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안(慧眼) 혜안(慧眼)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五眼의 하나. (1) 우주의 진리를 밝게 보는 눈. 곧 만유의 모든 현상은 空하다, 無相하다, 無作이다, 無生이다, 無滅이라 보아 모든 집착을 여의고, 차별의 현상계를 보지 않는 지혜. (2) 지혜는 능히 비추어 봄으로 眼이라 하고, 모든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05
항마좌(降魔坐) 항마좌(降魔坐)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결가부좌하여 바른 발로 왼쪽 다리를 누르고, 다음에 왼쪽의 발로 오른쪽 다리를 누르고 앉는 자세. 吉祥坐의 對.(起信論疏筆削記) 참고 결가부좌(結跏趺坐) : 부처님의 坐法. 승려나 수행인이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또..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04
출세간(出世間) 출세간(出世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世는 遷流, 間은 間隔의 뜻. 일체 생사의 法을 世間이라 하고 열반의 법을 出世間이라 한다. 곧 苦 · 集의 二諦는 世間이고 滅 · 道의 二諦는 出世間이다. 참고 세간(世間) : 범어 loka의 번역. 略해서 世라고도 하고 路迦라 音..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03
팔상(八相) 팔상(八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부처님의 생애에서 여덟 가지 중요한 사항. 그 여덟 가지 중에서 成道가 중심이므로 八相成道라 한다. 부처님의 일생동안의 모습을 헤아리는데 여러 가지 의견이 있으나 보통 다음을 가리킨다. (1) 降兜率相. 前生의 석존이 도솔천..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03
체공관(體空觀) 체공관(體空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삼라만상의 존재가 그대로 空하다고 보는 觀法. 이것은 천태종에서 通敎의 실천 방법으로 세운 것. 참고 체공(體空) : 만물의 존재가 총체적으로 그대로 空하다고 體達하는 것. 小乘은 析空인데 대해 大乘은 體空의 空이다. 삼..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02
제악막작(諸惡莫作) 제악막작(諸惡莫作)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일체의 악을 행하여서는 안된다는 뜻. 「諸惡莫作 衆善奉行 自淨其意 是諸佛敎」의 四句偈를 佛敎의 大意라고도 한다. 참고 악(惡) : 不善의 뜻. 道理에 배반하여 自他를 손해하고, 현재 및 장래에 괴로움을 초래하는 因이..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02
택멸무위(擇滅無爲) 택멸무위(擇滅無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擇滅이라는 無爲. 구사론에선 三無爲의 하나. 護法의 唯識說에선 六無爲의 하나. 簡擇의 힘으로 여러 가지 잡념을 멸하여 究竟엔 진리를 얻는 까닭에 擇滅無爲라고 한다. 簡擇이란 지혜이고, 雜染이란 번뇌이다. 참고 무..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01
타력염불(他力念佛) 타력염불(他力念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미타불의 本願에만 의지하여 자기가 스스로 힘써 닦는 공을 함께 하지 않고, 염불만을 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 아미타불(阿彌陀佛) : 범어 Amitabha Buddha, Amitayus Buddha. 대승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부처님의 한분. 阿彌陀婆(..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01
타력(他力) 타력(他力)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佛道의 2力으로 자기가 닦은 善根은 自力이고, 부처님의 本願力과 加被力은 他力이 된다. 이 타력에 의하여 구제되고 성불함을 말하는 교를 타력교 또는 타력종, 특히 아미타불을 믿고, 염불함으로써 극락정토에 날 수 있다는 淨土..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4.01
혜해탈(慧解脫) 혜해탈(慧解脫)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아라한의 하나. 번뇌의 더러움이 없는 참다운 지혜로써, 번뇌의 장애를 끊고 얻는 경계. 참고 아라한(阿羅漢) : ① 범어 arhan의 音譯. 이것은 男性, 主格, 單數의 形이니, 原形은 arhat. 阿羅訶·阿囉呵·阿盧漢·遏囉曷帝라고도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