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夢) 몽(夢)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睡眠중에 心·心所(心의 작용)가 대상을 映寫하여 종종의 일을 마치 현실처럼 보는 것을 말하며, 꿈을 말한다. 大毘婆沙論 권三十七에서는 잠을 깨어나서 기억하고 있는 것을 남에게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이 완전한 꿈이다. 그 自性(자.. ㄹ~ㅁ(리을~미음) 2018.02.26
무시(無始) 무시(無始)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일체 世間의 중생과 법이 모두 처음이 없는 것과 같이 금생은 전생의 인연을 따라 존재하고, 전생은 또한 전생을 따라 존재하는 것처럼 이같이 추구해 들어가면 중생과 법은 원래 얻을 수 없으므로 無始라고 한다. 참고 범소유상(.. ㄹ~ㅁ(리을~미음) 2018.02.24
말나식(末那識) 말나식(末那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末那는 意라 번역하고, 思量의 뜻을 말한다. 末那識은 八識의 하나로, 제七識이라고 하며 思量을 본질로 하는 識이다. 제六意識과의 혼란을 피하기 위한 것도 범어를 음역해서 末那識이라 한 하나의 이유가 된다. 이 식은 我癡.. ㄹ~ㅁ(리을~미음) 2018.02.24
묘각(妙覺) 묘각(妙覺)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佛陀의 不可思議絶妙한 無上正覺. 究極의 佛陀의 자리(天台四敎儀). ② 보살52位. 41位의 하나. 곧 보살수행 최후의 자리로 번뇌를 끊고 지혜가 원만하게 갖춰진 자리를 말함.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 ㄹ~ㅁ(리을~미음) 2018.02.23
미륵보살(彌勒菩薩) 미륵보살(彌勒菩薩)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Maitreya. 대승보살. 梅呾麗耶 · 昧怛隸野 · 彌帝隸 · 梅低梨 · 迷諦隸 · 梅恒麗 · 每怛哩 · 梅怛麗藥이라고도 한다. 미륵은 보살의 姓이다. 慈氏로 번역하며, 이름은 阿逸多(범어 Ajita)로 無勝 .. ㄹ~ㅁ(리을~미음) 2018.02.23
무루지(無漏智) 무루지(無漏智)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眞理를 더욱 자라게 하고, 모든 번뇌의 허물을 여읜 淸淨한 지혜를 말함. 小乘에서는 四諦의 이치를 證한 지혜라 하여 法智와 類智의 두 가지를 세우고, 大乘唯識에서는 無漏智에 根本智와 後得智의 두 가지를 세운다. 根本智.. ㄹ~ㅁ(리을~미음) 2018.02.22
면벽(面壁) 면벽(面壁)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坐禪의 異名. 中國六朝時代 達磨가 梁나라 嵩山 少林寺에 와서 面壁하여 9년간 坐禪을 했으므로 이를 面壁9년이라 한다. 그 뒤부터 승려들이 禪房에서 參禪을 하면 반드시 壁을 향하게 되었다. (五燈會元) 참고 좌선(坐禪) : 正坐한 .. ㄹ~ㅁ(리을~미음) 2018.02.20
무량의경(無量義經) 무량의경(無量義經)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이 經은 法華三部經의 하나로서 중국에서 번역된 연대는 南齊高宗帝의 建元三年(A.D. 481)에 中印度 高僧 曇摩伽 耶舍가 廣州朝亨寺에서 번역해 낸 것이다. 實相妙法蓮華經의 序說로서 예부터 이것을 法華의 開經이라고 일.. ㄹ~ㅁ(리을~미음) 2018.02.20
마(魔) 마(魔)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mara의 음역인 魔羅의 약어. 殺者 · 奪命 · 能奪命者 · 障礙라고 번역하며, 惡魔라고도 한다. 사람의 생명을 빼앗아 가고 善事를 방해하는 惡鬼神. 古字에는 磨라 썼는데 梁武帝때부터 魔字로 고쳤다. 普曜經卷六에는 釋尊이.. ㄹ~ㅁ(리을~미음) 2018.02.19
무구식(無垢識) 무구식(無垢識)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mala의 번역. 阿摩羅識이라고도 한다. 舊譯에서는 제9識이라 하고, 新譯에서는 제9識을 따로 세우지 않고 제8識의 청정한 부분을 말한다. 참고 아마라식(阿摩羅識) : 阿摩羅는 범어 amala의 音譯. 阿末羅識, 菴摩羅識이라고.. ㄹ~ㅁ(리을~미음) 2018.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