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有心) 유심(有心)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有心이라 함은 마음이 작용하고 있는 것. 無心이라 함은 마음이 작용하지 않는 것. 有心의 상태를 有心位, 無心의 상태를 無心位라고 한다. 無心位에 5종을 두어, 五位無心이라고 한다. 곧 (1) 無想天(無想天에 있어서 五百大劫間, 無心의 果報를 받는다.. ᄉ~ㅇ(시옷~이응) 2015.10.21
삼분별(三分別) 삼분별(三分別)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心識으로 인식하는 작용의 세 가지. (1) 自性分別. 앞에 있는 대경을 그대로 깨닫고, 추측하고 思考하지 않는 단순한 정신작용. (2) 隨念分別. 지나간 일을 추억하여 여러 가지 생각을 돌리는 정신 작용. (3) 計度分別. 널리 三世에 걸쳐 아직 현실로 .. ᄉ~ㅇ(시옷~이응) 2015.10.20
사바하(娑婆訶) 사바하(娑婆訶)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svaha의 音譯. 莎訶 · 薩婆訶라고도 쓰며, 眞言 끝에 붙여서 성취를 구하는 말로 쓰며, 究竟 · 圓滿 · 성취의 뜻을 갖는다. 출전 : 불교학대사전 -나무 관 세 음 보 살- “욕심을 가능한한 적게 가지세요” ᄉ~ㅇ(시옷~이응) 2015.10.19
사종업보(四種業報) 사종업보(四種業報)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業을 받는 시기에 따라 네 가지로 구분한 것. (1) 現報. 現世에 지은 善 · 惡의 행업에 의해 그 果報를 살아 생전에 받는 業報. (2) 生報. 금생에 지은 善 · 惡의 行業으로 인한 果報를 내생에 받는 것. (3) 後報. 금생에 지은 善 · 惡의 行業의 .. ᄉ~ㅇ(시옷~이응) 2015.10.16
신심(信心) 신심(信心)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덧없는(疑)것을 여읜 청정한 마음. 佛法僧의 三寶 및 因果의 이치를 믿는 것으로 佛敎를 믿는 첫걸음으로 한다. 南本涅槃經卷三十二 師子吼品에는 佛性을 大信心이라고 부른다고 했다. 淨土敎에선 無量壽經의 설에 따라 아미타불의 本願을 믿는 것으.. ᄉ~ㅇ(시옷~이응) 2015.10.12
삼세심(三世心) 삼세심(三世心)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마음은 찰나에 생멸하여, 미래의 마음을 아직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얻을 수 없고, 과거의 마음은 이미 멸하였기 때문에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은 잠시도 머물지 않기 때문에 얻을 수 없으므로 이것을 三世心不可得이라 한다. 출전 : 불교학대.. ᄉ~ㅇ(시옷~이응) 2015.10.07
서장대장경(西藏大藏經) 서장대장경(西藏大藏經)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인도로부터 많은 三藏을 수입해 직역하여 梵文原本에 가장 정확하며, 한문 三藏과 비교하면 經部는 670部가 더 있고, 論과 雜書部는 3,452部가 더 있다. 이 경은 13세기경에 거의 현재의 모양으로 갖추어졌다. 板本에는 北京版 · 데루게版 .. ᄉ~ㅇ(시옷~이응) 2015.10.05
삼취(三聚) 삼취(三聚)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불교에서 사람의 성질을 셋으로 나눈 것. (1) 正定聚. 항상 진정하여 결정코 성불할 종류. (2) 邪定聚. 성불할 만한 소질이 없어 더욱 타락하여 가는 종류. (3) 不定聚. 緣이 있으면 성불할 수 있고, 緣이 없으면 迷할 一類로서 향상과 타락에 결정이 없는 .. ᄉ~ㅇ(시옷~이응) 2015.10.05
사(捨) 사(捨)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平靜. 無關心의 뜻. ① 心所(心의 작용)의 이름. 行捨라고도 함. 구사종에서는 모든 善心과 같이 어디서나 일어나는 心所(大善地法)의 하나라 하고, 유식종에서는 心所의 하나라 한다. 마음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惛沈과 掉擧를 여의어서 생각에 잠.. ᄉ~ㅇ(시옷~이응) 2015.10.05
삼락(三樂) 삼락(三樂)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1) 天樂. 열 가지 선업을 닦은 사람이 천상에 태어나 갖가지 수승한 즐거움을 받는 것. (2) 禪樂. 수행하는 사람이 모든 선정에 들면 寂靜의 즐거움을 받는 것. (3) 涅槃樂. 모든 혹을 끊고 열반을 증득하면 生 · 滅 · 苦 · 樂이 모두 없어지므로 이것.. ᄉ~ㅇ(시옷~이응) 2015.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