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독(三毒) 삼독(三毒)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貪欲 · 瞋恚 · 愚癡(貪 · 瞋 · 癡라고도 婬 · 怒 · 癡라고도 한다)의 3煩惱를 말함. 三火 · 三垢라고도 하고 중생을 해롭히는 惡의 근원이기 때문에 三不善根이라고 한다. 참고 삼불선근(三不善根) : 貪 · 瞋 · 癡의 .. ᄉ~ㅇ(시옷~이응) 2018.01.20
육도(六度) 육도(六度)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度는 바라밀의 번역으로, 六波羅蜜의 다른 이름. 곧 布施·持戒·忍辱·精進·禪定·智慧가 그것.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상비상(若見諸相非相) : 만약 모든 .. ᄉ~ㅇ(시옷~이응) 2018.01.20
왕사성(王舍城) 왕사성(王舍城)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Raja-grha. 팔리어 Raja-gaha. 중인도 마갈타국 고대의 수도. 羅閱祇·羅閱揭梨醯·羅閱祇伽羅·羅惹訖哩呬(라야흘리희)·曷羅闍姞利呬(갈라도길이희)라 음역. 지금의 벵갈州 파트나(Patna)시의 남방. 삐할 .. ᄉ~ㅇ(시옷~이응) 2018.01.20
이심전심(以心傳心) 이심전심(以心傳心)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禪宗에서 文字에 의하지 않고, 經論에 의하지 않으며, 곧바로 師弟對面해서, 마음에서 마음으로 法을 전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 범소유상(凡所有相) : 대저 온갖 모양은, 개시허망(皆是虛妄) : 모두 허망한 것이니, 약견제.. ᄉ~ㅇ(시옷~이응) 2018.01.20
삼매(三昧) 삼매(三昧)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① 범어 samadhi의 음역. 三摩地 · 三摩提 · 三摩帝라고도 音譯하고, 等持 · 定 · 正定 · 定意 · 調直定 · 正心行處라 번역한다. 마음을 한 곳에 둔다는 뜻. 等持라는 譯語는 等은 마음이 들뜨고(掉擧) 가라앉음(惛沈)을 여읨으.. ᄉ~ㅇ(시옷~이응) 2018.01.19
생멸(生滅) 생멸(生滅)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生起와 滅盡을 병칭하는 것으로 起滅이라고도 한다. 인연이 화합하여(곧 모든 조건이 만족하게 되어) 성립하는 萬有(곧 有爲法)는 변천하는 성질의 것(無常)이므로 반드시 生滅한다. 인연을 여의고 존재하는 영구불변(常住)하는 것.. ᄉ~ㅇ(시옷~이응) 2018.01.19
아상(我相) 아상(我相)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나라는 생각. ① 四相의 하나. 5온이 화합하여 조직된 것을 實我가 있다고 하고 또 내 것이 있는 줄로 생각하는 것. ② 智境四相의 하나. 자신이 깨달은 것, 또는 聖敎所說을 집착하여 일으키는 我相. ③ 妄想에 의하여 나타난 나(我).. ᄉ~ㅇ(시옷~이응) 2018.01.19
세존(世尊) 세존(世尊)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bhagavat의 번역. 如來의 十號의 하나로 佛의 존칭. 세계 가운데서 가장 높은 이. 또 세간에 존중되는 이란 뜻. 정말 꼭 “世尊”이라고 번역할 범어는 loka-natha(世主)·lo=ka-jyestha(세상의 最尊者)이며, 이 밖에도 “世尊”이라고 .. ᄉ~ㅇ(시옷~이응) 2018.01.19
사미(沙彌) 사미(沙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沙彌는 佛敎敎團(곧 僧伽) 중에서 十戒를 받은 7세이상 20세미만의 出家한 남자. 같은 여자를 沙彌尼라 한다. 사미와 사미니는 다같이 比丘 · 比丘尼가 되고자 勤策하므로 사미를 勤策男, 사미니를 勤策女라 번역한다. 沙彌는 나이.. ᄉ~ㅇ(시옷~이응) 2018.01.19
아(我) 아(我)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범어 atman의 번역. 본래는 呼吸의 뜻. 변하여 生命·自己·身體·他者에 대한 自我·自我의 本質·物일반의 本質自性. 온갖 것의 근원에 내재해서 개체를 지배하고 통일하는 獨立 영원의 主體를 의미한다. 아트만은 인도의 思想界에서.. ᄉ~ㅇ(시옷~이응) 2018.01.19