의(眞實義) 진실의(眞實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諸法眞實의 뜻에 4종이 있다. (1) 世流布眞實義. 세간의 법은 모두 그 이름과 같아서, 중생이 땅을 보았다면 곧 땅이라 말하고, 불을 보았다면 곧 불이라 하지, 이것을 물이다, 혹은 바람이다라고는 말하지 아니한다. 또한 괴로..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5
취온(取蘊) 취온(取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取는 번뇌의 異名이니 번뇌로부터 蘊을 내고 五蘊으로부터 번뇌를 내므로 取蘊이라 한 것. 有漏의 다른 이름. 小乘有部에서는 모두 번뇌의 異名으로 하고 大乘唯識에서는 탐애의 別名으로 한다. 탐애의 번뇌가 事物에 取着하므로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5
중아함경(中阿含經) 중아함경(中阿含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六十卷. 東晋의 瞿曇僧伽提婆의 번역. 길지도 짧지도 않은 내용의 경 222경권을 모아 한 경으로 한 것. 四諦·十二因緣 등의 小乘佛敎를 說한 것으로 因緣·譬喩와 佛과 제자들의 言行을 기록한 것. 참고 사제(四諦) : ① 諦..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5
탐진치(貪瞋痴) 탐진치(貪瞋痴)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욕심·성냄·어리석음. 이 셋은 수행인을 해롭게 함이 가장 심하므로 3毒이라 한다. 참고 삼독(三毒) : 貪欲 · 瞋恚 · 愚癡(貪 · 瞋 · 癡라고도 婬 · 怒 · 癡라고도 한다)의 3煩惱를 말함. 三火 · 三垢라고도 하고 중생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4
정명(正命) 정명(正命)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八正道의 하나. 身 · 口 · 意 三業으로 惡業을 짓지 않고 바른 생활수단에 의해 五邪命을 하지 않는 것. 참고 팔정도(八正道) : 八聖道支 · 八正道分 · 八賢聖道 · 八正聖路 · 八正法 · 八直道 · 八品道라고도 한다. 불교의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4
피안(彼岸) 피안(彼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미혹의 생존인 이쪽을 차안(此岸)이라 한다. 이에 대해서 깨달음의 세계인 저쪽을 彼岸이라고 한다. ② 범어 paramita(波羅蜜多)의 번역. 자세히 말하면 到彼岸이라 번역한다. 곧 미혹의 이 세상에서 깨달음의 피안에 도달하는 것.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3
찰제리(刹帝利) 찰제리(刹帝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ksatriya의 音譯. 刹利라고도 약하여 부르기도 하며 田主라 번역하고 또 王種이라고도 한다. 인도에 있어서 四姓의 사회계급 가운데 바라문족에 다음가는 王族·貴族·士族의 지배계급을 일컫는다. 軍事·政治에 종사한다..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3
행경십불(行境十佛) 행경십불(行境十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解境十佛에 이르는 말. 화엄종에서 수행한 결과로 깨달아 얻는 佛身의 경계를 10종으로 나눈 것. (1) 正覺佛 또는 無着佛. (2) 願佛. (3) 業報佛. (4) 住持佛. (5) 化佛. (6) 法界佛. (7) 心佛. (8) 三昧佛. (9) 性佛. (10) 如意佛. 참고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3
팔지(八智) 팔지(八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欲界 및 上二界의 四諦를 관하는 眞智이다. 欲界의 四諦를 관하는데 네 가지인 四法智를 말하고 上二界의 四諦를 관하는데 네 가지인 四類智인 것에 여덟 가지. (1) 苦法智는 욕계의 苦諦를 관하여 생기는 무루지. (2) 苦類智는 색계..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2
전륜성왕(轉輪聖王) 전륜성왕(轉輪聖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斫迦羅伐辣底遏羅闍 · 遮加越 등으로 音譯하며 轉輪王 · 轉輪聖帝 · 輪王 · 飛行轉輪帝 · 飛行皇帝 등으로 불리운다. 輪寶(현재의 戰車에 해당)를 굴리는 王이란 뜻. 七寶(輪·象·馬·珠·女·居士·主兵臣의 7)를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