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거천(淨居天) 정거천(淨居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無煩天·無熱天·善現天·善見天·色究竟天의 5天을 五淨居天이라 한다. 곧 色界의 제4禪天을 가리키며, 不還果를 證得한 聖人이 이 하늘에 난다고 함. 참고 색계(色界) : 色天·色行天이라고도 한다. 欲界·無色界와 함께 三..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9
화법사교(化法四敎) 화법사교(化法四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천태종에서 석존 일대의 교설을 교화하는 법, 곧 교리의 내용에 의하여 藏敎·通敎·別敎·圓敎 등의 4종으로 분류한 것. 참고 교리(敎理) : 어떤 종교나 종파에서 진리로 인정하고 있는 가르침의 세계. 敎義 또는 宗義라..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8
항하사(恒河沙) 항하사(恒河沙)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Ganga-nadi-valuka. 약칭하여 恒沙라 함.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이 많은 수량을 비유한 것. 무수무량의 大數를 나타내는 말. 참고 항하(恒河) : 恒伽河의 약칭. 인도의 히말라야산에서 시작하는 간지스강을 말함. .....항가(恒伽)→..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7
즉유즉공(即有即空) 즉유즉공(即有即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의 有爲法 그대로가 自性이 空했음을 일컬음. 法을 壞滅한 뒤에 비로소 空이 아님을 보인 말. 참고 즉(即) : 두 개의 事象이 融合하여 無差別의 一體가 되는 것. 相即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煩惱 即 菩提, 生死 即 涅..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6
진여무위(眞如無爲) 진여무위(眞如無爲)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六無爲의 제6. 眞如는 그 法性이 眞實如常하므로 이렇게 이름한 것. 주관적 我執과 객관적 迷惑인 法執이 空寂한 때에 나타나는 法으로 인연의 造作이 미치지 않는 境界이므로 無爲라 한 것. 앞의 5無爲(虛空無爲·擇滅無..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6
팔상성도(八相成道) 팔상성도(八相成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八相示現 · 八相作佛 · 釋迦八相 · 八相이라고도 한다. 석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여덟 가지 모습으로 나타내신 것. 成道는 八相의 하나이다. 깨달음이 열리는 것은 八相의 중심이라 八相成道라 한다. 이에 여러 ..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6
정념(正念) 정념(正念)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八正道의 하나. 四諦의 진리를 바로 보는 正見에 의해 삿됨이 없는 바른 思慮로 事物 그대로의 本性과 상태를 마음에 기억하여 잊지 않는 것. ② 淨土敎에서는 산란하지 않은 一念으로 念佛하는 것을 正念이라 한다. 참고 팔정..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5
회이귀일(會二歸一) 회이귀일(會二歸一)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2乘을 會同하여 菩薩乘인 一乘에 돌아간다는 뜻. 이것은 법화경 비유품의 화택유에서 羊車·鹿車·牛車를 말한 가운데 양거와 녹거는 우거에 들어가게 하는 가설적 방편교임을 말한 것이라고 하는 주장. 우거 이외에 문..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4
제행무상(諸行無常) 제행무상(諸行無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정신적 · 물질적 일체의 현상적 존재는 찰라찰라 生滅變化하는 것으로 恒常함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 참고 제행(諸行) : ① 일체의 有爲法을 일컫는 말. 行은 集의 뜻으로 곧 因緣和合에 의해 만들어졌음을 가리키며 그것..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4
적멸위락(寂滅爲樂) 적멸위락(寂滅爲樂)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寂滅은 涅槃의 번역으로, 生死의 苦에 대해 涅槃을 樂으로 삼는 것. 또는 열반을 성취하면 그것이 최상의 樂이란 뜻. 참고 열반(涅槃) : 滅 · 寂滅 · 滅度 · 寂이라 번역한다. 擇滅 · 離繫 · 解脫 등과 동의어로, 또 般.. ㅈ(지읒)~ㅊㅋㅌㅍᄒ(히읗) 2018.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